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703

합제사

■ 합제사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는 합제를 하고 있고요.할아버지, 할머니도 합제를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번에 증조부모와 조부모를 포함해서 합제를 하려고 합니다.어떤 기준으로 어느 분의 기일에 맞춰서 합제를 지내야 할까요?】 답변) 이이록 먼저 기제사와 합제사에 대하여 알아야 합니다. 기제사는 4대(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봉사로 연 8회 각각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로 하여 기일 오전 0시 이후에서 새벽동이 틀 이전의 밤중이나 이 시간에 제사를 모시지 못하였으면 이날 저녁 시간대인 밤에 집에서 모시는 제사가 기제사입니다.  합제사는 5대조(고조의 父)이상 윗대 조상님들은 10월 좋은 날을 택하여 선산의 묘소에서 낮에 모시는 제사가 합제사(묘제. 시제)입니다.  설. 추석 명절 때 집에..

경주이씨 ** 입향조 내용 수정

■  경주이씨 ** 입향조 내용 수정 **향토문화백과 창원의 마을 이야기. 경주이씨 >에 있는 글로 내용면에서 수정할 곳(*)이 많아 이를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수정을 요구를 하였습니다.  【[정의]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시 세거 성씨. [연원]경주이씨의 시조는 신라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급량부(及梁部)의 촌장으로 전하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이다.‘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표암(瓢巖. 박바위)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이씨· *가평이씨· *평창이씨· 원주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우봉이씨 등과 우계 이씨· *성주이씨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3.29

시대별 장례 변천사 - 2

■ 시대별 장례 변천사 - 2 신라> 신라에서는 관을 사용하여 시신을 염습 후 치장하고 상복을 입는 복제가 시행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증왕 때에 제정 반포된 이 상복 제도는 왕, 부모, 처자 모두 1년 동안만 상복을 착용토록 하여 고구려나 백제의 3년 상복제도와는 달리 그 기간이 단축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지증왕은 순장금지제도를 법제화한 왕으로서도 유명하며, 또 죽은 왕들에게 시호(諡號)를 사용하도록 한 왕으로서도 유명하다.통일신라 이후에는 불교의 법식에 따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화장이 성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많은 골호들이 경주 지방에서 발견되고 있는 점을 통해서 볼 때 이 당시에는 화장한 후 뼈를 항아리에 담아 묻거나(藏骨) 혹은 바다에 뼛가루를 뿌리는(散骨) 장법들이 유행했음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