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시조 익재 이제현

동문선(東文選)에 올라있는 익재공(益齋公)의 글(G)

녹전 이이록 2009. 2. 10. 18:51

● 동문선(東文選)에 올라있는 익재공(益齋公)의 글(G)

 

 

◆ 동문선 제69권 기(記)

 

 

○ 백화선원 정당루 기(白華禪院政堂樓記)

 
연암탄사(然菴坦師)가 정사(精舍)를 용궁군(龍宮郡)의 천덕산(天德山)에 지었다.

 

두 다락이 있었는데, 서쪽의 것은 관공(觀空)이라 하여 그 무리의 늙은이 중 운수(雲?)라 하는 이가 기문을 지었고, 동쪽의 것은 정당(政堂)이라 하는데, 정당(政堂) 한재상(韓宰相)이 일찍이 남쪽으로 유람하다가 그 위에 올라갔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지은 것이다.

 

정당이 돌아간 다음 대사가 부탁하여 나에게 글을 청하여 다락의 영광을 삼으려 하더니, 얼마 후에 대사가 뒤따라 이르렀다.

 

내가 서로 인사하고 묻기를, “보리(菩提)ㆍ달마(達磨)가 탑을 쌓고 절을 짓는 것을 인공으로 만드는 복이라 하고, 혼자 깨달아 항상 아는 것으로 참 공덕을 삼고, 천자의 지극히 높은 지위로도 여기에 용납되지 않으면 복을 받지 못한다고 하였소.

 

대사는 달마를 스승으로 하면서도 토목의 일에 마음을 써서 집을 웅장하게 짓고 유명한 관원에게 이름을 빌어 구경거리를 사치스럽게 하니, 여기에 또 무슨 이유가 있을 것이오.” 하였다.

 

대사가 말하기를,
“사람이 장차 천리 길을 가려 한다면 게을러서도 이끌 수가 없으니 반쯤 가서 중지하게 되며, 몰라서도 인도할 수가 없으니 지름길로 가게 하여 도달하지 못할 것이오.

 

내가 보기에 지금 온 세상의 우리 무리들이 도를 배운다는 것은 옛사람의 찌꺼기를 얻어 가지면서도 부지중 스스로 방자하여 명예와 이익에 취해버리고 마니, 이것이 반쯤 가서 그만 두는 게으른 자가 아니겠소.

 

혹 산림간에서 떨고 주리면서 마음을 누르고 수련하고 깨닫는 것에 뜻을 돈독히 하나, 관계(款啓)에 희미하고 의혹하여[款啓聽瑩]도 바른 것을 얻지 못하니, 지름길로 가다가 어두운 것이 아니겠소.

 

나는 이 때문에 발분하여 모임을 가지고 우리 무리를 규합하여 명예와 이익에 취한 것을 버리고, 산림에서 얼고 굶주림을 면하게 하여 그 게으른 사람을 이끌고, 그 어두운 사람을 인도한다면 우리 스승이 말한 혼자 깨달아 항상 안다는 이치에 반드시 말 없는 중에 통하여 괴로움을 풀 수 있을 것이니, 이것은 장차 우리 스승의 도를 크게 하는 것이지, 짐짓 인공으로 하는 복을 만드는 것이 아니오.

 

저 휘로(暉老)가 배상국(裴相國)에게와 만공(滿公)이 백소부(白少傅)와 서로 주고받으며 문답한 일 같은 것은 산림간에서 전하여 훌륭한 일로 여기고 있으니, 어찌 높은 관원에게 혐의를 피하려 하였겠소.

 

나의 다락 이름이 한공(韓公)으로 하여 이름을 얻게 되는 것은 예나 이제나 그 이치가 같은 것이오.” 하는 것이었다.

 

나는 그 말을 듣고 사과하여 그 말을 써서 기문으로 한다.

 

그 산천의 좋은 경치와 형세의 좋은 것, 처음 경영하고 낙성한 연월(年月)에 대해서는 운수(雲?)가 말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다시 말하지 않는다.
-------------------------------
*관계(款啓)에 희미하고 의혹하여[款啓聽瑩] : 《장자(莊子)》에 나오는 말로, 관계(款啓)는 문견이 적다는 말이고, 청영(聽瑩)은 듣고서 의혹한다는 말이다.

 

 

○ 운금루 기(雲錦樓記)

 
구경할 만한 산천의 뛰어난 경치가 반드시 모두 외지고 먼 지방에만 있는 것은 아니고, 임금의 도읍지 수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도 원래는 산천 풍경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명예를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을 저자에서 다투다 보니, 비록 형산(衡山)ㆍ여산(廬山)ㆍ동정호(洞庭湖)ㆍ소상강(蕭湘江)이 한 발 내디디면 굽어볼 수 있는 거리에 있어서 쉽게 찾을 수 있어도 아는 사람이 드문 것이다.


왜 그런가 하면 사슴을 쫓아가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하고, 금을 움켜잡으려는 사람은 사람을 보지 못하며 가느다란 가을 털끝을 볼 줄 알면서도

수레에 가득 실은 섶을 보지 못하는 것은 마음이 쏠리는 곳이 있으면 눈이 다른데 볼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일을 벌이기 좋아하고 자력이 있는 이들은 멀리 관문(關門)과 나루를 지나 시골 마을에 자리 잡고 산골짜기에 노니는 데 만족하면서 스스로 생각하기를, 고강락(高康樂)이 길을 여는 일을 서민들이 놀라고, 허범(許氾)이 시골을 찾는 일을 호걸의 선비가 숨긴다고 하며, 또 그런 일을 하지 않는 것이 고상하다고도 한다.

 

경성 남쪽에 못이 있어서 사방이 백 묘쯤 되는데, 빙 둘러 사는 사람들의 여염 민가가 고기 비늘처럼 즐비하게 깔렸으며, 지고 이고 말 타고 걸으며 그 곁을 지나 왕래하는 자들이 줄을 이어 앞서고 뒤서고 하니, 어찌 그윽하고 기이하고 한가로우며 넓은 지경이 그 사이에 있는 줄을 알겠는가.

 

지원(至元) 정축년(충숙왕 6년) 여름에 못 위에 연꽃이 한창 피었는데, 현복군(玄福君) 권후(權侯)가 보고서 사랑하여 곧장 못 동쪽에 땅을 사서 다락을 지었다.

 

두 길이나 되게 높이 하고 세 길이나 되게 넓게 만들었는데, 주춧돌을 세우지 않았지만 기둥은 썩지 않게 하고, 기와를 이지 않았만 초가지붕은 새지 않게 하였으며, 통나무를 깎지 않았는데 굵지도 않고 가늘지도 않으며 벽은 색칠하지 않았는데 화려하지도 않고 누추하지도 않았다.

 

건물이 대략 이와 같은데 못의 연꽃이 가득 둘러싸 있었다.

 

이에 그 아버지 길창공(吉昌公)과 형제와 인척들을 초청하여 그 위에서 술자리를 벌여 즐겁고 유쾌하게 놀면서 날이 저물도록 돌아갈 것을 잊었는데, 아들이 큰 글씨를 잘 쓰는 이가 있으므로 ‘운금(雲錦)’ 두 글자를 쓰게 해서 걸어 다락의 이름으로 하였다.

 

내가 어떤가 하고 가보니 붉은 꽃향기와 푸른 잎 그림자가 넓은 못에 가득히 있는데, 흩어지는 바람과 이슬이 연파(煙波)에 오가니 이름이 헛되지 않다고 할 만하였다.

 

뿐만 아니라 용산(龍山)의 여러 산봉우리가 청ㆍ녹색을 휘날려 처마 밑으로 모여드니 어둡고 밝은 아침저녁마다 제각기 모습이 다른데, 저쪽 여염의 연기가 피어오르는 민가는 그 형세의 곡절을 앉아서도 세어 볼 수 있으며, 지고 이고 말 타고 걸어 왕래하는 자와 달리는 자, 쉬는 자, 돌아보는 자, 부르는 자와 친구를 만나 서서 말하는 자와 존장을 만나 달려가 절하는 자들도 모두 그 모습을 감추지 못하니 바라보며 즐길 만한데, 저들에게 있어서는 못이 있는 것만 보이고 다락이 있음은 알지 못하니, 또 어찌 그 다락에 사람이 있음을 알 수 있으랴.

 


참으로 찾아가 구경할 좋은 경치는 반드시 외지고 먼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조정과 저자의 사람들이 언제나 보아도 알지 못하는 곳에도 있는 것이니, 아마도 하늘이 만들고 땅이 감추어 쉽게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는 것인가 싶다.

 

후(侯)가 만호(萬戶)의 병부를 차고 외척(外戚)의 권세를 차지하였는데 나이가 옛사람의 강사(强仕)할 때에 미치지 못하였으니 부귀와 이록(利祿)에 취하고 빠질 것이지만, 어진 이와 지혜 있는 이가 좋아하는 산과 물을 즐기며 백성을 놀래키지도 않고, 선비에게 꺼림을 받지도 않으면서 그윽하고 기이하고 한가로우며 넓은 지경을 저자와 조정 사람들이 미처 알지 못하는 곳에 차지하고, 그 어버이를 즐겁게 하여 손님에게까지 미치게 하며 그 몸을 즐겁게 하여 다른 사람에게까지 미치게 하니, 이야말로 가상한 일이다.

 

익재거사(益齋居士) 아무개는 기문을 쓴다.
----------------------------
*강사(强仕) : 40세를 말하는 것으로 《예기》 〈곡례(曲禮)〉에 40세는 강건하여 벼슬하는 나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사람이 40세에 이르면 지려(智慮)와 기력이 모두 강하여 진다고 하여 그렇게 말한 것이라 한다.

 

 

○ 묘련사 석지조 기(妙蓮寺石池?記)

 

 

삼장순암법사(三藏順奄法師)가 천자의 조서를 받들어 풍악산(楓岳山) 절에 불공드리고서 그 길로 한송정(寒松亭)을 유람하였다.

 

그 위에 석지조(石池?)가 있으므로 주민에게 물으니, 이는 옛날 사람들이 차를 끓여 마시던 것인데, 어느 시대에 만든 것인지는 모른다고 하였다.

 

법사가 혼자서 생각하기를 어릴 때 일찍이 묘련사(妙蓮寺)에서 두 개의 돌이 풀속에 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 형상을 생각하면 이런 물건이 아니었던가 하였다.

 

그리고 돌아와서 찾아보니 과연 있었는데 그 한쪽은 네모나게 갈라서 말처럼 만들고 그 가운데를 둥글게 하여 절구와 같으니 샘물을 담는 것이고, 그 아래에는 구멍이 있어 입과 같으니, 흐린 물을 나가게 해서 맑은 물을 고이게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두 곳이 움푹한데 둥근 것은 불을 때는 곳이고 길쭉한 것은 그릇을 씻는 곳이다.

 

또 구멍을 조금 크게 하여 움푹하게 하였는데 둥근 것은 바람이 들어오게 한 것으로, 합하여 이름하면 석지조(石池?)라는 것이었다.

 

이에 10명의 인부를 시켜 굴려다 지붕 아래에 놓고 손님을 초청하여 거기에 둘러앉게 한다음 백설같은 샘물을 길어다 황금같은 차를 끓이면서

익재(益齋)에게 말하기를,

 

“옛날 최정안(崔靖安) 공이 일찍이 쌍명기로회(雙明耆老會)를 열었는데, 그곳이 지금 이 절의 북쪽 산으로 절에서 가깝기가 수백 보이니 이것이 그 당시의 물건인지요?

 

목암(牧菴) 무외국사(無畏國師)가 이 절에 거주하였으니, 삼암(三菴) 같은 이가 일찍이 왕래한 일이 있고, 한번 글로 평가하였다면 이 물건의 값이 반드시 세 배는 되었을 것인데, 어찌하여 무성한 숲 속에 묻혀 있게 된 것이요?

 

쌍명회로부터 지금까지는 2백년이나 되는데, 처음으로 나를 위하여 한 번 나와서 앞으로 소용이 되게 되었으니, 기문을 써서 그 동안 이 물건이 불우했던 것을 위로하고 내가 얻은 것을 경축하여 주시오.” 하는 것이었다.

 

가만히 생각하니, 쌍명회합에 대해서는 이 학사(李學士) 미수(眉?)라는 이가 있어서 한 포기 풀과 한 그루 나무의 작은 것에 이르기까지도 그것이 담소(談笑) 거리가 될 만한 것이면 모두 시와 문장에 적었는데, 지금 그 문집 속에서 찾아보아도 이것에 대해서는 한 마디 말도 없으니 어찌된 일인가.

 

그 후에는 일 만들기를 좋아하기로 최 태위(崔太尉)의 형제같은 이가 이곳에 와서 집을 짓고 살았다는 말을 아직 듣지 못하였다.

 

이 돌이 지조(池?)로 된 것이, 쌍명회 이전의 일이라면 저 한송정의 것과 어느 것이 먼저가 되고 뒤가 될지 모를 일이니 대개 그것이 파묻혀서 불우해진 지가 오래된 것이다.

 

어찌 삼암에게 뿐이리요.

 

미수에게도 만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거의 3백년 전에 파묻혔다가 하루아침에 나타나 삼암이나 미수와도 만나지 못하였으나, 법사와 만나게 되었으니 만나는 것도 이른바 운수라는 것이 그 사이에 있는 것 같다.

 

물건과 사람이 항상 서로 이름을 내는 것으로서 가(柯)의 피리와 풍(?)의 검이 옹(邕)과 환(煥)을 기다려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는데, 원래 두 사람의 알아보는 식견이 천 년 후에도 본받을 만하지만 이름난 것은 역시 두 물건 때문이기도 한 것이다.  


법사는 벼슬하는 명문의 자손으로, 머리를 깎아 중이 되기는 하였지만 원래는 부귀한 사람이었다.

 

지금 천자의 사신이 되어 와서, 한 나라의 임금으로도 경애(敬愛)하기를 사우(師友)같이 하는데, 도리어 시인(詩人)이나 문장가들과 음풍영월(吟風詠月)하는 곳에 거닐고 있으니, 그 도량을 알 만한 일이다.

 

장차 뒷날 오늘 일을 미처 보지 못한 이들로 하여금 그 이름을 듣고 그 마음 가운데의 두 개의 석물(石物)을 알게 하려 하는 것이니, 이것이 어찌 옹과 환의 피리와 검과 같은 것이랴.

 

 

◆ 동문선 제84권  서(序)

 
○ 이익재 후서정록서(李益齋後西征錄序) - 최해(崔瀣) 찬(撰)

 

 

익재 선생이 연우(延祐)초기에 사명을 받들고,

아미산(峨眉山)에 강향(降香)할 적에 〈서정록(西征錄)〉을 지어 초승(楚僧) 가모옥(可茅屋)이 서문을 하였고, 지치(至治) 말기에 이르러 또 태위왕(太尉王)을 맞기 위하여 임조(臨?)를 지나 하주(河州)에 이를 적에 〈후서정록(後西征錄)〉을 지어 나에게 내보이며 서문을 짓게 하였다.

 

나는, 오직 만리의 땅을 가보지 않고 만 권의 서적을 읽어보지 않고서는 두보(杜甫)의 시를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을 알고 있는데, 천박한 지식으로 성편(成編)에 눈을 붙이는 것만도 오히려 참람하다 하겠거늘, 하물며 제사(題辭)를 쓰라는 명령은 가당치도 않은 일이다.

 

그러나 삼가 두어 번을 내리 읽을수록 사의(詞義)가 침착하다.

 

본시 가슴속에 충만한 충의가 물에 접촉하여 발로되었기 때문에 형세가 그렇게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요언(?言) 만어(?語)는 대개 한 구도 없으며, 회고(懷古) 감사(感事)의 구절에 이르러서는 뜻이 또한 정미하여 전배(前輩)의 가려운 곳을 긁은 데가 많았다.

 

회암 부자(晦庵夫子- 주희朱熹)가 일찍이 구양공(歐陽公)의 한 연구(聯句)를 칭찬하며 이르기를, “시로 말하면 이는 제 일등의 시요, 의논으로 말하면 이는 제 일등 의논이다.” 하였는데, 나는 이 시에 역시 동감되는 바 있다.

 

짐짓 써서 명령에 답하는 바이다.

 

 

◆ 동문선 제85권  서(序)

 
○ 제비전서(諸妃傳序)

 

 

부부가 있은 연후에 부자가 있고, 부자가 있은 연후에 군신과 상하가 있어 예의가 시행될 수 있으니, 부부라는 것은 인륜의 근본으로 국가의 치란도 이를 말미암지 않음이 없다.

 

제비 알이 상(商) 나라를 낳고, 용의 침이 주(周) 나라를 멸하고, 초(楚) 나라는 번희(樊姬)로 인하여 창성하고, 식(息) 나라는 규씨(?氏)로 인하여 망하였으니, 경계하지 않아서 되겠는가. 두렵지 아니한가.

 

그러므로 제비(諸妃)의 전을 기술하는 것이다. 그중 아들도 없고 드러난 선악이 없는 이는 생략한다.
----------------------------
*제비 …… 낳고 : 고신씨(高辛氏)의 비 간적(簡狄)이 기도하다가 제비가 떨어뜨려 준 알을 삼키고 설(契)을 낳았는데, 그 후세에 마침내 유상씨(有商氏)가 되어 천하를 소유하였다.

 

*용의 …… 멸하고 : 용시(龍?)는 즉 용의 침이다.


《사기》 주본기에 “하(夏) 나라가 망할 무렵에 두 신룡(神龍)이 대궐의 뜰에 내려와 있다가 용은 죽고 그 침만 남아 있으므로 그것을 독(?)에다 수장해 두었었다.


그 후 하 나라가 망하자 그 독이 주 나라로 넘어왔으나 감히 누구도 열어보지 못하였고, 여왕(?王) 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열어보니 그 침이 뜰에 흘러내려 현원(玄?)이 되었는데 후궁(後宮)의 동첩(童妾)이 지나다가 그것을 보고 난 뒤에 임신하여 포사(褒?)를 낳았다.” 하였다.


뒤에 포사는 주 유왕(周幽王)의 총희(寵姬)가 되었는데 결국 그로 인하여 주 나라는 망하고 말았다.

 

 

○ 서(序) - 종실전서(宗室傳序)

 

 

국가의 제도에 종실(宗室)은 제왕(諸王)이라 칭하여, 한(漢) 나라의 여러 유(劉)씨와 당(唐) 나라의 여러 이(李)씨에게 하였던 것과 같다.

 

그것은 동성(同姓)을 말한 것이요, 작(爵)은 아니다.

 

가깝고 높은 이는 작을 내려 공(公)으로 삼고, 그 다음은 후(侯)로 삼으며, 먼 이는 백(伯)으로 삼고, 어린이는 사도(司徒)ㆍ사공(司空)으로 삼아서, 안으로는 그 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밖으로는 그 기세를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그로 하여금 관(官)에 나아가고 백성을 다스리게 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조종(祖宗)이 친척을 안보하는 방법이다.

 

김관의(金寬毅)의 《왕대종록(王代宗錄)》과 임경숙(任景肅)의 《경원록(瓊源錄)》은 종녀(宗女)나 종자(宗子)가 병렬되어 그 세보(世譜)를 들춰보아도 산란하여 분별하기 어렵다.

 

소백(小白)이 제(齊) 나라에 군림하자 고자매(姑姉妹)가 출가하지 못했고, 조보(稠父)가 오(吳) 나라에 장가들어 오맹자(吳孟子)라 이르는 것도 기롱할 것이 못 된단 말인가.

 

표나게 드러나는 것이 또 어찌《춘추(春秋)》의 노(魯) 나라를 기휘(忌諱)한 법이 되랴.

 

그런즉 종녀(宗女)는 비록 친(親)이요, 또 귀하지만 부인이요, 외부모의 집이니 생략해야만 할 것이다.

 

 

○ 서(序) - 설곡시서(雪谷詩序)

 
설곡(雪谷) 정중부(鄭仲孚)는 최춘헌(崔春軒)의 사위로, 최졸옹(崔拙翁)에게 수업(受業)하였다.

 

졸옹은 고항(高亢)하여 사람을 허하는 일이 적고, 춘헌은 점잖아서 자기와 가까운 사람에게 아첨하지 않았는데, 매양 나를 만나면 중부의 어진 것을 칭찬하는 것이다.

 

나는 이로써 그 인품을 짐작하였다.

 

중부가 이미 벼슬길에 올라 사한(史翰)을 지냈고, 10년이 못 되어서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제수되어, 외직으로 나가 울주(蔚州)의 원이 되어 선정(善政)이 있었다.

 

그래서 떠날 때에 백성이 늙은이를 부축하고 어린애를 이끌고 나와 수레를 붙들며 눈물짓는 것을 막아낼 수가 없었다.

 

그 후 국표(國表)를 받들고 중국에 갔는데, 승상(丞相) 별가보화(別哥普化)가 중히 여겨 장차 천자에게 추천하려 하였으나 중부가 병들어 일어나지 못했다.

 

아들 추(樞)가 영구를 받들고 본국으로 돌아오니, 듣는 자마다 경탄하고 애석하지 않는 이 없었다.

 

아, 옛날에 재주 있고 수(壽)하지 못한 자로 당(唐) 나라의 이장길(李長吉), 송(宋) 나라의 형돈(邢敦)이 있었는데, 그 두 사람 역시 백성에게 사랑을 받고, 대인(大人)에게 소중히 보인 것이 우리 중부와 같았는가.

 

그렇다면 동방의 선비가 중부의 불행을 두고 경탄하며 애석하는 것이 더욱 당연하다 하겠다.

 

저술한 시문(詩文) 약간 편을 추(樞)가 편집하여 전후집 2권을 만들었다.

 

 

얻어보고 슬프게 여겨 세 번 읽은 뒤 졸문(拙文)을 그 서두에 써서 정씨에게 돌린다.

 

추는 지금 도관낭중(都官郞中)으로 있는데, 실은 나의 문생(門生)이다.

 

 

○ 서(序) - 송 근재안대부 부상주목서(送謹齋安大夫赴尙州牧序)

 
동남의 주ㆍ군에서 경주(慶州)가 제일 크고, 상주(尙州)가 그 다음이다.

 

그 도의 명칭을 경상도라 하는 것이 이것 때문이다.

 

그러나 사명을 받든 자는 반드시 먼저 상주를 거쳐서 경주로 가게 되므로 풍화(風化)의 유행이 상주로 말미암아 남으로 가고, 언제나 경주로 말미암아 북으로 오지는 않았다.

 

지정(至正) 3년 봄에 근재(謹齋) 안후(安侯)가 감찰대부(監察大夫) 우문관제학(右文館提學)으로서 상주 목사로 나가게 되니, 진신(搢紳)의 어진이와 종유하는 좋은 인물들이 모두 서로 경축하여 말하기를,

 

“후(侯)는 안으로는 강하고 밖으로는 화(和)하며, 말은 간략하고 행동은 민첩하다.

 

 

강하고 간략하면 사람이 꺼려서 범하지 못하고, 화하고 민첩하면 사람이 즐거워하며 따른다.

 

그의 사명을 받드는 자가, 전에는 그 이름을 사모하다가 지금 그 덕을 보게 되면, 비록 영성(?成)의 호랑이와 지도(?都)의 매[鷹]가 있을지라도 거의 그 혹독한 행동을 늦출 만하며, 상양(桑羊)의 관곽(管?)의 꾀를 하던 자도 또한 그 까다로운 버릇을 자제할 것이다.

 

그렇다면 상주 백성이 거의 숨을 쉴 수 있으며, 이미 풍화가 상주로 말미암아 남으로 간다 하였으니, 곧 상주 한 고을만이 그 복을 오로지 받는 것이 아니라 또한 경상 일도의 복이다.” 한다.


나는, “제군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대개 부귀와 영달은 인정의 다 같이 바라는 바다.

 

그러나 임금의 깊은 지우(知遇)를 입고, 남들의 무거운 소망을 지고서 능히 겸손하여 급류에 휩쓸리지 않고, 그칠 줄을 아는 자는 고금(古今)에 구해도 대개 천에 열, 백에 하나일 정도이다.

 

그러므로 백발의 양친이 당(堂)에 있으되 약한 아우나 어린 누이를 달래서 그 공양을 받들게 하고, 천리의 먼 길을 분주하여 헌상(軒裳)의 하루아침 영화를 넘겨다보아도 세상이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후(侯)는 중국에서 대과(大科)를 하고, 문장이 우리나라에서 독천하여 화관(華官) 요직을 내리 지내고, 과장(科場)에서 시관의 직무를 맡았다.

 

지난해에 가족을 데리고 돌아가서 대부인(大夫人)을 모시려 하다가, 걸음이 절반 길도 못 가서 역사(驛使)를 달리어 소환해서 풍헌(風憲)의 권(權)을 위임하게 되었으니, 임금의 지우가 깊지 않은 것이 아니며, 사람들이 기대하는 바가 중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그런데 힘써 외임을 구하여 노모를 보살피는 데 편하게 하며, 지금 그 형제는 중외에 벼슬하고 있으니, 그 청렴하고 퇴양(退讓)하는 아름다움과 효우의 독실함이 족히 당세를 격려하고 후세에 전할 만하다.

 

어찌 한 주(州)를 복되게 하고, 한 도를 풍화(風化)하는 데 그칠 뿐이랴.

 

 

임금의 지우가 장차 더욱 깊고 사람의 기대가 장차 더욱 중하리니, 영각(鈴閣)을 거쳐서 황각(黃閣)에 올라 김진숙(金眞肅)의 자취를 계승할 것을 마음속 깊이 기다릴 만하다.” 하였다.

 

제군의 말이, “그렇다.” 하므로 이에 쓴다.

 

 

○ 서(序) - 송 신원외 북상서(送辛員外北上序)

 
선비의 행세하는 것이 배와 같다.

 

그 재주는 돛대가 되고 그 운명은 순풍이 되어야 잘 갈 수 있는 것이요, 재주와 운명이 있어도 그 뜻이 혹 비열하면 돛대도 완전하고 풍세도 이로운데 배를 젓는 자가 적격이 아닌 것과 같으니, 어찌 능히 만곡(萬斛)의 무게를 싣고 머나먼 만리를 도달하여 그 통하지 못하는 곳을 건널 수 있으랴.

 

원외(員外) 신후(辛侯)는 속발(束髮)머리 때부터 글을 읽어, 민첩하되 묻기를 좋아하며, 한묵(翰墨)으로 뛰어난 재주를 드날리고 부서(簿書)에 있어서도 출중한 능력을 발휘하니 재주가 있다고 이를 만하다.

 

벼슬길에 나아가 몇 해가 못 되어 제학(提學)ㆍ대언(代言)을 역임하고, 밀직(密直)ㆍ첨의(僉議)로 옮기었으며,인해서 성랑(星郞)ㆍ동성(東省)이 되었으니, 운명이 있다고 이를 만하다.

 

 

옛 친구들을 끌어서 함께 제공(諸公)을 승진시키고, 노숙한 선배에게 물어서 모든 정사를 고르게 하며, 낯빛을 단정히 하여 군주를 바로잡고 정성으로 미루어 빈객을 대접했으니, 그는 뜻이 있다고 이를 만하다.

 

이제 조관(朝官)으로서 부름을 받아 행장을 수습하여 서로 떠나니, 재주의 기특함과 운명의 통달함과, 뜻의 큰 것을 장차 이에서 더욱 보게 되었다.

 

권찬선(權贊善) 이하 28가(家)가 정우곡(鄭愚谷)의 사연시(謝宴詩)를 토대로 하여 운자를 정하여 편장(篇章)을 모아 행차를 아름답게 하고, 나에게 부탁하여 서문을 짓게 하므로, 나는 술잔을 잡고 앞으로 나가서 배에 대한 이야기를 끝마치기로 한다.

 

대개 강하(江河)와 명발(溟渤)이 크고 작음은 비록 다르나, 그 가운데 배가 다니는 것은 같다.

 

 

돛대를 세우고 풍석을 다는 것은 나가기 위한 것이요, 줄을 매고 닻을 내리는 것은 멈추어 있기 위한 것이다.

 

또 반드시 의여(衣? 걸레)가 있는 것은 물이 새는 것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왕국(王國)은 강하요, 천자의 나라는 명발(溟渤)이다.

 

 

후(侯)의 배는 강하로 말미암아 명발로 가는 것이니, 진실로 능히 그 의(義)를 돛대로 삼고, 그 신(信)을 풍석으로 하고, 그 예를 줄로 삼고, 그 지혜를 닻으로 하며, 그 경신(敬愼)과 염근(廉勤)을 의여로 하면, 어느 무거운 것인들 싣지 못하며, 어느 먼 데인들 가지 못하며, 어느 통하지 못한 곳인들 건너지 못하랴.

 

 

옛날 전숙(田叔) 한안국(韓安國)은 양(梁) 나라ㆍ조(趙) 나라의 신하로서 한(漢) 나라 조정에 들어서 이름을 당시에 날리고, 명예를 후세에 전하게 되었는데, 나는 지금 후(侯)에게 이것을 바라는 것이다.

 

 

○ 서(序) - 송 대선사 호공지정혜사시서(送大禪師瑚公之定慧社詩序) 석호(釋瑚)

 
옛날에 선(禪)을 배우는 선비는 세 번 투자(投子)에 오르고, 아홉 번 동산(洞山)에 이르러 천리를 오가며 능히 스스로 휴식할 틈이 없었는데, 대개 그 소득으로 선각(先覺)에 질문하여 독견(獨見)을 버리고,심계(心?)가 서로 합치되는 지경에 이르러야 말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 부지런함이 이와 같았다.

 

지금 세상에 처하여 옛 사람과 짝을 지어도 넉넉히 부끄러움이 없을 만한 이는, 오직 우리 호공(瑚公) 대선사(大禪師)가 아니랴.

 

공은 이미 승선(僧選)에 올라서 총림(叢林)에 드날리고, 곧 풍악(楓岳)으로 가서 자기가 할 일을 정수(精修)하였다.

 

 

그때 서역에 지공사(指空師)가 있어 우뚝히 보리달마(菩提達磨)에게 스스로 비하니, 사람들이 모여들어 다투어 제자의 예를 집행하므로, 공도 역시 가보았다.

 

지공은 말하기를, “내가 일주향(一炷香)을 불사르면 그대는 문득 도망하고, 내가 한 마디 소리를 지르면 그대는 문득 도로 오라.” 하니, 대답하기를, “화상(和尙)이 먼저 하시오. 제가 삿갓[笠子]을 들고서 따를 것입니다.” 하였다.

 

그래서 그 문도들이 지목하여 공손하지 못하다 여기고, 무례한 행동을 가하려고 하니, 공은 옷소매를 떨치고 돌아보지 아니한 채 떠났다.

 

드디어 남으로 강절(江浙)ㆍ이광(二廣)ㆍ사천(四川)ㆍ감숙(甘肅)ㆍ운대(雲代)에 노닐며 몇 해의 염량(炎?)를 겪는 동안에 가보지 아니한 곳이 없었다.

 

그래서 보는 바가 넓어짐에 따라 세운 바가 우뚝하며, 증험한 바가 뚜렷함에 따라 지킨 바가 굳건하여졌다.

 

이에 유유히 돌아와서 담담하게 처하니, 지난 날 의심하던 자가 부끄러워하고, 조롱하던 자가 굴복하였다.

 

공은 말하기를, “의심하고 조롱하던 자는 과연 그르다고 여겼을까.

 

부끄러워하고 굴복하는 자는 과연 옳다고 여겼을까.

 

옳게 여기고 그르게 여기는 것은 남이 하는 일이니, 내 자신은 알 까닭이 없다.” 하였다.

 

임금이 듣고 더욱 중히 여기어 정혜사(定慧社)를 주장하게 하니, 여러 학사들이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몸은 천하의 반이 되는 만리를 다녔고, 중이 한 암자에 누웠는데 비로소 머리가 희었네.

[身行萬里半天下 僧臥一菴初白頭]” 하는 두 구절의 글자로 운을 달아서, 시 14편을 지어 그 행(行)에 증정하니, 공은 또 익재 거사에게 글을 청하여 그 머리에 제하게 하였다.

 

그러나 거사는 너무 늙었으니 어찌 글을 잘할 수 있으랴.

 

당 나라 문창(文暢)이 매양 이름난 공경들과 상종하여 그 뜻을 읊고 노래 부르기를 청하였는데, 후세에 전한 것은 오직 한퇴지(韓退之)ㆍ유자후(柳子厚)의 두 서문일 뿐이요,

 

승상 사마온공(司馬溫公)이 또 한퇴지의 몇 마디 말을 유독히 취택한 것은 그 의논이 정대하기 때문이었다.

 

문창은 한갓 문사(文辭)만을 좋아하는 자이니, 공이 어찌 문창의 짝이겠는가.

 

여러 학사가 각기 시를 읊고 노래하였으니, 능히 그 뜻을 잘 통달하게 되었는가.

 

익재의 글이 능히 그 청에 부응할 수 있게 되었는가.

 

사마 승상은 세상에 결코 있을 수 없으며, 설사 있더라도 익재가 쓴 글의 말을 취택할 것이 있을 것인지, 그 여부는 익재 자신 역시 알 수 없는 바이다.

 

이에 한번 웃으며 쓴다.

 

 

○ 서(序) - 금서밀교 대장서(金書密敎大藏序)

 

 

불교에 대한 서적이 중국에 들어와서 번역하여 경(經)이 된 것이 수천만 권이지만, 이른바 다라니(?羅尼)라는 것은 중국에서도 번역할 수 없는 것이요,

 

 

오직 중국만 그럴 뿐 아니라 서역 사람들로도 역시 들어서 해득하지 못하는 것이며, 오직 부처가 부처끼리 만나야 알 수 있는 것이라 한다.

 

대개 그 의(義)가 깊고 그 말이 신비하기 때문에 들을 길이 없고, 깊기 때문에 해득하지 못하는 것이며, 해득하지 못할수록 사람의 공경은 더욱 돈독하고, 들을 길이 없을수록 사람의 존중은 더욱 지극하다.

 

존중이 지극하고 공경이 돈독하면, 사람에게 영감되는 것도 반드시 깊을 것이며 신령하고 특이한 자취도 또한 많을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옛 사람도 그것이 이와 같음을 알고 모아 편찬하여 90권을 이루고, 밀교대장(密敎大藏)이라 이름하여 발간해서 세상에 돌아다니는데, 이 90권은 수천만 권의 근본이 된다.

 

우리 전하께서 만기(萬機)의 겨를에 불경에 뜻을 두어, 그 밀교(密敎)에 있어서는 신앙이 더욱 절실하시므로, 내탕금을 끌어내어 이금(泥金)으로 쓰게 하셨다.

 

봉익대부 판내부사사 상호군(奉翊大夫判內府寺事上護軍) 신 나영수(羅英秀)가 실로 그 일을 주장하게 되어, 이에 구본(舊本)을 여러 경에 비교하여, 혹은 고치고 혹은 삭제하여 바르게 만들고, 또 거두지 못한 것을 더 구하여 40권을 얻어 구본과 함께 도합 1백 30권이 되자 글씨 잘 쓰는 이에게 부탁하여 부별로 나누어 써내니, 찬란하여 열성(列星)이 어울려 빛나고 여러 꽃송이가 한꺼번에 핀 것같아서, 그야말로 법보(法寶)였다.

 

완성이 됨에 따라 신 이제현(李齊賢)에게 명하여 서문을 짓게 하셨으나, 신은 썩은 선비라 그 글월이 족히 본지에 부응하지 못할 것이다.

 

가만히 생각하건대 불씨(佛氏 석가)의 도는 자비와 희사(喜捨)를 근본으로 삼는데, 자비는 인(仁)에 속하는 일이요, 희사는 의에 속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그 글의 대지는 또한 엿볼 수 있는 것인가.

 

이른바 수천만 권이란 책을 만승(萬乘)의 세력으로 한다면 어려운 것이 아니지만, 그 글이 많은 이상 그 비용도 또한 막대할 것이니, 백성의 재물을 빼앗아서 그에 충당할 수밖에 없다면 너무도 불씨의 뜻이 아니다.

 

지금 전하께서는 백성의 재물을 손상시키지 아니하고, 백성의 힘을 허비하지 아니하고, 간략하되 그 요령을 얻었고, 빨리 하였지만 그 정함을 이루었으니, 불씨의 뜻을 체득한 것인 동시에, 그 공덕이 어찌 용이하게 평가될 수 있으랴.

 

감탄만으로는 부족하여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삼가 쓴다.

 

 

◆ 동문선 제86권   서(序)

 

 

○ 익재 선생 난고 서(益齋先生亂藁序) - 이색(李穡)

 

 

원 나라가 천하를 차지하여 사해(四海)를 통일하니, 삼광(三光) 오악(五嶽)의 기운이 함께 뭉치어 넓고 크게 움직이고 뻗치어, 중원과 변방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한 세상을 주름잡는 재주가 그 사이에 섞여 나서 무르익고 성한 것에 젖어들어

그 정수를 취하여 문장으로 펼쳐내어, 일대의 정치를 빛나게 장식하였으니 거룩하다 이르겠다.  

 

고려 익재 선생은 이때에 나서 나이가 20이 되기 전에 문장이 벌써 당세에 유명하여 크게 충선왕(忠宣王)이 중히 여긴 바 되고, 시종(侍從)으로 연곡(輦穀)의 아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의 대유(大儒) 진신(搢紳) 선생으로 목암(牧菴) 요공(姚公)ㆍ염공(閻公) 자정(子靜)ㆍ조공(趙公) 자앙(子昻)ㆍ원공(元公) 복초(復初)ㆍ장공(張公) 양호(養浩)가 모두 왕의 문하에 종유하므로, 선생은 그들과 더불어 교제하게 되어, 보는 것이 바꾸어지고 듣는 것이 새로워져 격려(激勵)되고 변화되어, 진실로 고명하고 정대한 학문을 궁극하였다.

 

또 사명을 받들어 천촉(川蜀)에 가고, 왕을 모시고 오회(吳會)를 구경하여 만여리를 오가는 동안에, 웅장한 산하와 특수한 풍속과 옛 성현의 유적과, 무릇 굉장하고 기절한 구경이 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일괄(一括)하여 남겨둠이 없었으니, 그 통활하고 호방한 기운은 거의 사마자장(司馬子長)보다 못하지 않았다.

 

만약 선생으로 하여금 이름을 왕관(王官)에 올리고 제제(帝制)를 관장하며 대각(臺閣)에 오래도록 계시게 하였다면 공업의 성취가 결코 요(姚)ㆍ조(趙) 여러 군자에게 양보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자취를 거두고 동으로 돌아와 다섯 임금을 모셔 네 번이나 총재(?宰)가 되었으니, 동국 백성에게 있어서는 다행한 일이었다.

 

그러나 사문(斯文)에 있어서는 어찌하랴.

 

비록 그러하나 동쪽 사람이 우러르기를 태산과 같이하며, 학문하는 선비가 그 누습을 버리고 차츰 정성(正聲)으로 돌아오게 된 것은 다 선생의 교화였다.

 

옛 사람으로서 비록 이름이 왕관(王官)에 오르지 못하였으나 교화가 각각 그 나라에 시행되어 남은 바람이 후세에 떨친 이가 있으니, 저 숙향(叔向)ㆍ자산(子産)같은 이를 어찌 적게 여길 수 있으랴.

 

천자를 보필하여 천하에 호령하는 것은 어느 누가 사모하지 않겠는가만 이름을 전하고 못 전하는 것은 그에 있지 아니하고 이에 있으니, 무엇을 한탄하리오.

 

선생의 저술이 매우 많았는데 일찍이 말씀하기를, “선친 동암(東菴) 공께서도 아직 문집이 세상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데 하물며 소자(小子)이랴.” 하였다.

 

그러므로 시ㆍ문에 있어, 지으면 곧 버렸는데 남들이 소장하였다.

 

선생의 막내아들 대부소경(大府少卿) 창로(彰路)와 장손(長孫) 내서사인(內書舍人) 보림(寶林)이 서로 수집하여 몇 권을 만들어 목판에 새기기로 의논하고 나에게 서문을 명하였다.

 

 

나는 말하기를, “선생께서 편찬하신 국사(國史)도 오히려 병란에 분실됨을 면치 못했는데, 하물며 편언척자(片言隻字)로 남에게 수장된 것이야 소실될 것을 어찌 의심하랴.

 

이 몇 권만이라도 불가불 빨리 간행되어야 하겠다.

 

그대들은 아무쪼록 노력하라.

 

아, 나야 어찌 문장을 아는 자겠는가만 부자(父子)가 선생의 문생이 되었기로 감히 사양하지 못하고 짐짓 소견을 기록하는 바다.” 하였다.

 

 

◆ 동문선 제102권  -  발(跋)

 
○ 서 회암심선사도 호당명 후(書檜巖心禪師道號堂名後)

 
글씨라는 것은 마음의 획(劃)이다.

 

옛날 진신(搢紳) 군자의 필적을 보면, 삼엄하게 법도가 있어 족히 그 사람됨을 상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성조(聖朝 고려 태조)와 인종(仁宗)과 명종(明宗)의 필법의 묘에 이르러서는 특히 그 한가지 일이나 그 규모와 기상이 또한 신자(臣子)들이 가히 얻어 방불하게 할 바 못됨이 있다.

 

주상전하(主上殿下 현재 왕위에 있는 임금)께서 크게 ‘직지당월담(直指當月潭)’의 5자를 써서 회암심선사(檜巖心禪師)에게 하사하시니, 천년 된 곧은 줄기를 찍어내어 집을 가설한 것과 같고, 만금(萬金)의 아름다운 옥을 가려서 그릇을 이룬 것과 같아서 한갓 옷깃을 더럽혀 가며 모발이 세도록 배운 자와는 똑 같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그 천부의 재능으로 자연히 얻은 것이 아니냐.

 

심선사가 북방으로는 연(燕)과 조(趙)를 유람하고, 남쪽으로는 호상(湖湘 동정호(洞庭湖)와 상수(湘水))까지 다다르면서 두룩 덕이 높고 나이 많은 고승(高僧)을 참알하여 천암(千巖)의 무명장로(無明長老)가 인정하는 바 되어 한림(翰林) 구양승지(歐陽承旨)가 게다(偈?)를 지어 이를 찬미하였다.

 

내 일찍이 그 집에 나아가서 《육조단경(六祖壇經)》을 물었더니 그 말이 간략하고도 뜻을 다하여 사람들이 듣는데 염증을 느끼지 않게 하니, 우리 임금에게 전배(展拜)와 지우(知遇)를 입어 친히 보찰(寶札 어필)을 내리시어 산문(山門 사찰의 바깥문)을 빛나게 한 것은 대개 요행한 일이 아닌 것이다.
-----------------------------
*게다(偈?) : 불교에서 석가여래나 그 후에 명승지식(名僧知識)을 찬미한 노래.
*《육조단경(六祖亶經)》 : 불교 선종(禪宗)은 인도승(印度僧) 달마대사(達磨大師)가 중국으로 와서 선포하기 시작하였으므로 달마대사를 선종 제 1대조(祖)라고 한다.
그 후에 그 수제자(首弟子)로 대사의 허가를 맡은 사람이 제연대조가 되었고, 그렇게 전하여 혜능(慧能) 대사에 이르렀는데, 그가 제 6 대조가 되었다.
그 혜능대사의 법단에서 설교한 것을 《육조단경》이라 한다.

 

 

◆ 발(跋)

 

 

○ 역옹패설 후(?翁稗說後)

 
손[客]이 역옹(木+樂翁)에게 이르기를,

 

“자네가 앞에 기록한 바는 먼 조종(祖宗)의 계보를 기술하고, 유명한 재상의 언행도 자못 그 사이에 실었으나 종말에는 골계의 이야기로 끝마쳤고, 뒤에 기록한 바는 경사(經史 경서와 사기)에 출입함은 얼마 되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장구(章句)를 분석하였을 따름이니, 어찌하여 그 독특한 풍조(風操)가 없는가.

 

단아한 선비와 점잖은 사람은 마땅히 할 바 아니다.” 한다.

 

나는 답하기를, “쿵쿵[坎坎- 북치는 소리]치는 북소리를 풍(風- 시의 하나)에 나열하고, 파사(婆娑- 춤의 일종)를 추는 것을 아(雅- 시의 하나)에 편입하였는데, 하물며 이 기록은 본래 한가로울 때의 번민을 없애기 위하여 붓끝에 맡겨 한 것이니, 그 희론(?論)있는 것이 무엇이 괴이하단 말인가. 부자(夫子)는, ‘박혁(朴奕- 바둑과 장기)도 마음을 쓰는 바가 없는 것보다는 낫다.’ 하였는데, 장구를 분석 논란함이 박혁에 비하여 오히려 낫지 않은가.

 

또 이와 같지 않았다면 패설이라 이름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였다.

 

 

◆ 동문선 제118권  -   비명(碑銘)

 
○ 묘련사 중흥비(妙蓮寺中興碑)

 

 

경성(京城)의 진산(鎭山)을 송산(崧山) 송나라 사람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송악(崧嶽)을 송산(崧山)이라 하였다 라고 한다.

 

그 산 동쪽 산등성이가 남으로 뻗어나 눕혀져서 서쪽으로 꺾이었으니, 낮게 숙인 것은 적고 우뚝 일어난 곳은 많으며, 또 나누어져 남쪽으로 세 개의 재(峴)가 되었다.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용이 서리고 있는 것 같고, 가까이서 보면 마치 봉(鳳)이 높이 솟은 것 같다.

 

이러한 용의 배에 해당한 위치에 웅거하고, 봉의 날갯죽지에 해당한 위치에 붙어서 절이 있는데 묘련사(妙蓮寺)라고 한다.

 

우리 충렬왕이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와 더불어 부처를 높이 신앙하였다.

 

불법에 들어가는 길은 《법화경(法華經)》이 가장 오묘한 뜻이 있고, 경문(經文)의 뜻을 통창하게 풀이한 것은 《천태소(天台疏)》에 모두 갖추어졌다고 하여 좋은 땅을 가려 정사(精舍)를 세워서 《법화경》을 읽으며 그 도(道)를 탐구하고, 《천태소》를 강설하여 그 뜻을 연구하게 하였다.

 

이렇게 해서 천자의 복을 빌며, 종묘 사직에 복을 맞이하려는 것이다.

 

지원(至元) 20년 가을에 절을 짓기 시작하여 다음 해의 여름에 낙성하였다.

 

절을 처음 연 자는 사자암(獅子菴)의 노숙(老宿 오래 도를 닦은 덕(德)이 높은 중) 홍서(洪恕)가 바로 그 사람이다.

 

처음 원혜국사(圓慧國師)가 맹주가 되어 결사(結社)하였을 때, 서(恕)가 또 그 다음 대를 이었으며 세 번째 무외국사(無畏國師)에 이르러서는, 배우는 자가 더욱 많이 모여들었다.

 

충렬왕때부터 이미 일찍이 원혜국사에게 그 자리를 여러 번 맡겼으며, 무외국사에게는 임금이 재(齋)를 대행하게 하였고, 충선왕은 더욱 그 예(禮)를 정중히 하여 모든 불교의 원문(院門)과 선종ㆍ교종의 여러 사찰에서는 감히 그러한 대우를 바라지도 못하였다.

 

무외국사의 앞에는 희(禧)니, 인(因)이니, 하는 이가 있었고, 무외국사의 뒤에는 분(芬)이니, 연(璉)이니, 홍(泓)이니, 염(焰)이니, 여(如)니 하는 이들과 지금의 당두(堂頭 선사(禪寺)의 주지) 길(吉)이니 하는 자들은 모두 승려 중에서 선택된 자로서 계승 유지하여, 범종(梵鐘)과 목어(木魚 목탁) 분향과 촛불 등 온갖 절의 의식이 처음과 다름이 없었다.

 

그런데 집이 기울어지고 기와와 쌓은 벽돌이 썩고 이지러진 것은, 대개 60년의 오랜 세월을 지났으니, 사세가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순암(順菴) 선(璇)공은 원혜국사의 적사(嫡嗣)이자, 무외국사의 조카이다.

 

 

중국의 천자가 삼장(三藏)이라는 호를 내리며 북경의 대연성사(大延聖寺)의 주지를 명하였다.

 

그 뒤 지원(至元) 병자년에, 천자가 내리는 향을 받들고 우리 나라에 돌아와서 조용히 충숙왕(忠肅王)에게 아뢰기를, “묘련사는 충렬ㆍ충선왕의 기원(祇園)으로서 그분들의 초상이 옛 그대로 있습니다.

 

전하께서 새로 수리하신다면 조상을 받드는 효도가 무엇이 이보다 더 크겠습니까.” 하였다.

 

 

임금이 듣고 감동된 바 있어 드디어 금과 은과 보기(寶器) 수백 만을 희사하여 그 절의 상주(常住) 재산, 즉 기본재산으로 돌려주니, 그 무리들이 서로 권면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어떤 이는 계획을 짜고 어떤 이는 노력을 바치었다.

 

 

방과 마루와 부엌 행랑 등 흔들리는 것은 수선하고 기울어진 것은 바로 세우며, 썩은 것은 바꿔 넣고 이지러진 것은 보수하였으며, 상설(像設)의 제의(制儀)는 아름답게 하고 재주(齋廚)의 비용을 넉넉하게 하였다.

 

푸른 소나무를 더 많이 심었으며 높은 담을 둘러쌓았다.

 

선공(璇公)이 큰 글씨를 잘 썼으므로 금으로 불전의 액자를 써서 처마 사이에 걸어 놓으니, 해와 별과 더불어 빛을 다투게 되었다.

 

또 좋은 일이 끝난 것을 서로 경하하지 않음이 없으니 마땅히 돌에 새겨서 후세에 전해야 한다고 하는 말을 합하여 조정에 청하니, 임금이 신에게 명령하여 글을 지으라고 하였다.

 

가만히 생각하여 보니, 초창(初創)하는 어려움은 수성(守成)하는 어려움만 못하고 지키는 어려움은 일으켜 회복하는 어려움만 못한 것이다.

 

이 절은 충선왕이 충렬왕의 발원을 넓혔으며 충숙왕이 수리하였다.

 

무외국사는 원혜국사의 발자취를 승습(承襲)하였고 선공이 다시 일으켰으니, 《시경(詩經)》에 이른바,

 

“오직 그가 이런 것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다.”라고 한 말이 저 나라나 집 같은 것도 아들과 손자가 능히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공업을 잊지 않고서 낡아지면 수리하고 쓰러지면 일으키기를 이 절과 같이 한다면, 비록 백세에 이를지라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니, 아름답지 아니한가.

 

모(某)는 어려서 선동암(先東菴)을 따라 무외국사의 문하에 드나들었으며 선공과도 교유하였는데, 하물며 임금의 명령이 있는데 어찌 감히 문학이 얕고 문장이 졸렬하다고 하여 사양하겠는가.

 

그 명(銘)에 말하기를,

  

오천축 나라엔 / 五竺之邦
성인이 나셔서 / 維聖斯作
중생의 구제를 생각하셨네 / 思濟生靈
병 따라 약 주시고 / 應病而藥
묘법을 베풀 수 없을 때에 / 末宣妙法
권도로 실제를 들어내셨네 / 顯實于權
영추산에 한 번 뵈니 / 靈山一會
엄숙한 모습 책을 펴셨네 / 開卷儼然
저 아란야의 산기슭에 / 彼鬱者阿
정사가 있어 / 有?精舍
두 번 덕 있는 사람들을 오라하여 / 兩致德人
자비의 교화를 밝히셨네 / 載敭慈化
도에는 트이고 막히는 것이 없으나 / 道無通塞
그릇에는 이루어진 것과 이지러진 것이 있는 것이니 / 器有成虧
어질고 지혜롭지 아니하면 / 匪賢且智
뉘가 능히 완성할까 / 疇克完之
아름다운 순암이여 / 允也順菴
한마디로 임금을 감동시켜 / 一言感主
선왕의 뜻을 이어 짓고 / 述志先王
임금의 창고에서 금을 내리게 하여 / 賜金秘府
영조하고 수즙하니 / 乃營乃葺
건축은 장대하고 아름답도다 / 美哉奐輪
시내와 산과 구름과 달은 / 溪山雲月
비록 예대로건만 오직 새로워 보이네 / 雖舊惟新
제호(순수한 우유)같은 순수한 불법의 가르침에 배가 부르고 / ?以醒?
담복(치자나무의 꽃. 향기가 썩 좋은)같은 불법의 향기에 훈증되게 하여 / 熏以??
우리의 큰 원(元)나라를 복되게 하고 / 福我皇元
이끌어 본국에 미치게 하였네 / 爰及宗國    하였다.

 

 

○ 비명(碑銘) - 유원 고려국 청평산 문수사 시장경비(有元高麗國淸平山文殊寺施藏經碑)

 
태정(泰定) 4년 3월 경자일에, 첨의정승(僉議政丞) 신(臣) 흡(恰) 등이 중알자(中謁者)로 하여금 임금께 복명 하기를,

 

“원 나라 천자의 근신(近臣) 사도 강탑리(司徒剛塔里)와 중정원사 홀독 첩목아(中政院使忽篤帖木兒)가 천자의 황후로부터 명령을 받고 사람을 보내와서,

 

‘중 성징(性澄)과 시인(寺人 후궁의 사무를 맡은 환관) 윤견(允堅) 등이 진공(進供)한 불서(佛書) 한 벌을 청평산(淸平山) 문수사(文殊寺)에 바치고, 꿰미 돈 만금(萬金)을 시주하여 그 이식(利息)을 받아쓰게 하되, 황태자의 황자(皇子)를 위하여 복을 빌게 하고, 각각 그들의 생신 날을0 택하여 중들에게 음식 대접을 하며, 경(經)을 열독(閱讀)하게 하는 것을 매년의 행사로 하라’ 하시고, 또 말하기를,

 

‘비석을 세워서 영구히 보이라’ 하였습니다.

 

신 등이 가만히 생각하오니, 불법이 중국에 들어와 시대에 따라 성하고 쇠하여 가면서 천여 년이 되었습니다.

 

중국의 조정에서는 그 도(道)가 무위(無爲- 자연 그대로 두어 인공을 더하여 만들지 아니함)로 으뜸을 삼는 것이 성인의 다스림에 부합됨이 있으며, 널리 제도(濟度)하려는 마음을 먹는 것이 어진 정치에 도움됨이 있다고 하여 높임과 믿음이 가장 돈독합니다.

 

이제 이미 전거(傳車)로써 그 경(經)을 수 천리 밖 깊은 산중에 수송하고, 또 먹고 살 근본이 되도록 원금(元金)을 적립하여 그 무리들의 생활을 넉넉하게 하였습니다.

 

이것은 곧 중들의 행복이올시다.

 

이름난 산과 복된 땅이 온 천하에 적지 않건만 우리 고을을 더럽다고 하지 않고 이에 축복의 처소를 두었으니, 이것은 다만 중들의 행복만이 아니고 또한 우리 고을의 행복입니다.

 

장차 대서특필하여 자랑하고 빛내기를 끝이 없게 하고자 합니다.

 

하물며 중궁(中宮)의 명령이 있었으니, 감히 공경하여 받들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청하건대 붓 잡는 자에게 시켜서 기록하게 하소서.” 하였다.

 

이에 신 모(某)에게 명하시었다.

 

그 명에 이르기를,

 

성하신 원 나라가 / 於皇有元
이미 대대로 어질게 세상을 다스리니 / 旣世以仁
따뜻한 봄 철맞은 비가 / 陽春時雨
구은의 만물을 화육하였다 / 亭毒九垠
이에 부처의 도가 / 乃眷金仙
무위로 가르침을 삼은 것을 돌보고 / 無爲爲敎
그의 나머지를 써서 / 用其土?
삶을 이롭게 하고 사나움을 금하여 / 利生禁暴
이것을 숭상하며 공경하여 / 是崇是敬
그 무리까지 후하게 대우하여 / 厚復其徒
부역도 시키지 않고 세금도 부과하지 않으며 / 不?不賦
오로지 그 글을 익히게 하였네 / ?習其書
불경은 1천 상자 / 其書千函
호한하기가 연기의 바다 같건만 / 浩若烟海
묘함은 터럭을 분석하고 / 妙析毫釐
넓기는 천지를 덮네 / 廣包覆載
율은 계를 따라 성립되었고 / 律繇戒立
논은 정에서부터 일어났네 / 論自定興
경을 강연하고 / 維經之演
지혜로 밝히도다 / 維慧之明
저 흰 소 수레를 타고 / 路彼軒
양거(소승불교의 성문승을 비유함)보다 녹거(소승불교의 연각승(緣覺乘)을 비유함)보다도 우뚝 뛰어나네.

 / 卓乎羊鹿
그 향기 찌는 듯하니 / 載熏其香
온 숲이 담복이던가 / 一林??
천축에서 처음 모이니 / ??千竺
가섭과 아난이 있었고 / 曰葉與難
진단(지나)에 처음 전파해 오니 / ?播于震
등과 난이 있었도다 / 曰騰與蘭
양 나라에선 쭉정이만 씹더니 / 梁取其秕
우리는 곡식을 맛보았네 / 我?維?
당에서는 돌인 줄 짐작하더니 / ?石者唐
우리가 쪼갠 것은 옥이었네 / 我剖維玉
중 성징과 시인 윤견은 / 伊澄伊堅
옷은 다르나 마음은 같아서 / 服異心同
그들이 이미 법보(불법의 경전)를 서사하고 / 旣成法寶
완성함을 주상하니 / 以奏爾功
황후가 가상하게 여기어 / 天后?嘉
봉안할 땅을 선택하여 말하기를 / 載謀之地
삼한은 / 曰維三韓
선을 즐겨하고 신의가 두터우며 / 樂善敦義
지금의 임금은 / 維時維王
우리의 외손이니 / 我出我甥
축희보상할 / 祝釐報上
그의 정성을 믿는다 / 允也其誠
그 나라 동쪽에 / 于國之東
청평산 문수사가 있으니 / 之山之寺
길이 험하고 요원한 것을 꺼리지 말고 / 毋憚阻脩
우체를 통하여 싣고 가서 시주하라 하시고 / 置郵往施
내탕의 돈을 내주어 / 發?內帑
중들의 먹을 길을 열어 주게 하였네 / ?轉食輪
오래도록 계속하여 지킬 수 있도록 / 可繼以守
국왕과 신하에게 맡기어 부탁하네 / ?王?臣
국왕은 머리 조아려 절하면서 / 王拜稽首
천자만세 축수하시네 / 天子萬歲
천자와 국왕의 뜻을 같이 하시니 / 天后是偕
본과 지는 백세에 흥왕하리다 / 本支百世
제잠(한국을 일컬음)의 돌이 닳아 없어질 때까지 / ?岺石爛
접해(접역의 바다, 즉 한국의 바다)에 물이 말라 먼지가 날릴 때까지 / ?海塵飛
공과 덕이 모여서 / 維功德聚
이 비석은 이지러지지도 넘어지지도 않으리라 / 不騫不墮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