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 중파. 소파(大派中派小派) ■ 경주 이씨 대파. 중파. 소파(慶州李氏大派中派小派) ◆ 대종보에 기록된 대파. 중파. 소파(* □- 대파. ●- 중파. ◇- 소파. ▲- 지파.) ★ 16세 평리. 성암공(휘 인정) 계대 □ 평리성암공파- 16세 평리공(성암. 휘인정) ● 전서공파- 18세 전서공(휘 원선)- 17세 헌납공(휘 규)의 장자 ◇ 어모공.. 대파.중파.소파 2008.12.24
열헌공 묘단. 자제.손자의 장원과 하시.황패 ● 열헌공(悅軒公) 묘단 설립(墓壇設立) -평리 열헌공 사단비(評理悅軒公祀壇碑)- 안동 화산 권순명 찬(安東花山權純命撰) - [평리(評理) 이공(李公) 열헌(悅軒) 핵(翮)· 그 배위(配位) 정부인(貞夫人) 김씨(金氏)· 차자(次子) 검교정승(檢校政丞) 동암(東庵) 진(王+眞)· 대제학(大提學) 송.. 중흥조 2008.12.22
중흥조- 15세 열헌공(悅軒公) 핵(翮). ■ 중흥조 중조 15세 열헌공(悅軒公) 핵(翮) ● 열헌공(悅軒公) 핵(翮) 자(字)는 만리(萬里)이고 호(號)는 열헌(悅軒)이며 초휘(初諱-처음 이름)는 타(駝)이다. 중조 14세손인 문하평리 열헌공(悅軒公) 휘 핵에 이르러 3자 9손이 모두 현달하여 이름을 떨쳤으므로 열헌공을 경주이문(慶州李門)의‘중흥조(中興祖)’로 받들고 있다. 열헌공은 문하평리(門下評理)로 벼슬이 높았을 뿐만이 아니라 인덕이 겸비하여 3대(본인, 아들, 손자)에 13명 중 5인이 장원급제(壯元及第)하니 충렬왕(忠烈王)은 황패(黃牌)를 내렸다. 열헌공(悅軒公)은 세 아들을 두었는데 인정(仁挺-評理公)·진(王+眞-東菴公)·세기(世基-松菴公)이다. 부인은 김해 김씨(金海金氏)로 성품이 매우 엄하시었다. 인정(仁挺), 진(王+眞), 세기.. 중흥조 2008.12.20
중조 2세 ∼ 14세까지의 조상님 ■ 중시조 2세 ∼ 14세까지의 조상님 신라 건국 전후의 시조 다음 아들 대이후 신라말경 까지 약 900년 간의 세계(世系)는 실전되어 전연 알 수 없다. 시조(휘 알평. 알천 양산촌장. 신라 좌명공신. 아찬공. 급량부-양부)의 아들부터 원대손(遠代孫) 소판공(蘇判公- 휘 거명居明)의 아버지까지.. 중조 2세∼14세 2008.12.17
소판공 휘 거명 사적(蘇判公諱居明事蹟) ● 소판공 휘 거명 사적(蘇判公諱居明事蹟) - 경주이씨세전보감(慶州李氏世傳寶鑑)에서 공(公)은 신라(新羅)에서 벼슬이 소판(蘇判)에 이르셨는바 신라관제를 살펴보면 소판(蘇判)은 영판(迎判)이라는 관명(官名)으로도 나타나 있는데 소판(蘇判)은 반드시 진골(眞骨)이라야 받을 수 있다.. 중시조 2008.12.17
경주이씨 중시조 - 소판공. 설단. ■ 중시조(中始祖) 소판공 휘 거명(蘇判公 諱居明) ● 소판공(휘 거명)의 최초 기록 소판공(蘇判公)은 고려(高麗)말 익재 문충공 이제현(李齊賢)의 묘지(墓誌)에 그 선대(先代)가 신라(新羅)때 벼슬을 지낸 이거명(李居明)이라는 기록을 남김으로서 시조 이후(始祖以後) 기록이 전하는 최초.. 중시조 2008.12.16
실전(失傳)된 세계(世系) 900년 ■ 실전(失傳)된 세계(世系) 900년 신라 건국 전후의 시조 다음 아들 대이후 신라말경 까지 약 900년 간의 세계(世系)는 실전되어 전연 알 수 없다. 시조(휘 알평. 알천 양산촌장. 신라 좌명공신. 아찬공. 급량부-양부)의 아들부터 원대손(遠代孫) 소판공(蘇判公- 휘 거명居明)의 아버지까지 대.. 시조(始祖) 2008.12.16
항렬제차(行列第次). 항렬자. 쌍오행 ● 行列第次(항렬제차) 조선말 고종5년(1868)에 영의정을 지낸 귤산공 유원의 주관으로 상서공파 유원, 유승, 유응과 국당공파 교영, 규창과 익재공파 규정, 규선, 규철, 용우 총 9인이 모여서 처음으로 '경주 이씨 화수회'를 창립하고 항렬을 정하였다. 우리 경주이씨는 1856년(고종 5년 무진.. 시조(始祖) 2008.12.15
사성. 시호. 추봉. 가족. 시조의 수(짓기) ● 시조에게 사성(賜姓). 시호(諡號). 왕 추봉(王追封). 사적 건립 시조에게는 다음과 같이 사성. 시호와 왕의 칭호가 내리고 유허비, 재실, 묘우가 건립되었다. ○ 신라 유리왕 9년(서기 32년)에 시조에게 [이씨(李氏)]가 하사되고 ○ 법흥왕 23년(서기 526년)에 ‘충헌(忠憲)’이라는 시호(諡.. 시조(始祖) 2008.12.12
'화백 제도'. 시조 은덕. 진골? 왕족? ● 휘 알평 시조와 '화백 제도' 『삼국유사』에는 전한(前漢) 지절(地節) 원년(기원전 69년) 3월 1일 6촌의 촌장들이 각기 그의 자제(子弟)들을 이끌고 경주이씨의 시조인 알평공(謁平公)이 다스리는 알천(閼川)의 안상(岸上- 언덕 위)에 모여 나라를 세울 것을 의논하였다고 있다. 이것이 ‘.. 시조(始祖) 2008.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