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742

고조 = 4대조 – 2

■ 고조 = 4대조 – 2 문 : 어떻게 2대와 2대조의 개념이 같을 수 있나요? 답 : 귀하 스스로 고조=4대조=4대..라고 한 것도 모르나요? 즉 고조=4대=4대조..라고 스스로 말해 놓고서..이젠 또 부정을 하니..도대체 귀하의 주장은 무엇인지요? 여기 내용은 ..귀하의 주장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나 있나요?..에 답해 보시길.. 그것만 알면 모든 것이 다 이해될 듯..지금은.. 고조=5세라는 걸 인정하시면..그걸 알려드리지요... 주자어류 曰:“立春祭先祖,則何祖?” 曰:“自始祖下之第二世, 及己身以上第六世之祖. △ ih주자가례는 포기하신 겁니까?무슨 뜻인지 해석을 달아주십시오. △ ll주자가례나..어류나 같은 내용입니다.. 내 질문에는 회신이 없으니..나도 소극적인데..귀하는 먼저 내 질문에 솔직..

고조=4대조 - 1

■ 고조=4대조 - 1 위의 영인본은 가례집람에서 예기>, [대전]을 인용하여 '5세조를 같이 하는 사람'을 설명한 것이다. '주자가례'를 비롯한 이 내용을 그대로 옮긴 '가례의절', '가례집람', '사례편람' 등 대부분의 예서의 '소렴' 항에 나와 있는 '자최이하와 5대조를 같이 하는 사람은 단과 문을 한다.'는 구절을' 어떤 사람이, '5대조=고조'의 근거로 주장하므로, 그렇지 아니함을 밝히기 위해 이 글을 씁니다. 해석은 주(註), 5대조를 같이 하는 자(同五世祖者) 《예기》 대전(大傳)에 이르기를, “4세엔 시마복(緦麻服)을 입으니 복이 끝에 달한 것이다(窮). 5세엔 단문(袒免)을 하니 동성(同姓)으로 강등된 것이며, 6세엔 친속(親屬)관계가 없어진다.” 하였다. 주에 이르기를, “4세는 고조..

카테고리 없음 2025.05.14

세. 대. 세손. 대손 - ih 선생의 글.

■ 세. 대. 세손. 대손 - △ ih 선생의 글. ⦁일부에서 상대하세(上代下世)라 하여 조상에게는 ‘代(대)’를 쓰고 후손에게는 ‘世(세)’를 쓴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가례집람> ‘제례’ ‘선조’를 보면, 구의(丘儀) (가례의절)>에 이르기를, ‘종이로 패(牌)를 만들되 신주와 같이 만들어 면의 위에 某祖考某官府君(모조고 모관부군)이나 某祖妣某封某氏(모조비 모봉모씨)라고 쓰는데, 고조의 아버지는 5세조가 된다.’ 하였고, 동계집桐溪集> ‘계도후록(系圖後錄)’에 ‘10세조(世祖) 휘(諱) 승(丞)’ , ‘9세조 휘 방주(邦柱)’, ‘8세조 휘 공연(公衍)’ , ‘7세조 휘 습인(習仁)’ , ‘6세조 휘 전(悛)’ , ‘5세조 휘 제안(齊安)’ , ‘고조 휘 종아(從雅)’ , ‘증조 휘 옥견(玉堅)’ , ..

카테고리 없음 2025.05.13

世(세)와 代(대) - 9

■ ‘世(세)와 代(대) - 9 世와 代는 같은 뜻이 아닌 다른 뜻인 ‘이의론’ 논지가 바른 논리라고 하며 2세=1대. 대=대손. 세=세손의 원칙을 적용하고 상대하세. 대불급신을 적용하여 주장을 펴는 것이 ll 선생의 논지입니다. ll 선생의 ‘근거 자료 제공’ 에 대한 소견 △ leelok 성균관 홈페이지 의례문답 540번 ll 선생의 주장으로 선생께서 올린 글에 대한 소견입니다. ‘세와 대’에 대하여 올린 근거자료는 위로 ‘5세=5대=5세조=5대조=고조’. ‘아래로 5세=5대= 5세손=5대손=현손’으로 읽는 과거 기록에 있는 것을 찾아 올린 사례들입니다. 위로 ‘5세=5대=5세조=5대조=고조’ . ‘아래로 5세=5대= 5세손=5대손=현손’으로 등호(=) 좌우의 단어가 같은 뜻일 수 없는데 위로 ‘5..

카테고리 없음 2025.05.13

世(세)와 代(대) - 8

■ 世(세)와 代(대) - 8 世와 代는 같은 뜻이 아닌 다른 뜻인 ‘이의론’ 논지가 바른 논리라고 하며 2세=1대. 대=대손. 세=세손의 원칙을 적용하여 주장을 펴는 것이 ll 선생의 논지입니다. 15. 아래는 2009년에 작성된 중국문서로 삼국지에 나오는 유비 가문의 世系(세계)에 대한 내용으로서..세손을 호칭한 용례를 보여드리기 위해 올린 것입니다. (문서의 실제 내용은 물론..그 세손이라는 용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유비의 소설속 가계에 의문이 있다는 내용이오니.. 그 내용보다는.. 우리는 다만..그 가계의 순서 즉 "세손"을 어떻게 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지만 보면 될 듯합니다.) 漢獻帝世系   劉備世系(小説)1 世  孝景帝啓    孝景帝啓2 世   長沙定王發   中山靖王勝3 世 ..

카테고리 없음 2025.05.10

世(세)와 代(대) - 7

■ 世(세)와 代(대) - 7 世와 代는 같은 뜻이 아닌 다른 뜻인 ‘이의론’ 논지가 바른 논리라고 하며 2세=1대. 대=대손. 세=세손의 원칙을 적용하여 주장을 펴는 것이 ll 선생의 논지입니다. 첨부 문서는 아래 출처 내용과 동일합니다.(클릭하세요) 출처 : http://www.kong.org.cn/Item/Show.asp?ID=3 공씨종친망 http://www.kong.org.cn/Item/Show.asp?m=1&d=17 천하제일가http://zh.wikipedia.org/zh-tw/%E5%AD%94%E5%AD%90%E4%B8%96%E5%AE%B6%E5%A4%A7%E5%AE%97%E4%B8%96%E7%B3%BB 공자세가대종세계 孔子世家大宗世系 - 維基百科,自由的百科全書維基百科,自由的百科全書 孔..

카테고리 없음 2025.05.09

世(세)와 代(대) - 6

■ 世(세)와 代(대) - 6 世와 代는 같은 뜻이 아닌 다른 뜻인 ‘이의론’ 논지가 바른 논리라고 하며 2세=1대. 대=대손. 세=세손의 원칙을 적용하여 주장을 펴는 ll 선생의 주장입니다. 5. 한국고전번역원에서 "5세조=고조" 라고 해설한 사례... 이 글을 올린 후에 상기 번역원에서 일부 관련 자료를 수정하였음> 사계전서 31권에...상례비요.. 소렴에...(출처 :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 사례 1) 문(免) : 삼베를 찢거나 명주를 감쳐서 너비 1치로 만드는데, 자최 이하 8촌까지의 복인들이 상투를 감싸 묶는 것이다. 좌(髽)도 마찬가지이다. ○ 괄발(括髮)ㆍ문(免)ㆍ좌(髽)는 성복할 때에 가서 제거한다.위 해석은..동5세조자에 대한 ..

카테고리 없음 2025.05.08

世(세)와 代(대) - 5

■ 世(세)와 代(대) - 5 ll 선생의 주장 근거 자료 제공 (위로 5세=고조=5세조=5대조=5대...즉 아래로 5세=현손=5세손=5대손=5대) [위로 5세=고조=5세조=5대조=5대...즉 아래로 5세=현손=5세손=5대손=5대]..라는 자료가 제대로 된 자료입니다. 중국의 모든 성현들 가문과 사전에서는...그렇게 위와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우리나라는 근거도 없이..{고조=4대조=4세조...아래로 고손=현손=4대손=4세손}..으로 사용하는 사전이나 자료가 있는 듯하여..그런 것들을 시정코져..아래와 같이 관련 자료를 알려드리니..참고하셔서..시정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목 : 근거 자료 제공 (위로 5세=고조=5세조=5대조=5대...즉 아래로 5세=현손=5세손=5대손=5대) 아래에서 click ..

카테고리 없음 2025.05.07

世(세)와 代(대) - 4

■ 世(세)와 代(대) - 4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동의어(同義語)이다. 라는 주장으로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정리된 논리가 ’동의론(同議論)‘이고 1945년 해방이후 세와 대는 다른 뜻인로 ’2세=1대‘ . ’5세=5세손‘ . ’4대=4대손‘으로 읽는 세와 대를 다른 뜻으로 논리를 정리하여 읽는 것이 ’이의론(異義論)‘이다. ll 선생은 ’이의론‘으로 ih 선생은 ’동의론‘으로 주장을 펴고 있다. △ ll [자기부터 셈한 것은 '대수'이지 '후손'일 수 없습니다.]..라고 하고서는...그 몇 줄 아래..다시..{여기에서 '제 9대손'의 풀이는 '9대째(제 9대)인 후손'입니다.}..라고 한 것은 역시 혼란스런 표현이 아닐까요? ['자기의 몇 대손' 양식으로 표현할 때는 자기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5.06

世(세)와 代(대) - 3

■ 世(세)와 代(대) - 3 ll 선생과 ih 선생의 세와 대에 대한 각자의 주장입니다. △ ll [그러므로 자기부터 셈하여 제 9대 후손인 운손은 자기의 8대 후손인겁니다.]..에서 보면..9대=제 9대 후손=운손=자기의 8대 후손..이니..결국..{제 9대 후손=자기의 8대 후손}이라는 표기를 하면 혼란스럽다는 것입니다. 그걸..보통..'9대 후손=8대 후손'이라 해석할 수 있는데..그래서 혼란스런 표기라는 것이고..보통 누가..귀하처럼..제 9대 후손=자기의 8대 후손..라고 생각하나요? 보통 9대 후손=나보다 9대 후손이니..그 말은 곧 ..9대 후손=나보다 9대 후손=10대=10세..라고..즉 나보다 9대 후손=10대..로 해석하는데..귀하는..9대 후손=나의 8대 후손=9대=9세...라..

카테고리 없음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