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704

시대별 장례 변천사 - 2

■ 시대별 장례 변천사 - 2 신라> 신라에서는 관을 사용하여 시신을 염습 후 치장하고 상복을 입는 복제가 시행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증왕 때에 제정 반포된 이 상복 제도는 왕, 부모, 처자 모두 1년 동안만 상복을 착용토록 하여 고구려나 백제의 3년 상복제도와는 달리 그 기간이 단축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지증왕은 순장금지제도를 법제화한 왕으로서도 유명하며, 또 죽은 왕들에게 시호(諡號)를 사용하도록 한 왕으로서도 유명하다.통일신라 이후에는 불교의 법식에 따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화장이 성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많은 골호들이 경주 지방에서 발견되고 있는 점을 통해서 볼 때 이 당시에는 화장한 후 뼈를 항아리에 담아 묻거나(藏骨) 혹은 바다에 뼛가루를 뿌리는(散骨) 장법들이 유행했음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시대별 장례 변천사 - 1

■ 시대별 장례 변천사 - 1 좋은 내용의 글이기에 복사하여 올립니다. - 조선시대부터 ‘죽음. 준비교육의 선구적 모습 자리매김’- 사람은 태초부터 누구나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어쩌면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한걸음씩 나아가는 길을 걷고 있는지도 모른다.  인간에게 죽음이란 고인에게는 이승에서 마지막 가는 길이며, 고인을 보내는 산자의 입장에서는 죽음 이후의 또 다른 세상이 있다고 믿어 민족별, 종교별, 사회,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례의식이 있어왔다. 우리나라의 시대별 장례문화를 살펴보기로 한다. 예>기록으로 보면, 당시에는 죽음과 질병을 동일시하여 매우 꺼리는 염기사상(厭忌思想)이 있었던 듯하다. 또 사람이 죽으면 집을 헐어버리는 것으로 보아서는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제사합치기

■ 제사합치기 좋은 글이 올라있기에 복사하여 올립니다. ◈ 시대별 장례 방법  시대별 장례문화 변천사 재벌이나 거리의 노숙자나 세상 사람들은 모두 죽습니다. 하지만 인류는 이를 피하기 위해 끝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인류 역사가 낳은 많은 영웅이나 권력자들은 늙거나 죽지 않는 수많은 신화들을 만들어냈지만 그들 모두 인류가 만든 최초의 건축물인 무덤 안에 잠들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인류가 만든 것은 무덤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인류는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과정을 지날 때마다 치르는 일정한 통과의례를 만들어냈는데요,이것은 좁은 의미로는 관혼상제만 해당되지만, 넓은 의미로는 백일과 돌, 생일, 회갑, 진갑, 고희 등을 포함시켜 인생의례가 됩니다.  인생의..

카테고리 없음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