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703

합제사

■ 합제사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는 합제를 하고 있고요.할아버지, 할머니도 합제를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번에 증조부모와 조부모를 포함해서 합제를 하려고 합니다.어떤 기준으로 어느 분의 기일에 맞춰서 합제를 지내야 할까요?】 답변) 이이록 먼저 기제사와 합제사에 대하여 알아야 합니다. 기제사는 4대(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봉사로 연 8회 각각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로 하여 기일 오전 0시 이후에서 새벽동이 틀 이전의 밤중이나 이 시간에 제사를 모시지 못하였으면 이날 저녁 시간대인 밤에 집에서 모시는 제사가 기제사입니다.  합제사는 5대조(고조의 父)이상 윗대 조상님들은 10월 좋은 날을 택하여 선산의 묘소에서 낮에 모시는 제사가 합제사(묘제. 시제)입니다.  설. 추석 명절 때 집에..

경주이씨 ** 입향조 내용 수정

■  경주이씨 ** 입향조 내용 수정 **향토문화백과 창원의 마을 이야기. 경주이씨 >에 있는 글로 내용면에서 수정할 곳(*)이 많아 이를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수정을 요구를 하였습니다.  【[정의]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시 세거 성씨. [연원]경주이씨의 시조는 신라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급량부(及梁部)의 촌장으로 전하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이다.‘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표암(瓢巖. 박바위)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이씨· *가평이씨· *평창이씨· 원주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우봉이씨 등과 우계 이씨· *성주이씨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3.29

시대별 장례 변천사 - 2

■ 시대별 장례 변천사 - 2 신라> 신라에서는 관을 사용하여 시신을 염습 후 치장하고 상복을 입는 복제가 시행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증왕 때에 제정 반포된 이 상복 제도는 왕, 부모, 처자 모두 1년 동안만 상복을 착용토록 하여 고구려나 백제의 3년 상복제도와는 달리 그 기간이 단축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지증왕은 순장금지제도를 법제화한 왕으로서도 유명하며, 또 죽은 왕들에게 시호(諡號)를 사용하도록 한 왕으로서도 유명하다.통일신라 이후에는 불교의 법식에 따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화장이 성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많은 골호들이 경주 지방에서 발견되고 있는 점을 통해서 볼 때 이 당시에는 화장한 후 뼈를 항아리에 담아 묻거나(藏骨) 혹은 바다에 뼛가루를 뿌리는(散骨) 장법들이 유행했음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시대별 장례 변천사 - 1

■ 시대별 장례 변천사 - 1 좋은 내용의 글이기에 복사하여 올립니다. - 조선시대부터 ‘죽음. 준비교육의 선구적 모습 자리매김’- 사람은 태초부터 누구나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어쩌면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한걸음씩 나아가는 길을 걷고 있는지도 모른다.  인간에게 죽음이란 고인에게는 이승에서 마지막 가는 길이며, 고인을 보내는 산자의 입장에서는 죽음 이후의 또 다른 세상이 있다고 믿어 민족별, 종교별, 사회,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례의식이 있어왔다. 우리나라의 시대별 장례문화를 살펴보기로 한다. 예>기록으로 보면, 당시에는 죽음과 질병을 동일시하여 매우 꺼리는 염기사상(厭忌思想)이 있었던 듯하다. 또 사람이 죽으면 집을 헐어버리는 것으로 보아서는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제사합치기

■ 제사합치기 좋은 글이 올라있기에 복사하여 올립니다. ◈ 시대별 장례 방법  시대별 장례문화 변천사 재벌이나 거리의 노숙자나 세상 사람들은 모두 죽습니다. 하지만 인류는 이를 피하기 위해 끝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인류 역사가 낳은 많은 영웅이나 권력자들은 늙거나 죽지 않는 수많은 신화들을 만들어냈지만 그들 모두 인류가 만든 최초의 건축물인 무덤 안에 잠들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인류가 만든 것은 무덤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인류는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과정을 지날 때마다 치르는 일정한 통과의례를 만들어냈는데요,이것은 좁은 의미로는 관혼상제만 해당되지만, 넓은 의미로는 백일과 돌, 생일, 회갑, 진갑, 고희 등을 포함시켜 인생의례가 됩니다.  인생의..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경주이씨 중시조 38세(=38대) ‘우’항렬

■ 경주이씨 중시조 38세(=38대) ‘우’항렬 중시조 38세(=38대) ‘우’항렬은 중시조님의 38세손인가? 38대손인가? 37세손(=37대손)인가?  [저는 경주이씨 익재공파 38대손 □춘입니다.] 라고 ○춘 종친님께서 인사말을 올리니 아래와 같이 종친님들께서 댓글을 올려 주셨습니다.  '익재공파 38대손 이○춘'이라고 하니 세 분 종친님이 아래와 같이 댓글을 올려 주었습니다.  △ 재○ - 38代孫(-39世)이시면 상(相)자 항렬이시군요. △ ◇희 - 익제공파 41세손 이◇희입니다. △ ○춘- ‘우’자 항렬인데요.  소견) 이이록  ‘○춘’ 종친님께서 자신을 소개하는 인사말을 올리니 몇 몇 종친님들께서 반갑다고 인사말을 건넨 내용입니다.  인사를 나눈 위의 주고받은 글을 이해하시겠습니까? 모두 잘못..

카테고리 없음 2025.03.24

잘못 말한 ‘몇 세손(=대손)’ - 3

■ 잘못 말한 ‘몇 세손(=대손)’ - 3 경주이씨 모 카페에 가입한 종친님이 400명이 넘었는데 가입하면서 남기신 가입인사 말씀이 몇 사람만 바르게 나타내었을 뿐 그 외 수백 명의 종친님들께서는 과거에 잘못된 내용으로 교육받은 대로 잘못된 인사말을 남기셨습니다.  아래와 같은 인사말들입니다. 잘못된 인사말을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 ljr경주이씨 익재공파 41대손 이재○입니다. ◇ M41세손이 정확합니다. 소견) 이이록위 소개말 중 어느 곳이 잘못 말씀하셨는지를 알아내어야 합니다.소개의 말에서 ‘익재공파 41대손’이라는 소개말과 댓글을 올려 ‘41세손’이라고 잘못을 지적한 말이 잘못된 말임을 알아야 합니다. 보통 우리 경주이씨 종친님들은 대부분 파명 뒤에 ‘몇 세손’이 아니면 ‘몇 대손’으로 말..

카테고리 없음 2025.03.22

잘못 말한 ‘몇 세손(=대손)’ - 2

■ 잘못 말한 ‘몇 세손’ - 2 경주이씨 모 카페에 가입한 종친님이 400명이 넘습니다. 가입하면서 남긴 인사 말씀이 몇 사람만 바르게 나타내었을 뿐 그 외 수백 명의 종친님들께서는 과거에 잘못된 내용으로 교육받은 대로 잘못된 인사말을 남기셨습니다. 아래와 같은 인사말들입니다. 하나하나에 잘못된 인사말을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 haje [중시조 소판공 거명(中始祖 小判公 居明)의 39세손(世孫)입니다.] 소견) 이이록 나는 ‘중시조님의 39세손’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 닉네임 haje 종친님은 중시조 39세 ‘상’항렬이신 것 같습니다. ‘이의’논지의 기본 원칙인 ‘세=세손’에 적용하여 읽은 것으로 중조 39세 ‘상’항렬을 ‘39세=39세손’으로 읽은 것입니다. ‘世와 世孫이 같은 뜻’이 ..

카테고리 없음 2025.03.21

잘못 말한 '몇 세손(=대손)' - 1

■ 잘못 말한 '몇 세손(=대손)' - 1 경주이씨 모 카페에 가입한 종친님이 400명이 넘고 몇 년 전에는 역시 모 카페에도 900명이 넘는 회원이 가입하면서 남기신 가입인사 말씀이 몇 사람만 바르게 나타내었을 뿐 그 외 수백 명의 종친님들께서는 과거에 잘못된 내용으로 교육받은 대로 잘못된 인사말을 남기셨습니다.  아래와 같은 인사말들입니다.하나하나에 잘못된 인사말을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 sky[저두 경주이씨 익재공파랍니다.‘몇 대 손’인지 모르지만 저희 아빠는 '우‘짜 *학렬 ⇒ 향렬이고 남동생을 '상'짜를 쓰고 있답니다.] △ K‘저도 경주이씨 익재공파입니다.’몇 대 손‘인지 모르지만 저희 아빠는 '우'자 항렬이시고 남동생은 '상'자 항렬입니다.’ 우리말은 띄어쓰기가 있어 이로 인하여 ‘..

카테고리 없음 2025.03.20

고조할아버지의 아버지는?

■ 고조할아버지의 아버지는? △ am*고조할아버지의 아버지는 ‘현조’라고 합니다. * 현조(玄祖) 5촌 고조(高祖) 4촌 -------나  ⇒ 위 답변은 잘못된 말입니다.4촌 고조부. 5촌 현조부는 직계로는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고조부는 나와 5촌이라고 하지 않고 나의 4대조(=4세조)라고 합니다.  현조부는 직계에서 5대조를 말하는 사람이 있으나 자손에게 부쳐 말하는 ‘현손(玄孫)’에서 따와서 ‘현조부’라고 히는데 이는 잘못된 용어입니다.  △ 선비父(부)- 祖父(조부)- 曾祖父(증조부)- 高祖父(고조부) 까지는 이렇게 칭호를 사용하고 그 위 조상은 보통 5대조- 6대조- 7대조- 8대조- 9대조 ------로 칭호를 합니다.현(玄)조부- 내(來)조부- 곤(昆)조부- 잉(仍)조부-운(雲)조..

카테고리 없음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