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시조 익재 이제현

동문선(東文選)에 올라있는 익재공(益齋公)의 글(F)

녹전 이이록 2009. 2. 9. 13:13

● 동문선(東文選)에 올라있는 익재공(益齋公)의 글(F)

 

 

◆ 동문선 제42권  표전(表箋) 

 
○ 걸퇴전(乞退箋)

 

 

신이 금월 10일에 말에서 떨어져 발을 상하여 앉고 섬을 임의로 못하옵기로 직을 사면하기를 청하옵니다.

 

바다의 자라가 머리를 쳐들면 거의 영산(靈山)을 질 만하오나, 마구의 말이 굽을 상하였사온데,

어찌 청로(淸路)를 나란히 달릴 수 있겠사옵니까.

 

드디어 낮은 정성을 아뢰어, 총명을 모독하옵니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신은 문필의 용렬한 재주와 조그마하고 천한 인품으로

외람되이 병균(秉鈞)의 자리를 차지하였사오니 감히 몸이 가루가 될 것을 잊겠사옵니까마는,

항상 복속(覆?)의 근심을 품고 있사오므로 가시가 살을 찌르는 듯 하옵더니,

과연 원숭(元崇)의 족질(足疾)을 이루어 수가(須賈)의 슬행(膝行)을 견디지 못하옵고

임석(?席)의 사이에서 신음하오며, 몇 발자국 안에서도 기어다니옵니다.

 

이는 대개 재주가 미약하고 책임이 중대하여 복이 지나쳐 재앙이 생긴 것이 온 바,

입놀림이 생황(笙簧)과 같으니 함께 처하기 어렵사옵고, 함궐(銜?)에 근골(筋骨)을 손상하였사오니

진실로 은퇴함이 합당하옵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신의 사무를 생략하고 병을 치료하려 함을 가엾게 여기시고

신의 사정을 꾸며대서 은총을 회피하는 것이 아님을 양찰하시와

신으로 하여금 상유(桑楡)의 만경(晩景)에 헌상(軒裳)의 영화를 버리고 초야에 한거하여

복약의 효험을 얻도록 하여 주시오면, 오로지 강릉(岡陵)의 수(壽)를 빌며 조금이나마 천지의 은혜를 보답하겠사옵니다.
----------------------------

 

*영산(靈山)을 질 만하오나 : 바다 속에 있는 삼신산(三神山)을 말함인데, 삼신산은 15마리의 자라가 머리로 이고 있다 한다.
*원숭(元崇) : 당나라의 정승인 요원숭(姚元崇)이다.

 

*슬행(膝行) : 수가(須賈)는 전국시대 위(魏)나라 사람인데 그의 문객인 범수(范?)라는 사람을 죽이려고 하다가

범수가 진(秦)나라로 망명하여 진나라의 정승이 된 뒤에 무릎으로 기어가서 용서를 빌었다 한다.

 

*생황(笙簧) : 생황은 입으로 부는 두 가지의 악기인데 여러 사람이 한 사람을 모함한다는 말이다.
*함궐(銜?) : 궐(?)은 말의 재갈이다. 함궐은 재갈 물렸다는 말이다.
*헌상(軒裳) : 헌(軒)은 높은 관원이 타는 수레요, 상은 관원의 정식 복장이다.

 

 

○ 우(又)

 

 

신이 앞날에 족질(足疾)로써 퇴직을 청하였사온데, 또 비답(批答)을 내리시와

전직에다 다시 열 글자로 된 공신의 칭호를 더해 주심을 엎드려 듣자오니 두려움을 이기지 못 하와

다시 사면하기를 청하옵니다.

 

그 재능을 짐작해서 취사(取舍)를 하니 어진 임금이 어찌 신하의 어려운 바를 하게 하며,

분수를 헤아려서 행장(行藏)을 하니 어진 선비가 화(禍)에 걸리지 않는 것입니다.

 

종청을 돌리시와, 특별히 고언(?言)을 받아들이시기를 바라옵니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신은 썩어빠진 선비로서 사리에 생소하오며 지혜는 발 조심조차 하지 못하여

이미 고꾸라짐을 당했사옵고, 정성은 더욱 걸해(乞骸)에 간절하여 스스로 굴칩(屈蟄)함을 달게 여기옵는데,

어찌 특수한 은총이 다시 누추한 자에게 얹어질 것을 생각이나 했겠사옵니까.

 

술상 앞을 다달은 새가 넋이 놀랬는데 다시 쇠소리를 듣고,

마구에 엎드린 말이 힘이 지쳤는데 도리어 비단 안장을 얹은 격이오니,

사람들이 장차 떼지어 일어나 다투어 조롱할 것이오며,

신도 진실로 돌이켜보면 부끄러움만 더하온데,

어찌 왕래하는 불편함으로써, 강연히 질서있는 읍양을 하겠사옵니까.

 

엎드려 바라옵건대,

따사로운 유음(兪音)을 내리시와 다 늙고 쇠잔한 목숨을 보전하게 하여 주시오면

삼훈삼욕(三薰三浴)으로 공광(孔光)의 집에 돌아간 은혜를 배사(拜謝)할 것이오며,

일구(一丘) 일학(一壑)에서 도홍경(陶弘景)의 괘관(掛冠)한 마음을 보답하겠사옵니다.
---------------------

*걸해(乞骸) : 벼슬에서 몸[骸]을 놓아 주어 선조의 무덤 아래에 묻히게 해달라고 청하는 말이다.
*삼훈삼욕(三薰三浴) : 여러 번 몸에 향을 바르고 목욕함. 곧 예를 갖춰 사람을 대하고 존중함을 이름.
*괘관(掛冠) : 벼슬길에서 물러난다는 뜻이다.

 

 

○ 우(又)

 

 

신 이제현은 병이 이미 오래가게 되었삽기로 두 번째 전(箋)을 올리어,

퇴직을 청하였사온데 금월 25일에 주상전하께서 특별히 부대언(副代言) 신 유숙(柳淑),

응양군(鷹揚軍) 상장군(上將軍) 신 김용(金鏞)을 보내어 와서 신에게 빛나는 교서를 전달하온 바,

그 청을 윤허하시지 아니하였사온데 당황하고 감격하와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옵고,

땅에 엎드려 흐느끼며 다시 회포를 아뢰옵니다.

 

벼슬하면 충성코자 하는 것은 임금이 계신 때문이 온데,

진실로 그 재주가 아니면 공연히 은영(恩榮)만 욕되게 하는 것이옵고,

늙고도 물러가지 아니하면 어찌 선비라 이르오며,

하물며 병이 많사온데 감히 녹위(祿位)에 편안하겠사옵니까.

 

정성을 피력하여 부르짖사오니,

사리를 양해하시와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신의 재주는 재상으로서는 소경[盲]이옵고 병은 부도(浮圖)의 앉은뱅이 같아서 경륜(經綸)의 책임이 중하온데,

일찍이 붓대를 잡으면 눈이 깜깜한 것이 부끄러웠사옵고

검리(劒履)의 반열이 높으니 도리어 규(圭)를 쥐고 넘어질까 저어하옵니다.

 

자라처럼 움츠림이 분에 맞으오며,

조정의 반열에 나아가기는 바랄 수 없사온데,

감히 긴밀한 계획을 생각하겠사오며, 억지로 저는 다리를 끌을 수 있겠사옵니까.

 

이미 조아(爪牙 손발)의 중한 장군이 제 집에 와서 보고

후설(喉舌)의 유명한 신하가 지검(芝檢)을 받들어 전하여 광채는 여염(閭閻)에 빛나고

소문은 진신(搢紳)을 움직이게 되오니 이미 전에 없는 대우를 입었사온데,

어찌 뒤에 있을 죽음을 염려하겠사옵니까.

 

그러하오나, 공이 미약한 자가 높은 데 있사오면 반드시 물의를 일으키고,

지혜가 천박한 자가 요직을 차지하오면 대단한 속임이라는 견책을 면하기 어렵사오니,

비록 그 병이 낫더라도 무슨 낯으로 다시 나아가겠사옵니까.

 

엎드려 바라옵건대,

돌이키기 어려운 간청을 살피시고 다 되어가는 나이를 불쌍히 여기시와,

신으로 하여금 6척의 완악한 몸뚱이를 수습하여 어진 이의 나올 길을 피하게 하시고

한 가닥의 백발을 휘날리면서 제 집에서 늙음을 보내게 하여주시옵소서.
-----------------------------
*부도(浮圖)의 앉은뱅이 : 부도는 불교라는 말인데, 부도의 앉은뱅이라 함은 달마대사(達磨大師)를 말한다.

그는 하남(河南) 소림사(少林寺)에서 벽을 향하고 아홉 해를 앉아서 운동하지 않았으므로

아래 다리가 썩어서 앉은뱅이가 되었다.

 

*검리(劒履)의 반열이 높으니 : 정승으로 국가에 큰 공이 있는 사람은 임금 있는 전상(殿上)에 올라갈 때에도

찬 칼을 끄르지 아니하고 신을 벗지 않는다.

 

 

○ 우(又)

 

 

신은 두 번째 전(箋)을 올려 퇴직을 구하였사오나 윤허를 입지 못하였고

지금 벌써 한 달이 되오매 병세가 더욱 더 하옵기로 다시 절박한 사정을 아뢰어 우러러 천청(天聽)을 모독하옵니다.

 

규심(葵心)이 간절하와 비록 해를 향하여 홀로 기울일 줄을 아오나,

포질(蒲質)이 미약하여 오직 가을을 만나면 먼저 시들까 두려워 하옵기로,

장차 해골(骸骨)을 청하기 위하여 자주 마음속을 아뢰었던 것이옵니다.

 

엎드려 생각하건대,

덕릉(德陵)의 지우를 받았사오나 한 치의 재능도 지니지 못하였사옵고 숙고(肅考)를 섬기게 되어서도

또한 털끝만한 보익이 없었사온데 거룩한 세대를 만나서 여러 번 위학(衛鶴)의 영광을 입었사옵기로,

여생의 힘을 다하여 수사(隋蛇)의 보답을 본 받으려 했사오나,

아마도 정신의 혼미함은 노병이 오래되어서이니 어찌 자리를 탐내어 부끄럼을 잊을 수 있겠사오며

빨리 현로(賢路)를 피하며 사무를 사면하지 아니하겠사옵니까.

 

외가의 척분인 홍총재(洪?宰) 같은 이도 중년에 용퇴하였사옵고,

변방의 공로자인 염대장(廉大將) 같은 이도 아랫자리로 굽혀 있사온데,

70의 어리석은 신복(臣僕)이 일국의 중신이 된대서야 어느 뉘가 합당하다고 이르겠사옵니까.

 

한갓 예법의 명문(明文)만 어기는 것이 아니오라 조정의 뭇 비방을 사게 되는 까닭입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간곡한 사연을 받아들이시와 처음 마음을 관철하게 해주시오면,

신은 심적(心跡)이 항상 연곡(輦穀)에 있어 꽃다운 자지(紫芝)의 곡조를 노래하지 아니하겠사오며

꿈에도 면류(冕旒)를 상상하여 능히 무성한 녹죽(綠竹)의 시를 짓겠사옵니다.
-------------------------
*포질(蒲質) : 장포와 같은 체질이라는 말이니,

“장포와 버들 같은 체질은 가을을 바라보고도 먼저 쇠해진다[蒲柳之質 望秋先衰].” 하였다.

 

*위학(衛鶴)의 영광 : 춘추시대 위(魏)나라의 임금 의공(懿公)은 학(鶴)을 좋아하여 3백 마리를 기르면서

그 학을 모두 장군의 대우로 하다가 나라까지 망하게 하였다.

 

*수사(隋隨)의 보답 : 춘추시대 수(隋)나라의 임금이 다 죽게 된 큰 뱀을 살려 주었더니

그 뱀이 큰 진주를 물어다가 임금에게 바쳐서 은혜를 갚았다 한다.

 

 

◆ 동문선 제49권  잠(箴)

 
○ 묘잠(猫箴)

 

 

귀가 있고 눈이 있고 발톱도 있고 엄니도 있건마는, 쥐 놈들이 저렇게 들썩여도 어찌하여 잠만 자고 움직일 줄 모르는고.

 

 

○ 구잠(狗箴)

 
꼬리로는 아첨을 부리고 혀[舌]로는 핥아 빤다. 싸우거나 장난치지 말라, 울타리 망가진다.

 

 

○ 계잠(鷄箴)

 
울기는 시간을 잃지 아니하고 싸울 때는 지지 아니하려 한다. 똥을 쪼아 먹어 살이 쪄서 사람들이 잡아먹게 한다.

 

 

◆ 동문선 제50권  송(頌)
 
○ 삼왕(三王)의 사당을 봉심하고 각각 송(頌)을 드림[謁三王廟各獻頌]
 
◇ 우(禹)

 

 

옛날이라 9년 홍수 / 昔者?水
천하가 다 그 난리라 / 天下皆是
백성들이 해독을 입어 / 下民罹毒
어찌할 바를 몰랐나니 / 靡所底止
우임금이 다스리지 안했던들 / 匪我斯理
우리는 고기가 되었으리 / 亶其魚乎
자기 집 문앞을 세 번이나 지나면서 / 三過其室
태어난 아들이 울어도 사랑하지 못하였네 / 不子呱呱
백성들의 허덕임이 근심이요 / 昏?是憂
내 손발 곪아터진 건 괴롬 아닐세 / ??非苦
도랑 쳐서 그 물을 쏟아 내어 / 載?載疏
구주가 비로소 흙이 보였네 / 九有乃土
백성이 그 은혜 못 잊음은 / 民受厥賜
어찌 천만 년뿐이리 / 何千萬年
장성(공자를 이름)의 하신 말씀 / 將聖有言
나는 조금도 의심 없네 / 吾無間然

 

 

◇ 탕(湯)

 

 

아, 크신 천을(탕임금 이름)이시어 / 於皇天乙
은나라 상서를 열으셨네 / 長發有殷
초야에서 어진 이를 맞아들여 / 聘賢?畝
배우고 또 신하를 삼았구려 / 學焉而臣
그물 삼 면을 열어 놓으니 / 網開三面
온 천하가 인에 돌아왔네 / 四海歸仁
낙천하는 뜻으로 갈을 섬기고 / 樂天事葛
하걸을 쳐서 인심에 순응했네 / 伐夏順人
그 덕을 밝히지 아니했던들 / 匪明厥德
어찌 백성에게 믿음을 줄건가 / 胡信于民
격언이 여기 있으니 / 格言斯在
나날이 새롭게 하고 또 새롭게 하라 / 日新又新

 

 

◇ 문왕(文王)

 

 

주나라 공을 쌓기는 / 周家積累
저 후직으로부터로세 / 爰自后稷
서백(문왕)이 발흥하여 / 西伯勃興
사방의 모범이 되었네 / 儀刑四國
백이 강자아는 나와서 보호를 받았고 / 夷牙就養
우와 예는 송사를 바루었네 / 虞芮質成
주역의 상을 발휘하였고 / 發揮易象
송성을 만들어 냈네 / 馴致頌聲
3분의 2를 소유하고도 / 分三有二
섬기기를 허물없이 하였네 / 不愆服事
문이 여기에 있지 아니한가 / 文在玆乎
덕이 그토록 지극하셨네 / 德其至矣

 

 

◆ 동문선 제51권  찬(贊) 
 


○ 죽헌 김정승 찬(竹軒金政丞贊)

 

 

맑은 그 눈, 치솟은 그 눈썹, 높은 광대뼈, 수척한 얼굴, 입술은 붉고, 수염은 희다.
이것은 외모로 보는 죽헌(竹軒)이다.
나라를 위하여 개인을 잊었고, 믿음을 지키어 속이지 않았다.

단단하고 곧았으며 자상하신품, 젊을 때부터 늙을 때까지 한결같았다.
이것은 의지와 절조로 죽헌을 논하는 것이다.
잘되고 못 되는 것 아랑곳없고 일찍 죽으나 장수하는 것을 마찬가지로 보았다.
정신은 우주 밖에 놀았고 아무 것도 없는 자연의 세계에 소요하는 것, 이것이 바로 죽헌이었다.
이것을 그림으로 어떻게 표현하며 문장으로 어떻게 나타낼 수 있으리오.

 

 

○ 안겸재 진찬 유서 (安謙齋眞贊有序)

 

 

안 문성공(安文成公)은 일대에 있어서 유학자의 종장이었다.
내가 아직 20도 못 되었을 때 한 번 길에서 뵈옵고 드디어 사랑을 받았으며 인하여 그의 손자인 겸재(謙齋)를 알게 되었다.
그 후 10년에 나의 아버지 동암공(東菴公)이 과거에 고시관으로 있을 때에 겸재는 책(策)으로 응시하여 과거에 올랐다.
이리하여 우리 두 사람은 사귐이 가장 오래 되었다.
지정(至正) 경자년에 겸재가 죽었다.
이듬해 가을에 남아 있는 그의 화상을 보고 섭섭하여 그 옆에 적는다.
검소하였으나 고루하지 않았고 온화하였으나 지나치지 않았다.
확고히 법도를 지켰고 엄연히 아름다움을 발휘하였으니 그는 문성공의 손자로서 알맞았었다.
실천에 노력하고 말은 매우 적었다.
온자한 그의 문장이었고 평담(平淡)한 그의 시(詩)었으니 동암(東菴)의 제자로서 마땅하도다.
벼슬이 양부(兩府)를 다 거쳤으니 출세하지 못했다고 할 수 없으며, 나이는 70을 넘으셨으니 수를 못했다고 할 수 없었다.
다만 그의 벼슬이 균형(鈞衡)에 이르지 못하고 공덕이 백성에 흡족히 미치지 못하여 사림(士林)의 여론은 오히려 유감으로 여긴다.
그러나 산수(山水) 간에서 마음대로 지내던 생활은 유양(庾亮)도 못 당할 것이요.
시와 술로 즐겁게 놀던 풍류는 계륜(季倫)도 비할 바 못 될 것이니 이것은 우리들이 그의 평생을 생각하여 잊기 어려우며, 남긴 화상을 바라보며 더욱 감개 깊은 것이로다.

 

 

○ 익재 진자찬(益齋眞自贊)

 

 

홀로 공부하여 고루하였고 도(道)를 들은 것은 자연히 늦었었다.
불행은 모두가 자신이 만든 것, 어찌하여 스스로 반성하지 않는가.
백성에게 덕 보인 것 무엇이기에 네 번이나 대신이 되었단 말이냐.
요행으로 이렇게 된 것이기에 다만 모든 비난 불러들였다.
못난 내 얼굴 그려 두면 무엇하나.
너의 후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한 번 쳐다보고 세 번씩 생각하여 그런 불행 있을까 경계하여서 아침마다 저녁마다 노력하여라.
만일 그런 요행 바라지 않는다면 행여나 불행을 면하게 되리.

 

(추가)

익재 진자찬(益齋眞自贊) - 이제현(李齊賢)


獨學而陋(독학이루)。聞道宜晚(문도의만)。

홀로 공부하여 고루하였고 도(道)를 들은 것은 자연히 늦었었다

 

不幸由己(부행유기)。何不自反(하부자반)。

불행은 모두가 자신이 만든 것, 어찌하여 스스로 반성하지 않는가

 

何德于民(하덕우민)。四爲國相(사위국상)。

백성에게 덕 보인 것 무엇이기에 네 번이나 대신이 되었단 말이냐.

 

幸而致之(행이치지)。祗速衆謗(지속중방)。

요행으로 이렇게 된 것이기에 다만 모든 비난 불러들였다

 

不揚之貌(부양지모)。又何寫爲(우하사위)。

못난 내 얼굴 그려 두면 무엇하나

 

告爾後嗣(고이후사)。一覩三思(일도삼사)。

너의 후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한 번 쳐다보고 세 번씩 생각하여

 

誡其不幸(계기부행)。早夜以勉(조야이면)。

그런 불행 있을까 경계하여서 아침마다 저녁마다 노력하여라.

 

毋苟其幸(무구기행)。庶幾知免(서기지면)。

만일 그런 요행 바라지 않는다면 행여나 불행을 면하게 되리

 

 

 ○ 백낙천 진찬(白樂天眞贊)
 
낙타는 벌써 팔아버렸나,
그림에는 그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용문산(龍門山) 천석(泉石) 중에 표연히 홀로 다니네.
--------------------------
*백낙천 진찬(白樂天眞贊) : 복건(幅巾)과 야복(野服)으로 지팡이를 짚고 홀로 걷는 모양.

 

 

○ 소동파 진찬(蘇東坡眞贊)

 

 

대궐에 출입함이 영광이 아니로다.
전염병 우글거리는 해변인들 무엇이 두려우랴.
야인의 차림새에 누런 빛 갓을 쓰고 천고(千古)를 굽어보며 긴 휘파람 불고 있네.
-----------------------
*소동파 진찬(蘇東坡眞贊) : 누른빛 갓[黃冠]을 쓰고 지팡이를 옆으로 잡고 돌 위에 앉아서 휘파람을 불고 있다.

 

 

○ 송광 이국사 진찬(松廣李國師眞贊)

 

 

국사의 꾸준한 노력, 덕망과 연령이 모두 높구나.
임금의 명으로 화상을 그려내어 쳐다보며 경의를 펴하였다.
이 몸은 상(相)에서 떠난 것이며, 이 법(法)은 전(詮)에서 떠난 것이다.
그림에 대하여 찬을 지으니, 신의 글 솜씨 도리어 부끄럽나이다.

 

 

◆ 동문선 제62권  서(書)

 
○ 상 정동성 서(上征東省書)

 

 

고려국 늙은 여러 관원은 삼가 목욕재계하고 정동성 여러 상국 집사께 글을 올립니다.

 

조정 사신 두적(朶赤) 등이 교천대사(郊天大赦)의 말씀을 받들고 왕경에 옴에 있어

우리 보탑실린왕(寶塔實憐王)께서 관리를 이끌고 의장(儀仗)을 갖추어 성 밖까지 출영하고 본 성으로 들어왔습니다.

 

조서를 다 듣고 나서 사신 등이 나아가 왕을 붙잡아 말에 태워서 돌아갔습니다.

 

일이 창졸간에 일어나 모든 배신(陪臣)들도 몸 둘 곳이 없었으니, 오히려 다시 어떻게 말씀드리겠습니까.

 

그러나 생각하면, 왕은 연소해서 많을 일을 겪지 못해서 조금도 생각하지 못하고 그대로 행했기 때문에 이에 이른 것이지,

원래 그 본 뜻은 또한 다른 것이 없었던 것입니다.

 

하늘의 해가 위에서 내리 비치는데 어떻게 속일 수 있겠습니까.

 

또 생각하면 저의 나라 시조 왕씨는 바다 구석에서 개국한 것이 426년이요. 자손이 28대를 대대로 계승하며,

역대로 송ㆍ요ㆍ금과 사신을 통하여 왕래하며 견제할 뿐이다가

우리 태조 성무(聖武) 황제의 왕업이 일어날 무렵에 이르러 금산왕자(金山王子)란 자가 있어 중원의 백성을 몰아 약탈하며,

망한 요의 왕업을 회복하려 꾀하다가 세력이 다하자 동쪽으로 달아나 도서에서 제멋대로 날치므로

태조께서 합진(哈眞)ㆍ찰랄(札剌) 두 장수를 보내어 죄를 다부지게 나무라게 되었는데

날씨는 차고 눈이 깊어 군량을 대지 못함에 우리 충헌왕(忠憲王)이 조충(趙沖)ㆍ김취려(金就礪) 등을 보내

군사를 돕고 군량을 주어 일거에 적을 깨쳤습니다.

 

 

이에 두 나라가 동맹을 맺고 만세의 자손이 오늘날까지 잊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로잡은 포로를 교환하는 것으로 믿음을 삼았으니, 지금 저의 나라에 거란장(契丹場)이 있는 것이 이것입니다.

 

세조 문무 황제께서 양양(襄陽)에서 군대를 사역하는데,

아리패가(阿里?哥)가 막북(漠北)에서 모반을 선동하자 제후들은 두려워하고 의심하며 각기 진퇴를 생각했습니다.

 

우리 충경왕(忠敬王)은 그때 세자였는데,

서리와 이슬을 무릅쓰고 곧장 변량(?梁)에 이르러 길에서 맞으니,

세조께서 바라보시고 놀라 기뻐서 이르기를,
“고려는 아득히 먼 나라인데도 이제 내가 북쪽으로 돌아가 장차 대통을 이으려는데,

저들은 그 세자가 스스로 와서 귀순하여 붙좇으니, 하늘이 나를 돕는 것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충경왕이 이미 나라를 맡음에 배신 임유무(林惟茂) 부자는 항복하여 속국이 됨을 기뻐하지 아니하여

강화에서 군사를 믿고 임금의 폐립(廢立)을 제멋대로

하므로 세자 충렬왕이 빨리 가서 조정에 알리자 세조께서는 격노하여 왕을 불러 복위(復位)하라 하며,

역마를 잡아타고 궁중에 들어가 임금을 뵈옵고 왕과 세자가 군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돌아와

역적들의 무리를 사로잡아 죽임으로써 물을 버리고 육지로 나와 일심으로 공직(供職)하였습니다.

 

충렬왕 때에 세조께서 두 번 일본을 정벌하였는데,

왕이 김방경(金方慶) 등을 보내어 그 전함을 수리하고 매양 선봉이 되었으며,

또 내안(乃顔)의 무리 합단(哈丹)이 수달달(水達達) 여진의 땅을 쳐서 함락시키고

우리 국경을 침범하여 천위(天威)를 거스르려 하자, 왕이 출병하여 그들을 맞이해 쳐서 패전시켰습니다.

 

대덕(大德) 말년에 익지예불화왕(益知禮不花王)이 인종(仁宗) 황제를 도와 난을 평정하고

궁전을 청결히 하여 무종 황제를 봉영해서 일등 공신이 되었으니, 이는 왕씨가 조정에 충성함이 오래인 것입니다.

 

또 생각하면 세조 황제께서 홀독겁미사공주(忽篤?迷思公主)를 신하에게 시집보내어 이 이가 익지예불화왕을 낳았으며,

익지예불화왕은 아납특실리왕(阿納?室里王)을 낳았고, 아납특실리왕은 보탑실리왕(寶塔失里王)을 낳았고,

보탑실리왕은 비록 소원했지만 그 세조 때에는 참으로 골육과 같은 친분이 있었습니다.

 

 

또 생각하면 황후 기씨(奇氏)는 저의 나라에서 탄생하여 위로 지존의 배필이 되어

태자를 낳아 길러 천자께서 기뻐하고 의뢰하는 바 되었으니,

조정이 저의 나라에 대한 대접이 마땅히 여러 야만과는 같지 않아야 합니다.

 

또 생각하면 저의 나라는 일본과 바다를 격해 이웃했으므로 우리가 복을 받으면 저들은 그 귀화의 더딤을 부끄러워하고,

우리가 죄를 얻으면 저들은 그 고집하고 명민하지 못한 누태(陋態)를 달가워했음은 형세가 반드시 그러했던 것입니다.

 

옛날에 주 나라가 위후(衛侯) 간(?)을 잡아 마침내 복위케 하고 한 나라가 양왕(梁王) 무(武)를 불러

또한 양 나라로 귀부케 한 것은 왕자의 큰 도량을 보이는 소이가 있어서입니다.

 

 

하물며 우리 조정은 열성(列聖) 이래로 어진 마음이 있어 살상을 싫어하는 덕이

주 나라. 한 나라보다도 더 나음에 있어서겠습니까.

 

그러나 이제 몸소 남쪽 교외에서 조상을 하늘과 함께 제사 지내고 대례가 이미 이루어지고

덕음(德音)을 널리 사해에 펴 춤추며 환호하는데 진실로 하나의 물건이 그 어진 은택을 입지 못함이 있다는 것은

마음 아픈 일입니다.

 

오직 성천자께서 허물을 용서하는, 보다 큼이 없는 어진 마음으로써

만약 생각을 한 번 돌려 우리 보탑실리왕으로 하여금 죄를 짓고 잡힌 것을

사면하여 놓아 주시어 은혜의 물결에서 헤엄치게 하시고,

또 왕씨의 군신과 사직으로 하여금 그 이름을 바꾸지 않아 의관 풍속을 아울러 그 제도를 따르고

산해의 어리석은 백성이 옛 생업에 편안함을 얻을 수 있게 하신다면

태조와 세조께서 저의 나라를 도탑고 가엾게 여기신 뜻이 어찌 더 밝아지지 않겠으며,

세조께서 공주를 신에게 시집보내어 자손을 낳으므로써

먼 곳의 마음을 매어 둔 그 규모가 어찌 더욱 멀어지지 않겠으며,

황후가 태자를 낳아 기르며 천하가 기뻐하고 의뢰한 마음이 어찌 더 훌륭해지지 않겠으며,

저의 나라가 임금께 충성을 다하고 적과 싸우려는 뜻이 어찌 더욱 굳어지지 않겠으며,

굴복하지 않은 일본 백성이 그 고집하고 명민하지 못함을 고쳐 귀화를 즐거워하는 그 뜻이 어찌 더욱 두터워지지 않겠으며,

4백 26년 28대를 자손이 이어 제사가 끊이지 않았던 귀신이 어찌 더욱 감동하지 않겠으며,

조정이 허물을 용서하고 보다 큼이 없는 어진 마음이 있어 살상을 싫어하는 덕이 어찌 천하 후세에 더욱 퍼지지 않겠습니까.

 

 

엎드려 생각건대 집사께서는 무식하고 비천한 사람의 말을 굽어살펴 천총(天聰)에 달하게 하소서.

 

 

△ 상정동성서(上征東省書)

- 별도 글에서 발췌

 

 

上征東省書(상정동성서) :
정동성에 올리는 글

 

高麗國耆老衆官(고려국기로중관) :
고려국 늙은 여러 관원은
謹齋沐上書于征東省諸相國執事(근재목상서우정동생제상국집사) :
삼가 목욕재계하고 정동성 여러 상국 집사께 글을 올립니다.
朝廷使臣朶赤等 欽奉郊天大赦德音(조정사신타적등 흠봉교천대사덕음) :
조정 사신 두적(朶赤) 등이 교천대사(郊天大赦)의 말씀을 받들고
前來王京 我寶塔實憐王 引僚吏備儀仗(전래왕경 아보탑실련왕 인료리비의장) :
전에 왕경에 옴에 있어 우리 보탑실린왕께서 관리를 이끌고 의장(儀仗)을 갖추어
出迎城外 入于本省(출영성외 입우본성) :
성밖까지 출영하고 본 성으로 들어왔습니다.
聽詔訖 使臣等就執王上馬廻去(청조흘 사신등취집왕상마회거) :
조서를 다 듣고 나서 사신 등이 나아가 왕을 붙잡아 말에 태워서 돌아갔습니다.
事出倉卒 凡在陪臣措躬無所 尙復奚言(사출창졸 범재배신조궁무소 상부해언) :
일이 창졸간에 일어나 모든 배신(陪臣)들도 몸 둘 곳이 없었으니 오히려 다시 어떻게 말씀드리겠습니까.
然念王年少不更事 直情徑行 所以致此(연념왕년소부경사 직정경행 소이치차) :
그러나 생각하면, 왕은 연소해서 많을 일을 겪지 못해서 조금도 생각하지 못하고 그대로 행했기 때문에 이에 이른 것이지,
原其本意 蓋亦無他(원기본의 개역무타) :
원래 그 본 뜻은 다른 것이 없었던 것입니다.
天日照臨 胡可誣也(천일조림 호가무야) :
하늘의 해가 위에서 내리 비치는데 어떻게 속일 수 있겠습니까.
又念小邦始祖王氏 開國海隅四百二十六年(우념소방시조왕씨 개국해우사백이십륙년) :
또 생각하면 저의 나라 시조 왕씨는 바다 구석에서 개국한 것이 426년이요.
子孫相繼二十八世 歷宋遼金通使往來(자손상계이십팔세 력송료김통사왕래) :
자손이 28대를 대대로 계승하며 역대로 송ㆍ요ㆍ금과 사신을 통하여 왕래하며
羈미而已 及我太祖聖武皇帝龍興(기미이이 급아태조성무황제룡흥지제) :
견제할 뿐이다가 우리 태조 성무(聖武) 황제의 왕업이 일어날 무렵에 이르러
有金山王子者驅掠中原之民(유김산왕자자구략중원지민 ) :
금산왕자(金山王子)란 자가 있어 중원의 백성을 몰아 약탈하며
圖復亡遼之業 勢窮東走 陸梁島嶼(도부망료지업 세궁동주 륙량도서) :
망한 요의 왕업을 회복하려 꾀하다가 세력이 다하자 동쪽으로 달아나 도서에서 제멋대로 날뛰므로
太祖命哈眞찰剌兩將帥討罪(태조명합진찰랄량장수토죄) :
태조께서 합진(哈眞)ㆍ찰랄(札剌) 두 장수를 보내어 죄를 다부지게 나무라게 되었는데
天寒雪深 餉道不繼 (천한설심 향도부계) :
날씨는 차고 눈이 깊어 군량을 대지 못함에
我忠憲王 遣趙충金就礪等助兵與糧一擧破賊(아충헌왕 견조충김취려등조병여량일거파적) :
우리 충헌왕(忠憲王)이 조충(趙沖)ㆍ김취려(金就礪) 등을 보내 군사를 돕고 군량을 주어 일거에 적을 깨쳤습니다.
於是兩國同盟 萬世子孫 無忘今日(어시량국동맹 만세자손 무망금일) :
이에 두 나라가 동맹을 맺고 만세의 자손이 오늘날까지 잊지 않고 있으며,
因分所虜生口爲信 今小邦有契丹場是也(인분소로생구위신 금소방유계단장시야) :
이로 인해 사로잡은 포로를 교환하는 것으로 믿음을 삼았으니, 지금 저의 나라에 거란장(契丹場)이 있는 것이 이것입니다.
世祖文武皇帝觀兵襄陽 阿里패哥扇變漠北(세조문무황제관병양양 아리패가선변막북) :
세조 문무 황제께서 양양(襄陽)에서 군대를 사역하는데, 아리패가(阿里패哥)가 막북(漠北)에서 모반을 선동하자
諸侯虞疑 各懷去就(제후우의 각회거취) :
제후들은 두려워하고 의심하며 각기 진퇴를 생각했습니다.
我忠敬王時爲世子 蒙犯霜露(아충경왕시위세자 몽범상로) :
우리 충경왕(忠敬王)은 그때 세자였는데, 서리와 이슬을 무릅쓰고
直至변梁 以迎于道 世祖望見驚喜曰(직지변량 이영우도 세조망견경희왈) :
곧장 변량(변梁)에 이르러 길에서 맞으니, 세조께서 바라보시고 놀라 기뻐서 일렀다.
高麗荒遠之邦 今我北歸 將繼太統(고려황원지방 금아북귀 장계태통) :
“고려는 아득히 먼 나라인데도 이제 내가 북쪽으로 돌아가 장차 대통을 이으려는데,
彼其世子 自來歸我 天贊我也(피기세자 자래귀아 천찬아야) :
저들은 그 세자가 스스로 와서 귀순하여 쫓으니, 하늘이 나를 돕는 것이다.”
忠敬王旣當國 陪臣林惟茂父子 不喜內屬(충경왕기당국 배신림유무부자 부희내속) :
충경왕이 이미 나라를 맡음에 배신 임유무(林惟茂) 부자는 항복하여 속국이 됨을 기뻐하지 아니하여
擅廢立阻兵江華 世子忠烈王奔告朝廷(천폐립조병강화 세자충렬왕분고조정) :
강화에서 군사를 믿고 임금의 폐립(廢立)을 제멋대로 하므로 세자 충렬왕이 빨리 가서 조정에 알리자
世祖赫怒 詔王復位 乘馹入覲 (세조혁노 조왕부위 승일입근) :
세조께서는 격노하여 왕을 불러 복위(復位)하라 하며, 역마를 잡아타고 궁중에 들어가 임금을 뵈옵고
王及世子引兵東還 擒戮逆黨(왕급세자인병동환 금륙역당) :
왕과 세자가 군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돌아와 역적들의 무리를 사로잡아 죽임으로써
去水而陸 一心供職(거수이륙 일심공직) :
물을 버리고 육지로 나와 일심으로 공직(供職)하였습니다.
忠烈王之世 世祖兩征日本(충렬왕지세 세조량정일본) :
충렬왕 때에 세조께서 두 번 일본을 정벌하였는데,
王遣金方慶等 修其戰艦 每爲先鋒(왕견김방경등 수기전함 매위선봉) :
왕이 김방경(金方慶) 등을 보내어 그 전함을 수리하고 매양 선봉이 되었으며,
又乃안之黨哈丹攻陷水達女眞之地(우내안지당합단공함수달녀진지지) :
또 내안(乃顔)의 무리 합단(哈丹)이 수달달(水達達)이 여진의 땅을 쳐서 함락시키고
侵及我疆 欲抗天威 王出兵逆擊之 隻輪無返者(침급아강 욕항천위 왕출병역격지 척수무반자)
우리 국경을 침범하여 천위(天威)를 거스르려 하자,

왕이 출병하여 그들을 맞이해 쳐서 패전시켜 외수레로 돌아가는 자가 아무도 없었습니다.
大德末 益知禮不花王 左右仁宗皇帝(대덕말 익지례부화왕 좌우인종황제) :
대덕(大德) 말년에 익지예불화왕(益知禮不花王)이 인종(仁宗) 황제를 도와
定亂淸宮 奉迎武宗皇帝 爲一等功臣(정란청궁 봉영무종황제 위일등공신) :
난을 평정하고 궁전을 청결히 하여 무종 황제를 봉영해서 일등 공신이 되었으니,
是則王氏忠於朝廷也久矣(시칙왕씨충어조정야구의) :
이는 왕씨가 조정에 충성함이 오래인 것입니다.
又令世祖皇帝釐降忽篤怯迷思公主(우령세조황제리강홀독겁미사공주) :
또 생각하면 세조 황제께서 홀독겁미사공주(忽篤겁迷思公主)를 신하에게 시집보내어
是生益知禮不花王 益知禮不花王生阿納특室利王(시생익지례부화왕 익지례부화왕생아납특실리왕) :
이 분이 익지예불화왕을 낳았으며, 익지예불화왕은 아납특실리왕(阿納특室里王)을 낳았고,
阿納특室利王生寶塔實里王 寶塔實里王雖疏且遠(아납특실리왕생보탑실리왕 보탑실리왕수소차원) :
아납특실리왕은 보탑실리왕(寶塔失里王)을 낳았고, 보탑실리왕은 비록 소원했지만
其於世祖 實有肺腑之親焉(기어세조 실유폐부지친언) :
그 세조 때에는 참으로 골육과 같은 친분이 있었습니다
又念皇后奇氏生自小邦 上配至尊(우념황후기씨생자소방 상배지존) :
또 생각하면 황후 기씨(奇氏)는 저의 나라에서 탄생하여 위로 지존의 배필이 되어
誕毓元良 爲天下所慶賴 (탄육원량 위천하소경뢰) :
태자를 낳아 길러 천하께서 기뻐하고 의뢰하는 바 되었으니,
朝廷之視小邦 不應與諸蕃同焉(조정지시소방 부응여제번동언) :
조정이 저의 나라에 대한 대접이 마땅히 여러 야만과는 같지 않아야 합니다.
又念小邦與日本 隔海爲隣 (우념소방여일본 격해위린) :
또 생각하면 저의 나라는 일본과 바다를 격해 이웃했으므로
我之蒙福 彼則愧其歸化之遲(아지몽복 피칙괴기귀화지지) :
우리가 복을 받으면 저들은 그 귀화의 더딤을 부끄러워하고,
我之獲戾 彼則甘其執迷之陋(아지획려 피칙감기집미지루) :
우리가 죄를 얻으면 저들은 그 고집하고 명민하지 못한 누태(陋態)를 달가워했음은
勢之必然者也(세지필연자야) :
형세가 반드시 그러했던 것입니다.
昔周執衛侯?而卒令復位(석주집위후간이졸령부위) :
옛날에 주 나라가 위후(衛侯) 간(간)을 잡아 마침내 복위케 하고
漢徵梁王武而亦使歸梁(한징양왕무이역사귀양) :
한 나라가 양왕(梁王)무(武)를 불러 또한 양 나라로 귀부케 한 것은
有以見王者之大度也(유이견왕자지대도야) :
왕자의 큰 도량을 보이는 소이가 있어서입니다.
況我朝廷自列聖以來 好生之德(황아조정자렬성이래 호생지덕) :
하물며 우리 조정은 열성(列聖) 이래로 생명을 사랑하는 어진 마음이 있어
萬萬過於周漢(만만과어주한) :
주 나라. 한 나라보다도 더 나음에 있어서겠습니까.
而今則親享南郊 尊祖配天 大禮旣成(이금칙친향남교 존조배천 대례기성) :
그러나 이제 몸소 남쪽 교외에서 조상을 하늘과 함께 제사 지내고 대례가 이미 이루어지고
德音廣布外薄四海 蹈舞歡呼(덕음광포외박사해 도무환호) :
덕음(德音)을 널리 사해에 펴 춤추며 환호하는데
苟有一物不被其仁澤者 所宜痛心(구유일물부피기인택자 소의통심) :
진실로 하나의 물건이 그 어진 은택을 입지 못함이 있다는 것은 마음 아픈 일입니다.
欽惟聖天子以宥過無大 당廻一念(흠유성천자이유과무대지인 당회일념) :
오직 성천자께서 허물을 용서하는 보다 큼이 없는 어진 마음으로써 만약 생각을 한 번 돌려
使我寶塔實里王 免離罪고(사아보탑실리왕 면리죄고) :
우리 보탑실리왕으로 하여금 죄를 지어 잡힌 것을 사면하여 놓아주시어
游泳恩波 且使王氏君臣社稷(유영은파 차사왕씨군신사직) :
은혜의 물결에서 헤엄치게 하시고, 또 왕씨의 군신과 사직으로 하여금
不替其名 衣冠風俗 병仍其制(부체기명 의관풍속 병잉기제) :
그 이름을 바꾸지 않아 의관 풍속을 아울러 그 제도를 따르고
山海愚民 獲安舊業(산해우민 획안구업) :
산해의 어리석은 백성이 옛 생업에 편안함을 얻을 수 있게 하신다면
則太祖世祖勤恤小邦之 豈不益明(칙태조세조근휼소방지의 기부익명) :
태조와 세조께서 저의 나라를 도탑고 가엾게 여기신 뜻이 어찌 더 밝아지지 않겠으며,
世祖釐降公主 生子若孫(세조리강공주 생자약손) :
세조께서 공주를 신에게 시집보내어 자손을 낳으므로써
以繫遠方之心 其規模豈不益遠(이계원방지심 기규모기부익원) :
먼 곳의 마음을 매어 두어 그 규모가 어찌 더욱 멀어지지 않겠으며,
皇后誕毓元良 天下之慶賴 豈不益偉(황후탄육원량 천하지경뢰 기부익위) :
황후가 태자를 낳아 기르며 천하가 기뻐하고 의뢰한 마음이 어찌 더 훌륭해지지 않겠으며,
小邦勤王敵愾之志 豈不益堅(소방근왕적개지지 기부익견) :
작은 저의 나라가 임금께 충성을 다하고 적과 싸우려는 뜻이 어찌 더욱 굳어지지 않겠으며,
日本未服之民 革其執迷 樂於歸化(일본미복지민 혁기집미 악어귀화) :
굴복하지 않은 일본 백성이 그 고집하고 미혹됨을 고쳐 귀화함에 즐거워하지 않겠습니까.
其意豈不益篤(기의기부익독) :
그 뜻이 어찌 더욱 두터워지지 않겠으며,
四百二十六年二十八世血食之鬼 豈不益感(사백이십륙년이십팔세혈식지귀 기부익감) :
4백26년 28대를 자손이 이어 제사가 끊이지 않았던 귀신이 어찌 더욱 감동하지 않겠으며,
朝廷宥過無大 好生之德(조정유과무대 호생지덕) :
조정이 허물을 용서하고 한없이 큰 어진 마음이 있어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성이
豈不益播於天下後世哉(기부익파어천하후세재 ) :
어찌 천하 후세에 더욱 퍼지지 않겠습니까.
伏惟執事 俯察추言(복유집사 부찰추언) :
엎드려 생각건대 집사께서는 무식하고 비천한 사람의 말을 굽어살펴
達于天聰(달우천총) :
천자의 총명에 달하게 하소서
-------------------------
* 정동성(征東省)-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의 약칭이다.
일본을 정벌한다는 의미의 정동(征東)과 중서성(中書省)의 지방기구라는 의미의 행중서성(行中書省)이 결합한 것으로

정동행성(征東行省)이라고도 한다.
1280년(충렬왕 6) 원나라 세조가 일본정벌을 위해 처음 설치했다가 실패하자 폐지하였고,

뒤에 다시 일본정벌을 단행하면서 1283년과 1285년에 각각 설치하였다.
그러나 세조가 죽은 뒤 일본정벌이라는 본래의 목적이 없어지면서

원나라에 하정사(賀正使)를 파견하는 의례적인 기구로 바뀌었다가

1299년에는 다시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는 기구로 변하였다.

 

 

◆ 동문선 제62권  서(書)

 

 

○ 재대도 상중서도당 서(在大都上中書都堂書)

 
지치(至治) 3년 정월 모일에 고려국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 모(某) 등 여러 관원은

삼가 목욕재계 백배하고 중서재상집사(中書宰相執事) 합하께 글을 올립니다.

 

일이 장차 싹트려는데, 말을 거스리면 미친 것에 가깝고,

감정이 가습 답답하게 막혔는데, 말하기를 어려워하면 숨는 것에 가깝습니다.

 

만약 부득이 하다면 차라리 미칠지언정 숨어버리지는 않겠습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합하께서 그 경솔함을 너그러운 마음으로 가엾이 여겨 살펴 주시면, 매우 다행이겠습니다.

 

중용에 이르기를,
“무릇 천하와 국가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아홉 가지 대도(大道)가 있는데, 이를 행하여가는 근본은 오직 정성 하나 뿐이다.”
라고 했습니다.

 

끊긴 대를 이으며 망한 나라를 존속시켜 난리를 다스리고 위태함을 붙들어 주고 가는 것은

후하게 하고 오는 것을 박하게 하는 것은 제후(諸侯)를 품는 일입니다.

 

그것을 해설하는 자가 말하기를,
“후자가 없는 자는 이으며 이미 멸망한 자는 봉하여 상하로 하여금 서로 편안하고 대소가 서로 구휼(救恤)하게 하면,

천하가 모두 충성스런 힘을 다함으로써 왕실의 울타리 구실을 할 것이다.”하였습니다.

 

옛적에 제 나라 환공(桓公)이 형(邢) 땅을 옮겨 주니 백성이 돌아가는 듯했으며,

위 나라를 봉하여 주매 망하였음을 잊게 하는 것은 천하의 질서를 바로 잡아 통일하고

오패(五覇)의 우두머리가 된 소이였습니다.

 

패자(覇者)도 오히려 이에 힘씀을 알았거늘,

하물며 나라 안의 큰 곳에 위치하여 사해로 집을 삼는 자에 있어서이겠습니까.

 

그윽이 생각하건대 저의 나라 시조 왕씨는 개국 이래 무릇 백여 년이며 신하로서

성조(盛朝)에 복종하고 해마다 직공(職貢)을 바친 지 또한 백여 년입니다.

 

지나간 무인년에 요(遼)씨의 서자 금산왕자(金山王子)라고 부르는 자가

중원의 백성을 몰아 약탈하며 동쪽으로 도서에 들어와서 제멋대로 날침이 방자하여

태조 성무(聖武) 황제께서 합진(哈眞)ㆍ찰라(札刺) 두 원수를 보내어 그들을 토벌했는데,

마침 날씨가 눈이 많이 내려 군량이 통하지 않으므로 충헌왕이 조충ㆍ김취려에게 명하여 군량을 바치고

무기와 의장(儀仗)을 도와 미친 도적을 사로잡아 죽이기를 대를 쪼개듯이 빨리 하고,

이에 두 원수와 조충 등이 형제가 되기로 맹세하고 만세토록 잊지 않았습니다.

 

또 기미년에 세조 황제께서 군사를 이끌고 강남으로 돌아옴에

충경왕이 천명(天命)의 귀의(歸依)함이 있고 인심이 스스로 만족하게 여겨 복종함을 알아

6천여 리를 산을 넘고 물을 건너 변량(?梁) 땅(본국으로부터 조어산(釣魚山)에 이르고

또 돌아서 변량에 이르려면 대개 6천여 리임) 에서 맞아 뵈옵고,

충렬왕도 또한 몸소 조근(朝覲)하는 예를 닦아 일찍이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기 때문에

신하에게 시집보내는 공주를 얻어 대대로 부마가 되어 옛 풍속을 고치지 않았음으로써

그 종묘와 사직을 보존하였음은 오직 세조 황제(世祖皇帝)의 조지(詔旨)를 받들었던 것입니다.

 

그를 세울 때에는 천하 각처에 행성(行省)을 설립함에 당하여 유독 저의 나라에는 설치하지 않았고

후에 동으로 일본을 정벌함으로 인하여 비록 명분은 있었으나 늘 가리는 것을 거리끼지 않았습니다.

 

대덕(大德) 중에 활리길사(闊里吉思)로 하여금 이목관(耳目官)을 삼고 그의 진언으로

도성(都省- 상서尙書의 관)이 상의하여 상주했기 때문에 본국은 일찍이 세조 황제께서 성지를 입어

옛적 본래의 풍속을 고치지 않고 다만 벼슬 이름만 바꾸었는데, 지금 전부를 고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성종 황제께서 그 상주를 옳다 하여 즉각 활리길사로 하여금 돌아오게 했습니다.

 

인종 황제께서 서아년(鼠兒年) 4월에 성지를 내려

고려 전지(田地)에 행중서성을 설립하는 것을 가리지 않는다는 문제에 대해서는 누구도 상주하지 말라 하셨는데,

이것으로 역대의 임금을 위로하고 가엾게 여기는 깊은 뜻을 알 수 있었다.

 

이제 듣건대 조정에서 저의 나라 여러 곳에 행중서성을 설립하고자 한다 하니,

만약 이것이 정말 그렇다면 그 세조 황제의 조지(詔旨)는 어떻게 할 것이며,

그 역대 임금을 위로하고 가엾이 여긴 뜻은 어떻게 할 것입니까.

 

엎드려 연전 11월에 새로 내린 조서의 조목을 읽어보니
‘바르지 않은 나라와 바른 나라로 하여금 길을 달리하여 해내의 땅을 편안하게 다스림으로써

중통(中統)ㆍ지원(至元)의 다스림을 회복케 한다.’ 하였는데,

성상께서 이 말씀을 하신 것은 참으로 천하 사해의 복이었습니다.

 

하물며 저의 나라 여러 대의 공이 저와 같고, 역대 임금을 위로하고 가엾이 여김이 이와 같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이제 4백여 년의 업을 일조에 폐하고 끊어 버린다면 아직 조정에 마디만한 공도 없는

그 밖의 다른 나라는 조정에서 장차 어떻게 그것을 처리할 것이며,

또 그 중통ㆍ지원의 근원은 체통에 어떻겠습니까.

 

생각하면 저의 나라는 천 리에 지나지 않는데

산천과 숲이 우거져 쓸모없는 땅이 10분의 7이니 그 땅에 세금을 물려고 해도 배와 수레로 실어 나르기에 부족하며,

그 백성에게서 거두어들인다 해도 봉록(俸祿)에서 지급할 수도 없으며,

국가의 씀씀이에 있어서도 태산이 아주 작은 티끌이라 그 만의 하나를 받들어 바치기에도 부족한데다,

더구나 땅이 멀고 백성이 어리석으며 언어가 중국과 같지 않아 나아가 합하는 것이 중화와는 아주 다르니,

아마도 그들이 이 말을 들으면 반드시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생겨 널리 알려 편안치 않을 것입니다.

 

또 왜민(倭民)과는 해변에서 서로 바라보는 형편이니

만일 그것을 듣고 우리를 경계하여 스스로 우리한 계책을 생각해도 어쩔 수 없을 것입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집사 합하께서는 역대 조정의 공을 생각하는 뜻을 지니고, 중용의 세상을 훈계한 말을 기억하소서.

 

나라도 그 나라요, 사람도 그 사람이니, 그 정부(政賦)를 닦아 울타리가 되게 함으로써

우리의 무한한 안녕을 받들게 한다면 어찌 오직 삼한의 백성만이 집집마다 서로 기뻐하며 성덕을 노래할 뿐이겠습니까.

 

그 종묘사직의 영혼도 모두 저승에서 감격해 울 것입니다.

 

생각하옵건대, 고루 비치소서.

 

 

결렬하고 절신하며 간절하고 급박한 마음이 지극함을 견딜 수 없어 존엄을 범하여 더럽혔으므로

땅에 엎드려 처벌의 명령을 기다리옵니다. 아무개 등은 백배하나이다.
---------------------------
*이목관(耳目官) : 임금의 이목이 되어 나라의 치안을 보호하던 관리.

 

 

○ 상 백주승상 서(上伯住丞相書)
 

월 일에 향료를 몸에 발라 재계하고 백배한 다음 승상 집사께 글을 올립니다.

 

우(禹)임금은 천하에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자기가 그를 빠뜨린 것 같이 생각하였고,

직기(稷棄)는 천하에 굶주린 사람이 있으면 자기가 그를 굶주리게 한 것처럼 생각했습니다.

 

천하의 물에 빠진 사람과 굶주린 사람을 우 임금이 밀어서 넣고, 직이 굶주리는 자를 먹지 못하게 하지 않았건만

그 마음이 단연코 스스로 자기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여 사양하지 않았겠습니까.

 

하늘이 덕이 높은 사람에게 임무를 내리는 것은, 본래 그로 하여금 이 백성을 구제케 하려는 것입니다.

 

진실로 곤궁하고 하소연할 곳도 없는 사람을 보고도 마음 편안히 구제하지 않는다면

어찌 하늘이 임무를 내린 뜻이 되겠습니까.

 

이것은 굳은 살이 박히는 괴로움을 잊고 몸소 부지런히 농작물을 심고 거둬들이며
구주(九州)에 살면서 백성에게 쌀을 먹이고 요 임금과 순 임금을 도와 은택이 만세에 미치게 한 소이입니다.

 

설혹 한 사람이 불행히 구렁텅이에 굴러 떨어지고 큰 물결 속에 빠졌다면 우 임금과 직기가 그것을 꾀했을 뿐이겠습니까.

 

저는 그들이 반드시 계책을 세워 그들로 하여금 다시는 굶주림과 물에 빠짐을 근심하지 않도록 한 연후에야

그 마음이 편안했으리라는 것을 아옵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승상 집사께서는 성스런 천자를 빛나게 보좌하여 말소리와 얼굴빛은 움직이지 않고,

천하를 태산의 편안한 곳에 두었으며, 백발의 노인이 중통과 지원의 다스림을 회복했다고 생각하였으니,

사람이 이 때에 태어난 것은 큰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데도 한 사람이 있어 곤궁한 형세가 굶주리고 물에 빠진 것보다도 심하다면 집사는 그를 어떻게 처리하겠습니까.

 

왕년에 우리 늙으신 심왕(瀋王)께서 천자의 노여움을 만나 몸 둘 곳이 없었는데

집사가 그것을 불쌍하고 가엾게 여겨 천둥 아래에 은혜가 매우 깊어 엄격하지 않은 법률을 좇아

먼 곳으로 용서하여 귀양 보냈으니 멸망하려 함을 구해 준 은혜는 부모보다도 더함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땅이 매우 멀고 또 궁벽하며 언어가 같지 않고 풍토와 기후가 아주 다르며

도적을 미리 헤아릴 수 없고 기갈이 서로 핍박하여 팔다리와 몸이 여위고 지쳤으며 머리털이 다 희었으니

쓰라리고 괴로운 형상을 말하면 가히 눈물이 흐를 것인데 집사께서는 차마 그것을 보시겠습니까.

 

그 어버이로 말하면 세조의 생질이요, 그 공으로 말한다면 선제의 공신입니다.

 

또 그 조고(祖考)는 이에 태조 성무 황제 초창기부터 정도를 사모하여 먼저 복종해서

임금에게 충성을 다한 보람이 세상에 나타났었으니 그 공을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비록 고집스럽고 명민하지 못하여 깨닫지 못하고 죄가 더할 수 없는 데에 이르렀으나

그 본심을 추구해 보면 진실로 다른 마음이 없었습니다.

 

귀양 간 이래로 이미 4년이 되어 마음을 바꾸어 허물을 고친 것도 또한 많을 것입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집사께서 당초에 일찍이 힘껏 구해주셨으니

후에도 은혜를 마치기를 잊지 않아 의견을 진술하여 올려 총명을 더하시고

천자의 은택을 펴도록 인도하여 고국으로 돌아와 여생을 마치도록 해주신다면,

그 감격스러움이 어찌 구렁텅이에 떨어진 자가 맛난 음식을 배불리 먹고

큰 물결에 빠진 사람이 넓고 평온한 길을 밟는 것에 그칠 뿐이겠습니까.

 

만약 때가 옳지 않다면 아직 서서히 하소서.

 

날을 끌고 달을 끌고도 어질고 또 유력(有力)한 자가 먼저 하게 되면 천하의 선비는

장차 집사가 덕행을 하고도 끝을 마치지 않았다고 할 것이니, 집사를 위해 그것을 애석해 합니다.
-----------------------------
*구주(九州) : 우(禹) 임금이 중국을 9주로 나누었던 바, 이를 말함.

 

 

○ 동 최송파증원 랑중 서(同崔松坡贈元郞中書)

 
최모ㆍ이모는 재배하고 낭중(郞中) 원공(元公) 족하께 글을 드립니다.

 

바닷가에 가만히 엎드려 방명(芳名)을 흠앙하고 아래 지위에서 높인 지 날이 오래되었습니다.

 

생각으로는 훌륭한 역사의 기록을 보고, 대의명분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을 듣고 싶었으나,

다만 소개하고 먼저 받아들임이 없었기 때문에 우물쭈물 세월을 보내고 소원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이제 갑자기 속마음을 털어 앞에 나타내자니 사귄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함부로 지껄여 아마도 존청(尊聽)을 감발(感發)시키기에는 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저의 나라는 족하에게 있어서는 부모의 시골이어서

비록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로 옮기고 진흙에 숨었다가 하늘에 날았으나,

중원에서 살고 상국에서 벼슬하며 분묘와 친척이 진실로 저희 나라에 있으니,

저희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에 또 어찌 정이 없겠습니까.

 

 

지금 성스런 천자께서는 정성을 다하여 정치에 힘쓰시고,

대승상의 재략은 세상에 드물게 훌륭하여 남을 깊이 믿어 그의 말대로 하며,

조정에는 잘못된 계획이 없고 한 지아비라도 그 처소를 얻지 못하거나 한 물건이라도 그 공평함을 얻지 못하면,

반드시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어 편안하게 살도록 해 준 연후라야 그만두었으니

참으로 오랜 시일 중에 한 번 만난 시기입니다.

 

족하는 마음이 바르고 행동이 성실하며 구상이 웅대하고 의지가 깊은 자질로써 예ㆍ악ㆍ시ㆍ서로 문장을 닦았고,

높은 갓에 넓은 띠를 매고 동합(東閤 재상이 현인을 초치하는 곳)에서 편안하고 한가롭게 지냈으며,

이윤(伊尹)과 주공(周公)을 윤색(潤色)했고 방현령(房玄齡)과 두여해(杜如海)를 미봉(縫)했으니,

역시 청운의 지기를 얻어 그 도를 행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가만히 생각하건대, 저의 나라는 큰 나라를 섬겨 온 지 백여 년을 해마다 직공(職貢)을 닦아 일찍이 조금도 해이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번 요(遼)씨의 서자 금산왕자라는 자가 있어

중원의 백성을 몰아 약탈하고 해도(海島)에서 함부로 전단(戰端)을 열었으므로,

조정에서는 합진ㆍ찰랄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죄를 다스림에 날씨가 차고 눈이 깊어 군량을 잇지 못했으므로,

군대는 나아갈 수도 물러갈 수도 없어 거의 흉측한 무리들의 웃음거리가 될 뻔하였는데

우리 충현왕이 조충과 김취려에게 명해 군량을 운반하고 군사를 구제했으며,

전후 상승하여 적에게 대항하여 그들을 멸했고 양국의 장수가 서로 형제가 되기를 약속하고

영원히 서로 잊지 않기를 맹세했으니, 이는 저의 나라가 태조 황제에게 갖은 힘을 다한 때입니다.

 

세조 황제께서 남쪽 정벌에서 돌아와 장차 대통을 이을 때

그때에 개제선(介弟扇)이란 자가 있어 북방에서 모반하여 제후들이 근심하고 의심했습니다.

 

 

길이 몹시 막혔으나 우리 충경왕은 세자로서 많은 신하들을 거느리고 양초(梁楚)의 교외에서 절하고 맞았습니다.

 

천하는 이에 먼 곳의 사람이 기쁜 마음으로 순종함을 보았고 천명(天命)의 돌아감이 있음을 알았으니,

이는 저의 나라가 세조 황제에게 충성을 다한 것입니다.

 

충경왕이 선대의 작위를 이어받고 동쪽으로 돌아옴에 충렬왕이 다시 세자로서 들어가 임금의 수레를 모시니,

세조께서 그 공을 생각하고 그 의를 가상히 여겨 정중한 대접이 깊고 지극했음은 천하가 미치지 못했으며,

공주로 하여금 배필이 되게 함으로써 각별한 은혜를 나타내셨습니다.

 

누차 조지를 반포하여 옛 풍속을 고치지 말라 하였으므로 사해의 안에서 미담이라고 칭찬했습니다.

 

늙으신 심왕은 곧 공주의 아들이며 세조의 생질입니다.

 

세조 때부터 성대에 이르기까지 다섯 조정을 대대로 섬겨 이미 친해지고 또 오래되었으나,

다만 공을 이룬 뒤에 그 자리를 물러나지 않아 갑자기 변고가 생김으로써

얼굴이 상하고 옷을 바꾸어 입고서 멀리 서쪽 오랑캐의 땅으로 귀양 보내졌으니,

고국을 떠나 만여 리를 가죽을 꿰매어 만든 배로 강을 건너고 마차에서 노숙하면서

험한 길 가기를 반년만에 비로소 그 지역에 이르렀고, 보리 미숫가루를 먹으며 토담집에 거처하였으니,

쓰라린 고생을 한 온갖 모양은 다 말할 수 없습니다.

 

길을 가는 자도 듣고서 오히려 슬퍼하는데 하물며 이름을 기록하여 인질(人質)이 된 자이겠습니까.

 

구중궁궐을 통할 수 없고 낭묘(廊廟)에는 편목(?木)의 얼굴이 없었으니,

비록 근심을 머금고 분하여 울며 큰 소리로 심하게 부르짖는다 해도 누가 그것을 들을 것이며 누가 그것을 불쌍히 여기겠습니까.

 

이것이 모 등이 밥을 대해도 먹을 것을 잊으며,

이미 누었다가도 다시 일어나 마음이 몹시 조급하여 허둥지둥하고 눈물이 다 말라 피로 잇는 소이 입니다.

 

대개 먼 나라 사람에게 부드럽게 하고 겨레를 화목하게 하는 것은 선왕의 정사이며

공으로써 허물을 덮는 것은 춘추(春秋)의 법입니다.

 

족하는 어찌하여 조용히 대승상께 말씀하여 지난 날의 다른 뜻이 없었고

오늘날의 스스로 악을 제거하고 선을 닦음을 밝히지 않습니까.

 

들어가 임금에게 주상하여 금계(金?- 사칙(赦勅)을 반포하는 날 장대 끝에 설치하는 금계)의 은택이 내리도록 인도하고,

죄를 용서받아 동쪽으로 와서 다시 해를 보아 성스런 천자의 세대로 하여금 다시는 구석을 향해 우는 자가 없게 하시면,

대승상의 덕의 아름다움이 더욱 원근에 나타날 것이며,

근본을 잊지 않는 의와 구물(救物)을 잘 아는 어진 마음에 천하의 사람이 모두 장차 족하께 칭송하리니,

어찌 오직 저의 나라의 임금과 신하가 살에 새기고 뼈에 새겨 그 만의 하나라도 갚기를 꾀할 뿐이겠습니까.

 

황송하고 황송하여 다 말씀드리지 못합니다. 모 등은 재배하고 쓰옵니다.

 

 

◆ 동문선 제69권 기(記)
 

○ 김평장 행군기(金平章行軍記)

 

 

공(公)의 휘(諱)는 취려(就礪)였는데, 뒤에 취려(就呂)로 고쳤다.

 

그는 계림부(鷄林府) 언양군(彦陽郡) 사람이었다.

 

아버지의 공으로 젊어서 음관(蔭官)에 등용되었다.

 

정위(正尉)가 되어 동궁위(東宮衛)로 발탁되었으며, 중랑장(中郞將)으로 승진되어 우림군(羽林軍)을 거느렸다.

 

몇 해 안 가서 장군으로 승진되어 동북계(東北界 지금 함경도 지방)에 유진(留陣)하니

갈맥(?貊 말갈 즉 여진)이 감히 침범하지 못하였다.

 

그 공으로 천우위 대장군(千牛衛大將軍)에 임명되었다.

 

 

강왕(康王 강종) 2년 계유년에 국경 지대를 순찰하고 진무(鎭撫)하니, 변방 백성들이 두려워하면서도 좋아하였다.

 

고왕(高王 고종) 3년 병자년 8월에 거란(契丹)이 국경 지방으로 침입하니,

서북면(西北面 지금 평안도)의 지병마사(知兵馬事) 독고정(獨孤靖)이 서신으로 보고하여

그 달 12일에 개경(開京)에 도착되었다.

 

왕이 상장군 노원순(盧元純)을 중군(中軍)으로 명하고 오응부(吳應夫)를 우군(右軍)으로 삼았는데,

공은 섭상장군(攝上將軍)으로 후군(後軍)이 되었다.

 

13일에 순천관(順天館)에서 크게 열병(閱兵)하고,

22일에 우군은 서보통(西普通)에 진을 치고,

중군은 누교원(樓橋院)에, 후군은 과전(苽田)에 진을 쳤다가 이틀 밤을 묵고 떠났다.

 

처음에 원(元) 나라 태조 성무황제(聖武皇帝)가 군사를 출동하여

금(金) 나라의 연도(燕都 연경)를 치니 금 나라 선종(宣宗)이 변(?) 땅으로 옮겨갔다.

 

성무황제는 북쪽으로 돌아가고 군사는 머물러 연경을 지키게 하였는데,

연경 사람들이 원 나라 군사를 대접하여 취하게 하고 섬멸하였다.

 

거란에 남은 무리 금산왕자(金山王子)와 금시왕자(金始王子)가 그 도당인 아아걸노(鵝兒乞奴)를 장수로 삼아

하삭(河朔) 지방 백성들을 위협하여 따르게 하고 대요수국(大遼收國)의 왕이라 자칭하였다.

 

성무황제가 크게 노하여 많은 군사를 출동해서 정벌하니,

두 왕자가 석권하여 동쪽으로 나와서 거주할 땅과 양식을 우리에게 청하였는데, 우리가 허락하지 않았다.

 

두 왕자는 원래 우리나라를 침범하려는 마음이 있었으며,

또 이 감정을 품고 아아걸노를 시켜 먼저 군사 수만 명을 거느리고 강을 건너게 하였는데, 그 처자들이 모두 따라 왔다.

 

 

진융(鎭戎)과 영삭(寧朔)을 경유하여 아사천(阿史川)으로 나왔는데,

우리 3군은 조양진(朝陽鎭)에 이르러서 중군은 성안에 진을 치고 우군과 후군은 성밖에 진을 쳤는데,

조양진 사람들이 달려와서 적이 벌써 가까이 왔다고 하니, 3군이 각기 정예병(精銳兵)을 뽑아서 방어하였다.

 

군후원(軍候員) 오응유(吳應儒)와 신기장(神騎將) 정순우(丁純祐)만이 적의 머리를 벤 것이 80여 급이고,

생포하여 온 것이 20여 명이며, 소와 말 수백 필을 얻고 병부ㆍ인장ㆍ기구ㆍ병기를 노획한 것도 매우 많았다.

 

오응유가 또 보병 3천 5백 명을 거느리고,

귀주(龜州) 직동촌(直洞村)에서 적과 접전하여 2백여 급을 자르고 35명을 생포하였으며,

소ㆍ말과 무기ㆍ은패(銀牌)ㆍ동인(銅印)을 얻은 것이 매우 많았으며,

장군 이양승(李陽升)도 적을 장흥역(長興驛)에서 격파하니 모두가 공의 휘하였다.

 

3군이 신기장(神騎將)을 보내 적을 추격하다가,

신리(新里)에서 적을 만나 싸워서 머리 1백 90급을 베고,

또 연주(延州)로 나가서 광유(光裕)ㆍ연수(延壽)ㆍ주민(周民)ㆍ광세(光世)ㆍ군제(君悌)ㆍ조웅(趙雄)의

여섯 장수들로 하여금 사자암(獅子?)을 지키게 하고,

영린(永鱗)ㆍ적부(迪夫)ㆍ문비(文備) 등의 세 장수로 양천(楊川)을 지키게 하였다.

 

9월 25일에 아홉 장수가 적의 머리 7백 급을 베고

소ㆍ말과 패인(牌印)ㆍ무기 등을 이루다 적을 수 없이 많이 얻으니,

적병은 다시 군사를 정돈하지 못하고 개평역(開平驛)에 모여 주둔하였다.

 

 

3군이 벌써 왔어도 감히 모두들 나아가지 못하고,

우군은 서산(西山) 기슭에 자리잡고, 중군은 들판에서 적의 공격을 받고 조금 물러나서 독산(獨山)에 주둔하였다.

 

공이 칼을 빼어 들고 말을 채찍질하며 장군 기존정(奇存靖)과 함께

곧장 적의 포위망을 뚫고 들어가서 나가고 들어가며 쳐부수니 적이 무너져 달아났다.

 

추격하여 개평역을 지났는데 적이 역의 북쪽에 복병하고 있다가 갑자기 중군을 공격하므로

공이 회군하여 공격하니 적이 또다시 무너졌다.

 

노공(盧公)이 밤에 공에게 말하기를
“저들은 많고 우리는 적은데 우군도 오지 않습니다.

처음 사흘 먹을 양식만을 가지고 떠났는데 지금 벌써 다 없어졌습니다.

물러가 연주성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뒤에 오는 군사를 기다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공이 말하기를,

“우리 군사가 여러 번 승리하여 투지(鬪志)가 아직도 많으니, 이 기세를 이용하여 한 번 더 싸우고 의논하기로 합시다.”

하였다.

 

적이 묵장(墨匠)의 들에 진을 쳤는데 군사의 사기가 매우 성하였다.

 

노공이 말을 달리며 공을 부르고, 또 검은 깃발을 날려 신호를 하니,

사병들이 적군의 칼날을 무릅쓰고 나가서 한 명이 백 명을 당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공이 문비(文備)와 함께 적진을 횡단하여 가는 곳마다 휩쓰니,

세 번 접전하여 세 번 다 승리하였는데 공의 맏아들이 전사하였다.

 

달아나는 적을 추격하여 향산(香山) 남강(南江)에 이르니,

적군이 빠져 죽은 자가 천명이나 되어, 그 처자들이 모여 우는 소리가 만 마리나 되는 소가 우는 것 같았다.

 

한 사람이 무기를 버리고 관원이라 자칭하면서 앞으로 뛰어나와 청하기를,

"우리들이 귀국의 변경을 소란하게 하였으니 진실로 죄가 있습니다. 그러나 처자들이야 무엇을 알겠습니까?
다 죽이지 말아 주시오. 또 우리를 핍박하지 않는다면 우리들은 지체없이 돌아가겠습니다.”

하거늘, 공이 사람을 시켜 말하기를,
“네 말을 어찌 믿을 수 있겠느냐. 술을 줄 테니 마음놓고 마시고 가거라.”

하였다.

 

조금 있다가 아아걸노가 병부가 찍힌 글을 보내면서 애걸하였는데, 역시 그가 말한 것과 같았다.

 

3군이 각기 2천 명을 보내어 그 뒤를 따랐는데,

적이 버린 물자ㆍ양곡ㆍ기구ㆍ병기가 길에 흩어져 있고,

소와 말은 혹 그 허리를 베고 혹은 그 엉덩이를 찔렸으니,

이는 우리가 얻어도 다시 쓰지 못하게 한 것이었다.

 

보낸 군사 6천 명이 청새진(淸塞鎭)에서 싸웠는데, 적을 생포하고 죽인 것이 상당히 많았다.

 

 

평로진(平虜鎭)의 도령(都領) 녹진(祿進)도 공격하여 70여 명을 죽이니, 적이 드디어 청새진을 넘어 도망해 갔다.

 

창주(昌州)의 분도장군(分道將軍) 김석(金碩) 공이 보고하기를,
“거란의 뒤를 따라 이르는 자들이 지난달부터 많이 국경 안으로 들어오는데, 바로 금산과 금시의 군사들입니다.”

하였다.

 

3군이 연주에 주둔해서는 오직 내상군(內廂軍)만을 머물러 지키게 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출발하였는데,

후군만이 적과 양천(楊川)에서 접전하여 수백 명을 생포하거나 죽였으며 양군(兩軍)은 먼저 박주(博州)로 돌아갔다.

 

공이 군수품 차량을 호송하며 천천히 행군하여 사현포(沙現浦)에 이르렀는데,

적이 갑자기 나타나 저격(狙擊)하니 공이 급한 상황을 양군에게 알렸지만,

양군은 자기들만 편하려고 지키고 나오지 않았다.

 

공이 힘써 싸워 적을 물리치고 끝까지 군수품 차량을 호송하여 당도하니,

노공이 서문(西門) 밖에 나와 맞이하면서 축하하기를,
“갑자기 강한 적을 만나고서도 능히 그 기세를 꺾고,

수송하는 3군의 군사들에게 조그마한 손실도 없게 하였으니, 이것은 공의 힘이오.”

하면서 말 위에서 술을 따라 권하며 축수(祝壽)하였다.

 

양군의 장사(將士)와 여러 성의 부로(父老)들이 모두 머리를 조아리면서 말하기를,
“이번에 강한 적과 맞서 그곳에서 싸우기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개평(開平)ㆍ묵장(墨匠)ㆍ향산(香山)ㆍ원림(元林) 지방의 싸움에서 후군이 언제나 선봉이 되어

소수의 병력으로 많은 적을 공격하여, 우리들 노약자들로 하여금 생명을 보존하게 하였습니다.
보답할 것이 없으니 다만 축수할 따름입니다.”

하였다.

 

공이 군법을 행하기를 엄하게 하니, 군사들이 조금도 백성을 괴롭히지 못하였다.

 

그리고 술이 있으면 곧 큰 술잔으로 제일 아래 계급의 군사들과도 고루 나누어 마셨으므로 모두들 사력을 다해서 싸웠다.

 

또 싸워서 공을 세우게 되면 반드시 여러 장수들과 회의하여 연명(聯名)으로 보고하고,

한 번도 자기가 잘한 것을 자랑하는 일이 없었다.

 

10월 20일 밤에 3군이 군사를 보내어 적을 흥교역(興郊驛)에서 습격하였다.

 

이튿날 밤에는 홍법사(洪法寺)에서 싸우고, 또 이튿날에는 고을 성문 밖에서 교전하여 모두 이기고

우리 부대는 성안으로 들어가 군사들을 쉬게 하였는데,

적이 밤에 청천강을 건너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 이르고,

날씨가 추우니 얼음 위로 걸어서 대동강을 건너 서해도(西海道 지금의 황해도)로 들어왔다.

 

정부에서는 다시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숙첨(鄭叔瞻)을 원수로 삼고,

추밀원 부사 조충(趙沖)을 부원수로 삼아 이전의 3군과 함께 5군으로 만들었다.

 

또 승선(承宣) 김중귀(金仲龜)를 보내 남도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모였는데,

정원수가 머뭇거리며 나가지 않고 군법을 어겨 추밀 원사 정방보(鄭方甫)로 대신하게 하였다.

 

정축년(고종(高宗) 4년) 2월에 공을 금오위 상장군(金吾衛上將軍)으로 임명하였다.

 

 

3월에 5군이 안주(安州) 대조탄(大棗灘)에 주둔하여 싸우다가 불리하니 적이 사기를 얻어 전진하여 충돌하니,

공이 문비(文備) 인겸(仁謙)과 함께 마주 나가 공격하다가 인겸이 날아오는 화살에 맞아 죽었다.

 

공이 칼을 휘두르며 혼자 막으니, 창과 화살이 온 몸을 뚫어 상처가 수도 없이 많았지만

오히려 충성스럽고 성난 기운을 말과 안색에 보이니 듣는 사람들이 장하게 여겼다.

 

5월에는 상장군 최원세(崔元世)로 중군을 거느리고 공으로 전군(前軍)을 거느리며,

대장군 임보(任甫)로 하여금 새로 창설한 5령(領)의 군사를 거느리게 하여

가발병(加發兵)이라 이름하고 충주(忠州)로 파견하였는데,

공은 상처가 아직 아물지 않았지만 병든 몸으로 명을 받았다.

 

7월에 황려현(黃驪縣) 법천사(法泉寺)의 남쪽 시냇가에 이르러서,

5군이 다투어가며 배를 타니 공은 물러나서 여러 군이 건너가기를 기다린 다음에 배를 탔다.

 

때마침 충주성이 홍수로 무너져 목재와 돌이 흩어져 떠내려왔는데,

공의 배가 큰 돌에 부딪쳐서 키와 노가 모두 떨어지고 널판이 새어 물이 넘치니

함께 탔던 3백여 명의 얼굴이 잿빛으로 변했지만, 공은 요동하지 않고 앉아 정신과 안색이 태연하였다.

 

조금 뒤에 세 명이 뗏목을 타고 가로질러 와서 구원하니,

뱃사공이 재빠르게 밧줄을 끊어 던지자 세 명이 끌어서 언덕에 대었다.

 

 

물으니 원주 시골에 사는 어느 집 종이라는데, 그 중에서도 건장한 자를 데리고 떠났다.

 

이틀 밤을 지나서 본군과 법천사(法泉寺)에서 만나 독점(禿岾)으로 옮겨 주둔하였다.

 

최공이 말하기를,
“내일 갈 길로 두 갈래가 있는데 우리의 행군은 어느 쪽으로 하면 좋겠소?”

하자 공이,

“군사를 나누어 기각지세(?角之勢)로 하면 역시 좋지 않겠소?”

하니, 최공이 그렇게 하기로 하였다.

 

맥곡(麥谷)에서 모여 적과 싸워 적 3백여 명을 베거나 생포하였으며 제주(堤州)의 냇가로 육박하니,

시체가 냇물을 덮고 가득히 떠내려갔다.

 

산골짜기를 수색하여 노약자들을 찾아내어 충주로 보내고, 소ㆍ말과 노획한 것을 가지고 박달현(朴達峴)에 이르렀다.

 

최공이 말하기를,
“고갯마루는 대군이 멈출 곳이 아니다.”

하면서 산 아래로 물러나 주둔하려 하였는데 공이 말하기를,

“전쟁하는 법이 인화(人和)를 중요시한다고 할지라도, 지리(地利)도 더욱 경시(輕視)해서는 안되오.

적이 만일 먼저 이 고개를 차지하고 우리가 그 아래에 있게 된다면 원숭이의 빠른 재주로도 지나갈 수 없을 터인데,

하물며 사람이 어찌 하겠소?”

하며 가발병(加發兵)과 함께 고개에 올라서 유숙하였다.

 

밝을 녘에 적이 과연 대군을 고개 남쪽으로 진출시키고,

먼저 수만 명 군사를 나누어 좌ㆍ우쪽 산봉우리로 올라가서 요해처(要害處)를 먼저 차지하려고 하였다.

 

공은 장군 신덕위(申德威)와 이극인(李克仁)으로 왼쪽을 맡게 하고,

최준문(崔俊文)과 주공예(周公裔)로 오른쪽을 맡게 하고, 공은 가운데에서 북을 치며 나가니,

군사들이 모두 죽기로 싸웠으며 3군도 바라보고 크게 외치며 다투어 올라오니 적이 크게 패하여 달아났다.

 

이리하여 적은 과연 남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모두 동쪽으로 달아났다.

 

추격하여 명주(溟州)에 이르러서 유령(杻嶺)에서 싸우고,

대현(大峴)ㆍ구산역(丘山驛)ㆍ등대양(燈臺壤)ㆍ악판(惡坂)ㆍ등주(登州)의 동양(東壤)에서도 싸웠는데,

여섯 번 싸움에 적이 당해 내지 못하고 달아나 여진 땅으로 돌아갔다.

 

9월에 공이 중군의 공문에 의하여 군사를 정주(定州)로 옮기고,

사람을 시켜 적을 탐지하게 하였는데, 돌아와서 말하기를,
“적이 함주(咸州)에 있는데 우리와 지경을 접하고 있어 닭ㆍ개의 소리가 서로 들립니다.”

하였다.

 

공이 녹각원(鹿角垣)을 쌓고 그 아래에 못을 세 겹으로 둘러 파고,

극인(克仁)ㆍ순우(純祐)ㆍ덕위(德威)ㆍ박유(朴?) 등 네 장수에게 지키게 한 다음

흥원진(興元鎭)으로 옮겨가 웅거하였다.

 

10월에 적이 여진군의 원조를 얻어서 세력 다시 떨쳐져 멀리 몰아 쳐들어 왔다.

 

공이 군사를 돌려서 예주(豫州) 생천(?川)에서 적군을 만나 서로 물러나 진을 쳤는데, 갑자기 병에 걸려 낫지 않았다.

 

장수와 보좌관들이 돌아가서 치료받을 것을 청하였지만, 공은 말하기를,
“차라리 변성(邊城)의 귀신이 될지언정 어찌 병으로 후송되어 집에 편안히 있기를 바라겠느냐?”

하였다.

 

병이 심해져 물조차 마시지 못하고, 눈으로는 사람과 물건도 분별하지 못하였는데, 어명이 있어,

 “서울로 돌아와서 병을 치료하게 하라.”

하니, 병마록사(兵馬錄事) 홍창연(洪昌衍)과 장군 이중립(李中立) 등이

공을 가마에 태워 모시고 서울로 와서 여러 달 만에야 완쾌되었다.

 

이때에 적은 수십 개의 성을 격파하고 무인지경을 밟듯 하였으며,

이 달 29일에는 남아있던 부대가 적과 위주(渭州)에서 싸우다가 패전하고 이양승(李陽升)이 전사하였다.

 

무인년(고종 5년) 7월에 수사공(守司空) 조충(趙沖)을 원수로 삼고,

공을 병마사(兵馬使)로 삼고 차상장군(借上將軍) 정통보(鄭通寶)를 전군(前軍), 오수기(吳壽祺)를 좌군,

신선주(申宣胄)를 우군, 이림(李霖)을 후군, 이적유(李迪儒)를 지병마사(知兵馬使)로 삼았다.

 

9월 6일에 원수가 조복(朝服)으로 명을 받고 나가서 무장(武裝)을 갖춘 다음

다시 대관전(大觀殿)에 나가 왕을 뵙고 부월(斧鉞)을 받았다.

 

장단(長湍)을 지나 통주(洞州)로 가다가 동곡(東谷)에서 적을 만나

모극(毛克- 여진의 벼슬 이름) 고연(高延)과 천호(千戶) 아로(河老)를 사로잡고,

성주(成州)에 주둔하여 여러 도의 군사를 기다렸다.

 

경상도 안찰사 이적(李勣)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적을 만나,

전진하기 못하므로 장군 이돈수(李敦守)와 김계봉(金季鳳)을 보내 적을 공격하고 이적의 군사를 맞이하였다.

 

얼마 있다가 적이 두 길로 좇아 모두 중군을 향하여 전진하므로,

우리편에서는 좌우익(左右翼)으로 벌려 북치면서 공격하니, 적의 2군이 풍문에 놀라 싸우지도 못하고 도망쳤다.

 

이돈수 등이 이적과 와서 모이고, 녹사 신중해(申仲諧)가 그 군사를 나누어 군량을 수송하였는데,

적이 또 길목을 지키므로 장군 박의린(朴義隣)이 적을 독산(禿山)에서 패하게 하였다.

 

 

적이 흩어졌다가 다시 모이니, 기병이 수만 명인데 모두 정예(精銳)의 군사였다.

 

와서 우리편을 공격하므로 또 패하게 하니 아장(亞將) 탈랄(脫剌)이 도망하여 돌아갔다.

 

적의 괴수도 군사를 거느리고 돌아가려 하였으나,

우리편에서 돌아가는 길을 막을까 염려하여 강동성(江東城)으로 들어가서 보전하고 있었다.

 

12월에 원 나라 합진(哈眞)ㆍ찰랄(札剌) 두 원수와 군사 1만 명이

동진(東眞)의 완안자연(完顔子淵)의 군사 2만 명과 함께

단적(丹賊 거란의 적병)을 토벌한다고 선언하면서 강동성으로 향하여 나왔는데,

마침 날씨가 큰 눈이 와서 군량의 수송이 계속되지 못하자, 적은 굳게 성을 지키고 괴롭혔다.

 

합진이 근심하여 사자 12명을 보내어

우리 덕주(德州)의 진사 임경화(任慶和)와 함께 와서 군사와 양식을 청구하고, 또 말하기를,
“황제의 명이, ‘적을 격파한 다음에는 형제가 되도록 약속하라.’ 하였습니다.”

하여 우리 원수가 보고하니,

왕이 허락하고, 김양경(金良鏡)ㆍ진석(晉錫)을 보내어 군사 1천 명을 거느리고 가게 하였는데,

합진이 자주 군사를 더 내라고 독촉하나 여러 장수들이 모두 가기를 꺼렸다.

 

 

공이 말하기를,
“국가의 이해(利害)가 바로 이때에 있으니, 만일 저들의 의사를 어긴다면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소.”

하니, 조공이 말하기를,
“이야말로 나의 의사요. 그러나 이는 큰일이니 정당한 사람이 아니면 보낼 수 없소.”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일을 당하여 어려움을 사양하지 않는 것이 신하로서 할 일이요. 내가 재주는 없지만 공을 위하여 한 번 가 보겠소.”

하니, 조공이 말하기를,
“군중(軍中)의 일을 공에게만 의지하고 있는데 공이 가서야 되겠소.”

 하였다.

 

기묘년(고종 5년) 2월에 공이 지병마사 한광연(韓光衍)과 10장(將)의 군사와

신기(神騎)ㆍ대각(大角)ㆍ내상(內廂)군의 정병을 거느리고 갔다.

 

합진이 통사(通事) 조중상(趙仲祥)을 시켜 공에게 말하기를,
“과연 우리와 잘 지내려 한다면 먼저 멀리 몽고 황제에게 배례(拜禮)하고,

다음엔 만노(萬奴) 황제에게 배례해야 할 것이다.”

하였는데, 만노라는 것은 동진의 임금이었다.

 

공이 말하기를,
“하늘에는 두 개의 해가 없고, 백성에게는 두 명의 왕이 없는데, 천하에 어찌 두 명의 황제가 있겠소.”

하고는 원 나라 성무 황제에게만 배례하고 만노에게는 배례하지 않았다.

 

공은 신장이 6자 5치나 되고, 수염이 배보다도 길어서 성대한 복장을 할 때면

언제나 두 여종으로 하여금 그 수염을 나누어 들게 한 후에 띠를 묶었다.

 

이때 합진이 그 장엄한 모습을 보고,

또 그의 말을 듣고는 대단히 기특히 여겨서 소매를 끌어다 함께 앉아서,
“나이가 얼마나 되었는가?”

하고 물었다.

 

공이 60세에 가깝다고 말하니 합진이 말하기를,
“나는 아직 50도 못되었소. 이미 일가(一家)가 되었으니 당신은 형이고, 나는 아우입니다.”

하고, 공을 동쪽으로 향하고 앉게 하였다.

 

이튿날 또 그 진영에 나가니, 합진이 말하기를,
“내가 지금까지 6개 국을 정벌하면서 귀인을 만나기도 많이 하였지만,

형님의 모습을 보니 어찌도 그리 기특합니까.

내가 형님을 중히 여기기 때문에 휘하의 사졸을 대하는 것도 한집안 사람같이 합니다.”

하였다.

 

떠날 때는 손을 잡고 문에 나와 부축해서 말에 오르게 하였다.

 

며칠 후에 조공이 또 오니, 합진이

 "원수(元帥)의 나이가 형님과 누가 위인가?”

물었다.

 

공이

“나보다 위이다.”

하니, 조공을 끌어다 상좌에 앉히며 말하기를,
“내가 한마디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데, 실례가 될지 모르겠소. 그러나 친한 정리에 그만둘 수가 없소.

내가 두 형님 사이에 앉으면 어떻겠소?”

하니, 공이 말하기를,
“이야말로 우리들이 바라는 바요. 다만 감히 먼저 말하지 못하였던 것이오.”

하였다.

 

자리가 정해지자 술이 나오고 풍악도 울렸다.

 

몽고 풍속에, 예리한 칼로 고기를 찔러 가지고 손님과 주인이 서로 먹으며 주고받고 하기를 눈 깜짝할 사이에 하니,

우리 장병들 중에 원래 용감하다고 이름난 자들도 모두 난처해하는 기색이 있었는데,

공은 조공과 함께 매우 능숙하게 수작하니, 합진 등이 한껏 즐거워하여,

이튿날 아침 강동성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다.

 

성에서 3백보 되는 곳에서 멈추어 합진이 성 남문에서 동남문에 이르기까지

넓이와 깊이가 10척이나 되는 못을 파고, 서문 북쪽은 완안자연에게 맡기고,

동문 북쪽은 공에게 맡겨 모두 못을 파서 적이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다.

 

이 달 14일에 적이 형세가 궁하여지자 성문을 열고 나와 항복하였는데,

그 왕자는 자기 손으로 목매어 죽었으며 괴뢰의 승상 이하도 모두 죽였다.

 

합진이 말하기를,
“우리 군사가 만리 밖에서 와서 귀국과 협력하여 적을 무찔렀으니, 천년의 다행한 일이오.

예의상 국왕을 찾아 뵈어야 하겠지만, 우리 군사가 매우 많아서 멀리 가기에 곤란하므로

다만 사자를 보내어 사례의 말씀을 드리겠소.” 하였다.

 

20일에 합진이 찰랄과 함께 조원수와 공을 청해서 함께 맹세하기를,
“두 나라가 영원히 형제가 되었으니, 만대 후의 자손들도 오늘 일을 잊음이 없게 하자.” 하였다.

 

우리편에서 군사(軍師)를 대접하는 잔치를 베푸니,

합진은 부녀자와 소년 7백 명과 우리 백성으로 적에게 포로가 되었던 2백 명을 되돌려 보내 주었으며,

원수와 공에게 15세 안팎의 여자 각각 9명씩, 준마 각각 9필씩을 주었다.

 

원수는 합진을 전송하려고 의주까지 갔으며, 공은 찰랄과 함께 조양(朝陽)에 이르렀는데,

마침 서경 재제사(西京齋祭使)로 임명하는 명이 있어 오수기(吳壽祺)로 하여금 공을 대신해 전송하게 하였다.

 

9월에 의주 낭장(郞將) 다지(多知)와 별장(別將) 한순(韓珣)이 성을 지키는 장수를 죽이고,

여러 성과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키니,

추밀원사 이극수(李克修)는 중군, 이적유(李迪儒)는 후군, 공은 우군을 거느리고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경진년 정월에는 공을 추밀 원부사로 삼아서 극수(克修)를 대신해 중군을 거느리게 하였다.

 

 

다지 등이 요양(遼陽)의 온지한(溫知罕)에게 군사를 요청하였는데,

온지한이 두 명을 유인하여 목을 베어 머리를 우리에게 보냈다.

 

 

3군이 여러 성에서 부역(附逆)한 죄를 처벌하기를 청하니,

공이 말하기를,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그 괴수만을 섬멸하고, 위협에 못이겨 따른 자는 처벌하지 않는다.’ 하였는데,

많은 군사들이 가는 곳에는 불이 들판을 태우듯이 무고하게 화를 받은 사람들이 많았다.
더구나 거란의 도적들로 인하여 관동(關東) 지방이 빈 터가 되었는데,

지금 또 군사들을 여기에다 풀어 놓아서 스스로 변방 울타리를 섬멸하는 것이 옳겠는가?” 

하고, 다지와 한순의 도당만을 베고, 다른 사람들은 하나도 문책하지 않았다.

 

거란으로 도망쳐서 남은 무리가 영원(寧遠) 지방 산중에 숨었다가

수시로 나와 도적질하여 백성들의 우환이 되었는데,

의주 사람 창명(昌名)이 수보(秀甫)ㆍ공리(公理)와 함께 또 반란을 계획하였다.

 

공이 이경순(李景純)ㆍ이문언(李文彦)을 보내어 영원 지방의 도적을 토벌하고,

문비(文備)ㆍ최공(崔珙)으로 하여금 창명을 토벌하게 하였다.

 

창명이 이때 철주(鐵州)를 공격하였는데, 관군이 도착하니, 적당이 모두 흩어졌다.

 

드디어 창명ㆍ수보ㆍ공리의 목을 베고, 경순과 문언 역시 적을 영원성에서 격파하니,

북쪽 국경 지대가 이렇게 해서 편안해졌다.

 

5월에는 개가를 울리며 회군하였다.

 

그 후 공은 마침내 고종 때에 정승이 되어서, 총재(?宰) 자리에 8년간 있었다.

 

공덕은 여러 믿을 만한 역사책에 실려 있으므로, 여기서는 5년간 행군한 일만을 적을 뿐이다.
-----------------------------
*하삭(河朔) 지방 : 하는 황하(黃河)이고, 삭(朔)은 북쪽의 의미이니,

하삭지민(河朔之民)은 곧 황하 이북 지역의 민중을 말하는 것이다.

 

*기각지세(?角之勢) : 의각지세(?角之勢)라고도 한다.

사슴을 잡을 때에, 한사람은 뒷발을 얽어매고 한사람은 뿔을 붙잡는다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쟁할 때에 ‘기각지세’ 를 이룬다는 것은 양쪽으로 포진하여 적을 제어하는 형세를 말하는 것이다.

 

*녹각원(鹿角垣) : 대나 목재를 엮되 가지를 사슴뿔처럼 밖으로 향하게 하여

적병의 접근에 대비하는 방어 시설을 녹시(鹿柒)ㆍ녹채(鹿寨)ㆍ녹채(鹿砦)ㆍ녹각채(鹿角砦) 등으로 이름한다.

 ‘녹각원’은 담장을 쌓고 그러한 시설을 한 것을 말함이다.

 

*부월(斧鉞) : 큰 도끼로. 옛날에 장군이 출정할 때 그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하여 천자(天子)가 하사하던 것.

 

 

○ 중수 개국률사 기(重修開國律寺記)
 


우리 태조께서 삼한(三韓)을 통일하고 나라에 이익되는 일이라면 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석씨(釋氏)는 정치를 돕고 포악한 것을 교화시킬 수 있다고 해서 그 무리를 백성으로 일 시키지 않고,

그 교를 밝히게 함으로써 모든 불탑과 불전을 짓는 데에 반드시 산천의 음양의 역리와 순리되는 형세를 살펴

자기의 손익(損益)과 압승(壓勝)의 관계를 보아서 하게 했지,

중국 양씨(梁氏 양 나라 임금)의 죄를 두려워하고 복을 얻으려 하여 부처에게 아첨하는 것과는 같지 않았다.

 

도성 동남쪽 모퉁이의 문을 보정문(保定門)이라 하는데,

그 길은 양광(楊廣)ㆍ전라ㆍ경상ㆍ강릉(江陵) 4도에서 도성으로 들어오는 사람과

도성에서 4도로 나가는 사람들이 떠들썩하게 밤낮으로 끊이지 않는다.

 

냇물이 있는데

성중의 물은 시냇물ㆍ도랑물의 먼 것ㆍ가까운 것ㆍ작은 것ㆍ큰 것이 모두 모여서 동쪽으로 흐르며

매년 여름과 가을 사이에 장마물이 모여들면 무너지듯이 흐르는 것이 마치 3군이 행진하는 것 같으니, 무서울 정도이다.

 

산이 있는데, 곡봉(鵠峰)에서부터 구불구불 내려와서 그 형세가 꾸부리는 듯 일어나고,

뛰는 듯 멈추어 마치 용이나 범이 뛰노는 것 같아 기세도 웅장하다.

 

세상에서 이곳을 삼변으로 결속한 땅이라고 하는 까닭은 대개 이 때문일 것이다.

 

후당(後唐) 청태(淸泰) 18년에 태조께서 술수가(術數家)의 말을 듣고서,

그 사이에 절을 지어서 가사 입고 불교 계율 배우는 이들을 거처하게 하며 이름을 개국사(開國寺)라 하였다.

 

 

이때 정벌하는 일이 겨우 평정되어 온갖 일이 초창기라 군사들 중에 지원하는 이들을 모아 일꾼으로 삼고,

창과 방패를 부수어 짓는 기구에 보충하여 싸움을 그만두고 백성을 쉬게 하는 의사를 보였던 것이다.

 

그런데 임진년에 불탄 다음 새로 중수하지 못하니,

승방과 불전이 비바람도 가리지 못하여 계단(戒壇)은 빈터가 되고,

강사(講肆)에는 풀이 무성하여 날마다 달마다 퇴락하니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물건은 언제나 시들기만 하는 것이 아니어서 때를 만나면 번영하게 되며,

도는 끝내 막히기만 하는 것이 아니어서 사람을 기다려서 다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남산종사 목헌구공(南山宗師木軒丘公)은 뛰어난 재주로 의리에 통하여

정혜묘원 자행대사(定彗妙圓玆行大師)의 호를 하사받았으며,

무너진 기강(紀綱)을 진흥하는 것만을 소임으로 삼았다.

 

 

하루는 여러 사람을 모아 놓고 말하기를,
“우리들이 이 나라 땅에 살면서 누에치기와 농사일을 하지 않고서도 옷은 추위와 더위를 막으며,

식사는 아침저녁 지내기에 넉넉하니, 우리 임금님의 은혜와 우리 정승이 베푸는 것이 역시 지극한 것이다.

 

지금 국가가 전일과는 다르니 반드시 전례대로 우리들의 집을 중수하려면 어려울 것이고

또 울타리가 터졌는데 그 보수를 이웃 사람에게 요구한다면 의리가 아니며,

밭이 묵었는데 다른 사람에게 김매주기를 바란다면 지혜가 아닙니다.” 하였다.

 

여러 사람들이 듣고서 그 뜻을 깨달아 팔을 걷고 따라 나서서

종파 문중의 여러 절에 통첩을 보내어 일하는 사람들을 불러 들여서 땅의 높고 낮은 것을 평평히 하고,

풀뿌리ㆍ나뭇가지를 잘라 내어 재목을 만들고, 칸수를 정하여 기둥을 세워 둘러 짓고 흙을 바르고 단청하였다.

 

 

높은 전각을 윗쪽에 짓고 긴 행랑을 양옆으로 지었으며,

두 행랑 끝에 다락을 짓고 마루를 놓으며 두 다락 사이에 행랑을 짓고 문을 내었다.

 

그 서쪽에는 학도들의 집과 스승의 방이다. 부엌과 곳간이 모두 제자리에 있는데,

간략하고도 주밀하며 검소하고도 견고하니,

기왕의 일을 참작하여 오래 가게 하려고 규모와 제도를 증감하여 알맞게 한 것이었다.

 

지리(至理) 계해년(충숙왕 10년)에 시작하여 태정(泰定) 을축년까지 3년간에 완성하고

경찬회(慶讚會)를 베풀어 낙성하니, 보고 듣는 사람들이 모두 감탄하고 칭찬하였다.

 

이에 그 무리들이 찾아와서 장래 길이 전할 것을 생각하여 계속해서 기문(記文)을 청하는 것이었다.

 

 

생각하건대,

근세에 불가에서 무슨 일을 할 때면 반드시 세력을 권문호가(權門豪家)에서 빌려서 백성에게 폐를 끼치고,

나라에 해가 되게 하면서 빨리 만들려고만 하고, 복을 닦는 것이 원망을 없게 하는 길임을 모르는데,

목헌대사(木軒大師)는 그렇지 않아 말이 지성에서 나오니,

많은 사람들이 시키는 대로 하기를 즐겁게 여겨 나라의 털끝 만한 재물도 허비하지 않고,

백성들에게서 잠깐의 노력도 빌리지 않고서 이루어 놓은 것이 이와 같으니, 이것이야말로 기록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이 절의 처음 창설은 대개 태조께서 국가에 이익을 가져오게 하려고 지은 것이고,

양씨처럼 부처에게 아첨하려고 지은 것이 아니니,

이 역시 후세의 사람들로 하여금 알게 하지 않으면 안될 일이므로, 대강 내력을 서술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 계율의 도에 이르러서는 그것이 아마도 선(善)으로 나가게 하기를 요(堯)ㆍ순(舜)의 정치같이 하되

고요(咎繇)의 형벌이 있는 것이 아니니, 형벌이 없이 되도록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될 뿐이다.

 

그 은밀한 말과 심오한 뜻이라면 내가 일찍이 배우지 않았으니 감히 억지로 말하지 못하겠다.
---------------------------
*고요(咎繇) : 고요(皐陶)라고도 쓰는데 중국 우순(虞舜)시대의 형벌을 맡았던 판관의 이름이다.

 

 

○ 중수 건동선사 기(重修乾洞禪寺記) 
 

 

경원(慶原)은 양광도(楊廣道)에 있어서 가장 궁벽한 고을이다.

 

그러나 시중(侍中) 장화공(章和公) 이하로 명공(名公)ㆍ석유(碩儒)와 귀척(貴戚)의 높은 벼슬하는 이들이 많이 나왔으니,

이것은 그 곳의 지세가 산천과 잘 연결되고,

넓은 바다와 연결되어 형세의 모인 것이 기이하고 기운의 빼어남이 수려하기 때문이었다.

 

읍에서 서북쪽으로 불과 5리쯤 가면 산이 불쑥 솟아오르고, 환하게 트인 속에 옛 절터가 있다.

 

주민들이 서로 전하여 부르기를 건동(乾洞)이라 하는데, 실은 고을에서도 제일 기이하고 수려한 곳이다.

 

시위호군(侍衛護軍) 하씨(河氏)의 이름은 원서(元瑞)인데,

이 고을의 사족(士族)으로 젊은 나이에 궁중에 들어가 일을 보아서 조심스럽고 정성스러운 사람으로 알려졌다.

 

일찍이 사냥 나와 이곳에 왔는데,

무너진 담장과 부서진 주춧돌이 풀포기 속에 파묻힌 것을 보고 개연(慨然)히

폐지된 이 절을 다시 일으킬 것을 마음 속으로 맹세하니,

이때는 원(元) 나라 성종(成宗) 대덕(大德) 연간 갑진년(충렬왕 30년)이었다.

 

지금에 이르기까지 20여 년이라는 오랜 기간을 두고,

주머니에 모인 것을 털고 입고 먹는 물자를 절약해 가며 그 비용을 충당하였다.

 

숲 속에서 재목을 베고 산에서 돌을 깨며 자갈을 깔고 흙을 다지는데,

자신이 일꾼들보다 먼저 하며 조금이라도 생각과 같지 않으면 다 된 것이라도

반드시 고쳐 두 번, 세 번 하되 조금도 게으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붉은 기둥과 무늬 있는 사잇기둥이 굉장하고 화려한 것은 부처를 모신 곳이고,

골방과 온돌방이 아늑하고도 넓은 것은 중들이 거처하는 곳이다.

 

큰 채를 높게 하고 행랑을 넓게 하니 깎아지른 듯한 산봉우리를 마루 창에서 잡을 것 같고 넓은 물결을 뜰 문에서 굽어볼 수 있다.

 

여기에 층층으로 담장을 둘러싸고 소나무를 열지어 심으니, 오르고 내리며 둘러보면 좌우쪽이 모두 알맞게 되었다.

 

그리고 종과 북 등 불경 공부하는 물건이 정밀하지 않은 것이 없고,

큰 솥과 작은 솥 등 음식을 만드는 기구가 완전하지 않은 것이 없으며,

책상과 궤와 요ㆍ대자리 등 앉고 눕는 시설이 두루 되지 않은 것이 없는데,

다시 종들을 모아 들여 심부름시키기에 부족함이 없게 하니, 모두를 들어 말하면 이상 더할 것이 없다 하겠다.

 

여기에 바윗돌을 뚫어 찬 샘물을 먹으니 물길러 다니는 수고가 없어지고,

묵은 땅을 일구어 좋은 밭과 같은 수입을 얻으니 공양하는 물품이 넉넉하게 된 것 같은데,

이 일은 신(神)과 물(物)이 그 성의에 감동하여 몰래 와서 도와 주는 것 같기도 하였다.

 

금년 10월, 서역(西城)의 지공선사(指空禪師)가 화산(華山)으로 가는 길에

지나다가 둘러보고 크게 칭찬하며 드물게 보는 일이라 하고,

돌아올 때는 그 무리 천 수백 명과 함께 와서 그대로 머물렀다.

 

손님 중에 익재(益齋)에게 묻는 이가 있어 말하기를,
“옛날 양 나라 소씨(蕭氏)는 만승천자의 세력으로

천하의 힘을 다하여 탑을 만들고 절을 세운 것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

그 공덕으로 말하자면 어찌 하씨의 한 절의 백 배만 되리요.
그러나 달마(達磨)가 기롱하였는데, 지금 지공은 하씨에 대해서 칭찬하니 이것은 무엇 때문이오.” 하므로,

 

 

대답하기를,
“일은 형세가 같으면서도 이치는 다른 것이 있으니, 가슴속에 재량이 있는 이가 아니면 가려내어 알지 못하는 것이오.
옛날 성인은 천하를 소유하고서도 상관하지 않았으니, 그것은 자기의 소유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만일 자기의 소유가 아닌 것을 가지고 공덕으로 삼으려 한다면 이것은 하지 않는 것이 도리어 공덕이 될 것이다.

내가 하씨를 보니 그의 힘을 들인 것은 자기의 것을 다하고 남에게서 빌리지 않았으며

그의 마음 쓰는 것은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고, 자기를 위해서 한 일이 아니니,

그렇다면 주먹만한 돌과 한 줌의 흙이라도 공은 수미산(須彌山)보다 높고,

한 올의 향연기와 한 치의 촛불이라도 이익이 항하사(恒河沙)보다 넓을 것이니,

이것이 그 형세가 같으면서도 이치는 다른 것이다.
지공과 달마의 같고 다른 점에 대해서는 그대가 보다 더 높은 안목을 갖춘 다음 다시 나에게 말하여 주시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