분류 전체보기 4601

나이의 호칭 및 생신 명칭

■ 나이의 호칭 및 생신 명칭 *해제(孩提) (2~3세) : 어린 아이(兒提)  *지학(志學) (15세) : 15세가 되어야 학문에 뜻을 둔다는 뜻  *약관(弱冠) (20세) : 남자는 스무 살에 관례(冠禮)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는 뜻  *이립(而立) (30세) : 서른 살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는 뜻  *불혹(不惑) (40세) : 공자가 40세가 되어서야 세상일에 미혹함이 없었다고 한데서 나온 말  *지천명(知天命) (50세) : 쉰 살에 드디어 천명을 알게 된다는 뜻  *이순((耳順), 육순(六旬) (60세) : 이순은 논어에서 나온 말로 나이 예순에는 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는 뜻입니다.  60세 때의 생신인 육순(六旬)이란 열(旬)이 여섯(六)..

카테고리 없음 2024.10.10

집사람 오빠의 부름 말

■ 집사람 오빠의 부름 말 * 집사람 오빠도 나이가 본인보다 어리면 형님이라 부르는 것도 잘못된 것입니다. * 처가 집에서 장인, 장모님은 이해가 되는데 손위 처남들도 매제인 저에게 "♤서방"이라 부르는데 맞나요? 나이어린 손위 처남도 "♤서방" 부르는데, 제 알기론 '매제', 또는 'ㅇㅇ아빠'로 알고 있는데, 참 어렵네요. △ 초롱 그냥 친근감 있게 존칭어로 부르는 것이에요. 신경 쓰인다면 매제라고 부르라고 하세요. △ 파스타치오손위 처남분과 서로 존대를 하는 게 좋은데. 이럴 경우는 서방 보다는 매제라고 부르는 게 더 좋습니다 △ 임박사잘못 부르고 있는 겁니다..호칭에 문제가 있네요. 장인 ,장모나 그 형제분들 이상이 부를 수 있는 호칭입니다. △ 시골누이나이어려도 손위 처남이면 방법이 없죠. △ 글..

카테고리 없음 2024.10.09

손위 처남의 부름말 - 2

■ 손위 처남의 부름말 - 2 △ KYK 전통적인 호칭은 논란이 많으나 기준 자체는 간단명료합니다. * 기본은 본가는 남자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처가 쪽은 사회적 관계 즉 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한 것으로 "나이 어린 (아재)할아버지는 있어도 나이어린 형님은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곧 처갓집은 사회적 관계로 파악하는 전통에 따라 그냥 처남으로 부르면 됩니다. 다만, 전통어법에는 어긋나지만 자신보다 나이 많은 경우에 형님이라 부르는 정도까지가 최대 양보 폭입니다. ▲[*기본은 본가는 남자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처가 쪽은 사회적 관계 즉 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소견)  옛날에는 교통이 불편하고 유교적인 남녀 불평등. 성차별 등으로 시집식구들이 처 가족과는 대면조차 어려운 먼 관계..

카테고리 없음 2024.10.08

손위 처남의 부름말 - 1

■ 손위 처남의 부름말 - 1 【’손위 처남이 나이가 같을 때는 어떻게 불러야 되나요?' 손위 처남이 나이가 같은데 호칭을 형님이라고 해야 되나요? 어떻게 불러야 되는지 궁금합니다.11월에 결혼을 하는데, 호칭이 궁금합니다.】 옛날에는 여인이 시집을 오면 자신을 숙이고 시집식구들에게 온갖 공대를 하였습니다. 그 예로 남편의 남동생을 ‘도련님’으로 여동생을 ‘아가씨(아기씨)’. 도련님이 장가들면 ‘서방님’으로 극존칭으로 시집식구들을 떠받들었습니다. 시집식구들이 처가족과는 잘 어울리지 않아 먼 관계로 여겨 이들과 소통하는 호칭이 부족하였던 것입니다.그러나 지금은 그 관계가 다릅니다. 매우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였습니다. 형제의 동서간과 자매의 동서간이 오늘날에는 매우 가깝습니다.  거기에 남녀평등과 남녀 형평..

카테고리 없음 2024.10.07

제사는 왜 4대조까지 모시나?

■ 제사는 왜 4대조까지 모시나? 氣(기)와 靈(영)의 세계. 우리는 전통적인 관례로 4대조 이하 조상님들께 제사를 올린다.  왜 하필 5대조나 6대조가 아닌 4대조 이하일까?  거기엔 이유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그 기(氣)의 파장이 약 100년 동안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氣)의 파장이 변하지 않으므로 자기와 파장이 같은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다.  1대를 25년으로 하면 4대조는 100년이 된다.  돌아가신 분은 100년 동안의 바로 자기의 가족이나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는 것이다.  4대조 이하의 조상영들은 후손과 파장이 맞으므로 후손과 함께 할수 있고 후손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 영향력도 음과 양으로 좋은 쪽과 나쁜 쪽 양갈래이다.  그것은 모두 그들 조상..

카테고리 없음 2024.10.05

처형의 남편 호칭

■ 처형의 남편 호칭  나이 어린 손윗동서 호칭 및 서열 정리  - 남편은 처가 집에서의 아내 지위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아내는 혼례로 남편의 집안에 혈족(가족)으로 인정된 경우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남편에게는 장인과 장모만이 혈족(가족) 관계가 성립되며(아내의 부모이며, 친족인 자녀의 외조부모로서 지위를 부여 받음) 남편으로 보면 아내의 형제자매는 나의 혈족(가족)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혈족(가족) 관계가 아닌 모든 관계는 나와 혈족(가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만이 성립됩니다. 아내의 오빠나 남동생(호칭 : 처남 _ 나이와 상관없이 통칭함), 언니(처형), 여동생(처제)은 부인과는 혈연 관계지만 남편과는 사회적 관계가 강합니다. 아내의 오빠라도 나보다 어리다면 절대 형님이 될..

카테고리 없음 2024.10.04

처형의 남편 호칭

■ 처형의 남편 호칭  나이 어린 손윗동서 호칭 및 서열 정리  - 남편은 처가 집에서의 아내 지위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아내는 혼례로 남편의 집안에 혈족(가족)으로 인정된 경우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남편에게는 장인과 장모만이 혈족(가족) 관계가 성립되며(아내의 부모이며, 친족인 자녀의 외조부모로서 지위를 부여 받음) 남편으로 보면 아내의 형제자매는 나의 혈족(가족)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혈족(가족) 관계가 아닌 모든 관계는 나와 혈족(가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만이 성립됩니다. 아내의 오빠나 남동생(호칭 : 처남 _ 나이와 상관없이 통칭함), 언니(처형), 여동생(처제)은 부인과는 혈연 관계지만 남편과는 사회적 관계가 강합니다. 아내의 오빠라도 나보다 어리다면 절대 형님이 될..

카테고리 없음 2024.10.03

아버지 형제에 대한 올바른 호칭

아버지 형제에 대한 올바른 호칭 앞회에 자료로 올렸으나 한번 더 올립니다.  ━ 아버지 형은 모두 '큰아버지', 아버지 동생은 모두 '작은아버지’ ━ 아버지 형제들에 대한 호칭(呼稱)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요.  그래서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혼란을 방지하고자, 구어(口語 : 입말)로 아버지의 형(兄)은 모두 '큰아버지'로, 아버지의 동생(아우)들은 모두 '작은아버지'로 부르는 것을 표준(원칙)으로 정한 바 있습니다.  예전에는 아버지가 오형제(五兄弟) 중 가운데일 경우,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아버지-작은아버지-막내 작은아버지'로 구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이럴 경우에도 예를 들어 '나'와 둘째 큰아버지가 서로 단독 면대(面對)할 경우에는 그냥 '큰아버지'라고 불러도 무방하겠으나, 만..

카테고리 없음 2024.10.02

아버지 형제에 대한 올바른 호칭

■ 아버지 형제에 대한 올바른 호칭 ━ 아버지 형은 모두 '큰아버지', 아버지 동생은 모두 '작은아버지’ ━ 아버지 형제들에 대한 호칭(呼稱)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요.  그래서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혼란을 방지하고자, 구어(口語 : 입말)로 아버지의 형(兄)은 모두 '큰아버지'로, 아버지의 동생(아우)들은 모두 '작은아버지'로 부르는 것을 표준(원칙)으로 정한 바 있습니다.  예전에는 아버지가 오형제(五兄弟) 중 가운데일 경우,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아버지-작은아버지-막내 작은아버지'로 구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이럴 경우에도 예를 들어 '나'와 둘째 큰아버지가 서로 단독 면대(面對)할 경우에는 그냥 '큰아버지'라고 불러도 무방하겠으나, 만약에 두 분 큰아버지가 동석(同席)하게 될..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上代下世

■ 上代下世 1. 상대(上代)  자기 아버지가 상대(하세)이고, 자기 할아버지가 상대(하세)로 됩니다.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 고조>까지를 4대(4세)라고 합니다.  아버지가 1대(1세)로 되고, 할아버지가 2대(2세)로 되고, 증조가 3대(3세)로 되고, 고조가 4대(4세)로 됩니다.  고조의 아버지가 5대조(5세조)로 되며, 오대조(=5세조)부터는 수효(숫자)로 일컫게 됩니다.  팔대조(8세조), 이십대조(20세조)라고 일컫게 된다는 말입니다.  4대조(4세조)까지는 수효로 일컫지 않게 됩니다.  일, 이, 삼, 사라는 수효로 일컫지 아니함은 수라는 것이 가벼운 말이어서 그것을 피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대라는 글자 뜻은 윗대로 되는 상대자로 됩니다.  일대(1대)라 함은 ..

카테고리 없음 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