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주이씨 ** 입향조 내용 수정

녹전 이이록 2025. 3. 29. 07:59

 경주이씨 ** 입향조 내용 수정

 

**향토문화백과 창원의 마을 이야기. < 경주이씨 >에 있는 글로 내용면에서 수정할 곳(*)이 많아 이를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수정을 요구를 하였습니다.

 

[정의]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시 세거 성씨.

 

[연원]

경주이씨의 시조는 신라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급량부(及梁部)의 촌장으로 전하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이다.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표암(瓢巖. 박바위)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이씨· *가평이씨· *평창이씨· 원주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우봉이씨 등과 우계 이씨· *성주이씨의 일부도 이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

*표시가 있는 *가평이씨· *평창이씨· *우봉이씨. *성주이씨는 경주이씨가 아님.

 

따라서 이들 분적된 종중까지 모두 합치면 경주 이씨가 대종이라 해도 될 것이다.

경주 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중시조인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이씨는 시조이후 중시조까지 계대를 알 수 없다가 신라 말 경주이씨를 대표하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 최초의 인물로 밝혀져 중시조로 받들게 되었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36세손이다.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중시조인 이거명의 *16세손(고려 후기. 중시조 17. 중시조 15, 19. 21]에서 크게 *814대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중소 80여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경주이씨는 고려 후기에 크게 세력을 떨쳤고 조선에 들어와서도 문과 급제자 178, 상신 8, 대제학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과 많은 학자·명신을 배출하였다.

 

[입향 경위]

경주이씨의 **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6세손 26(=25세손)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아버지는 이석산(李碩山)이나 이잠천의 호와 자, 생몰 연대는 세보에 나오지 않는다.

이잠천의 종증조부 이류(李瑠)1481년에 태어나 1541년에 죽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추정하면 입향조인 이잠천은 1500년대 후반에서 1600년 초반의 인물로 추정된다.

 

그는 조선시대 전라 감사와 한성윤, 공조 참판을 지낸 이연손(李延孫)[1404~1463]6세손이며, 의정부 좌찬성과 양조 판서를 지냈으며 월성군에 책봉된 이연손의 아들 이철견(李鐵堅)[1435~1492]5세손이다.

 

[현황]

경주이씨는 **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와 동읍의 송정리· 무성리· 용잠리· 모암리· 화양리 등에 집성을 이루며 살고 있다.

이들은 중시조인 이거명의 후손들로 대개 상서공파로 이루어져 있다.

 

[관련 유적]

이잠천의 묘가 **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 독산(獨山)에 있다.

 

1차 수정 요구 - 2012. 3. 11

 

이이록

아래와 같이 수정을 요구합니다.

 

[합천이씨· 가평이씨· 평창이씨· 원주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우봉이씨 등과 우계이씨· 성주이씨의 일부도 ...]

평창이씨는 근래에 경주이씨 분적종에서 제외되었고 가평이씨는 본디부터 분적종이 아닙니다.

수정) 합천이씨. 차성이씨. 우계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원주이씨. 진주이씨. 장수이씨가 확인된 경주이씨 분적종이다.

 

[경주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중시조인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시조는 시조일 따름이고 중시조는 중시조일 따름인데 중시조님을 실질적인 시조라니오?

형식적인 시조가 있고 실질적인 시조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경주이씨는 시조 이알평(표암공). 중시조 이거명(소판공). 중흥조(열헌공)이핵으로 받들어 모십니다.

수정) 경주이씨의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36세손이다.]

- 시조세수는 헤아리지 않습니다.

까닭은 2세인 시조의 아들대부터 중시조 소판공의 까지의 계대는 실전되어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계대를 모르기 때문에 먼 후손으로 하여 遠代孫(원대손)이라 합니다.

수정) 그는 신라 진골 출신으로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8대파가 아니고 14개 대파입니다.

성암공파(誠菴公派)는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 16세 인정)로 파명을 바꾸었습니다.

중시조 본손 계통에서 분파된 파명이 8대파이고 중시조 지손 계통이 판전공파(判典公派). 월성군파(月城君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석탄공파(石灘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교감공파(校勘公派)입니다.

 

[**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6세손인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 창원 입향조 이잠천의 계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1-17181920212223242526

소판공..상서공..지인공..판관공..첨추공..양평공...부정공..............................................

거명...............원보................숭수.....철견......성정..............희영....석산......잠천

(기준)....16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23세손..24세손..25세손

 

이잠천은 중시조의 26세손이 아니고 ‘25세손으로 읽어야 바릅니다.

이잠천은 중시조 26세인데 이를 26세손으로 읽으면 =세손즉 같은 뜻으로 읽게 되는데 세와 세손은 그 뜻과 쓰임이 각기 다릅니다.

 

수정)

**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5세손인 상서공파 26세 이잠천(李潛天)이다.

 

답변)

 

관리자 - 2012.03.12

디지털 **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해 주신 내용 확인하여 수정 완료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을 올려 수정을 부탁하였더니 위와 같이 수정 완료하였다.’라고 해놓고는 전연 수정한 내용이 없었습니다.

다시 수정할 곳을 알려드리니 수정을 바랍니다.

 

[정의]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창원시 세거 성씨.]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1세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고 중시조 17세 이과를 상서공파 대파조로 하며 중시조 26)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창원시 세거 성씨.

 

[연원]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박바위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표암(박바위. 표주박 , 바위 )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 이씨· *가평 이씨· *평창 이씨· 원주 이씨· 아산 이씨· 재령 이씨· *우봉 이씨 등과 우계 이씨· *성주 이씨의 일부도 이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시조 후손에서 분적한 합천이씨· 차성이씨· 우계이씨가 있고 중시조 후손에서 분적한 아산 이씨· 재령 이씨· 원주이씨. 진주이씨. 장수이씨 등이 이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

 

[경주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중시조인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이씨의 시조는 표암공 이알평이고 중시조는 표암공 이알평의 遠代孫(원대손)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36세손이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중시조인 이거명의 *16세손[고려 후기]에서 크게 *8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여 파로 분파된다.]

중시조인 이거명의 14 ~ 20세손(중조 15세 판전공 휘 강 - 21세 월성군 휘 지수)에서 크게 14대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중소 80여 개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14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판전공파(判典公派). 월성공파(月城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석탄공파(石灘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교감공파(校勘公派) 등이다.

 

*경주이씨 대파는 총 14개 대파로 중시조 본손에서 8개 파, 지손에서 6개 파 입니다.

 

[입향 경위]

 

[경주이씨의 창원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6세손인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경주이씨의 창원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5세손인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이잠천은 중시조 26세로 중시조님의 25세손(=25대손)’으로 읽는 것이 바릅니다.

 

[*아버지는 이석산(李碩山)이나 이잠천의 호와 자, 생몰 연대는 세보에 나오지 않는다.]

중조 17세 상서공(휘 과) ~ 26세 잠천 까지의 계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17181920212223242526

...............원보...............연손........철견......성정.................희영.......석산......잠천

......상서공...지인공....판관공...참판공....양평공...부정공....증조..........................()

..................................................................................판관공(휘 류)- 종증조부

 

* ‘아버지는 이석산(李碩山)이나 이잠천의 호와 자, 생몰 연대는 세보에 나오지 않는다.’라고 하였으나 이 글 게재일이 2012. 3. 12인데 1987년도에 간행된 경주이씨 대종보 상서공파 편에 이잠천의 계대가 올라 있습니다.

 

**향토문화백과 **의 마을 이야기. < 경주이씨 >에 있는 글로 내용면에서 수정할 곳(*)이 많아 이를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수정을 요구를 하였습니다.

 

[정의]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창원시 세거 성씨.

 

[연원]

경주이씨의 시조는 신라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급량부(及梁部)의 촌장으로 전하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이다.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표암(瓢巖. 박바위)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이씨· *가평이씨· *평창이씨· 원주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우봉이씨 등과 우계 이씨· *성주이씨의 일부도 이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

*표시가 있는 *가평이씨· *평창이씨· *우봉이씨. *성주이씨는 경주이씨가 아님.

 

따라서 이들 분적된 종중까지 모두 합치면 경주 이씨가 대종이라 해도 될 것이다.

 

경주 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중시조인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이씨는 시조이후 중시조까지 계대를 알 수 없다가 신라 말 경주이씨를 대표하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 최초의 인물로 밝혀져 중시조로 받들게 되었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36세손이다.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중시조인 이거명의 *16세손(고려 후기. 중시조 17. 중시조 15, 19. 21]에서 크게 *814대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중소 80여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경주이씨는 고려 후기에 크게 세력을 떨쳤고 조선에 들어와서도 문과 급제자 178, 상신 8, 대제학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과 많은 학자·명신을 배출하였다.

 

[입향 경위]

경주이씨의 창원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6세손 26(=25세손)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아버지는 이석산(李碩山)이나 이잠천의 호와 자, 생몰 연대는 세보에 나오지 않는다.

이잠천의 종증조부 이류(李瑠)1481년에 태어나 1541년에 죽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추정하면 입향조인 이잠천은 1500년대 후반에서 1600년 초반의 인물로 추정된다.

그는 조선시대 전라 감사와 한성윤, 공조 참판을 지낸 이연손(李延孫)[1404~1463]6세손이며, 의정부 좌찬성과 양조 판서를 지냈으며 월성군에 책봉된 이연손의 아들 이철견(李鐵堅)[1435~1492]5세손이다.

 

[현황]

경주이씨는 **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와 동읍의 송정리· 무성리· 용잠리· 모암리· 화양리 등에 집성을 이루며 살고 있다.

이들은 중시조인 이거명의 후손들로 대개 상서공파로 이루어져 있다.

 

[관련 유적]

이잠천의 묘가 **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 독산(獨山)에 있다.

1차 수정 요구 - 2012. 3. 11

 

이이록

아래와 같이 수정을 요구합니다.

 

[합천이씨· 가평이씨· 평창이씨· 원주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우봉이씨 등과 우계이씨· 성주이씨의 일부도 ...]

평창이씨는 근래에 경주이씨 분적종에서 제외되었고 가평이씨는 본디부터 분적종이 아닙니다.

수정) 합천이씨. 차성이씨. 우계이씨. 아산이씨. 재령이씨. 원주이씨. 진주이씨. 장수이씨가 확인된 경주이씨 분적종이다.

 

[경주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중시조인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시조는 시조일 따름이고 중시조는 중시조일 따름인데 중시조님을 실질적인 시조라니오?

형식적인 시조가 있고 실질적인 시조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경주이씨는 시조 이알평(표암공). 중시조 이거명(소판공). 중흥조(열헌공)이핵으로 받들어 모십니다.

수정) 경주이씨의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36세손이다.]

- 시조세수는 헤아리지 않습니다.

까닭은 2세인 시조의 아들대부터 중시조 소판공의 까지의 계대는 실전되어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계대를 모르기 때문에 먼 후손으로 하여 遠代孫(원대손)이라 합니다.

수정) 그는 신라 진골 출신으로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8대파가 아니고 14개 대파입니다.

성암공파(誠菴公派)는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 16세 인정)로 파명을 바꾸었습니다.

 

중시조 본손 계통에서 분파된 파명이 8대파이고 중시조 지손 계통이 판전공파(判典公派). 월성군파(月城君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석탄공파(石灘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교감공파(校勘公派)입니다.

 

[**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6세손인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 ** 입향조 이잠천의 계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1-17181920212223242526

소판공..상서공..지인공..판관공...첨추공...양평공...부정공..............................................

거명...............원보................숭수.....철견......성정..............희영....석산......잠천

(기준)....16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23세손..24세손..25세손

 

이잠천은 중시조의 26세손이 아니고 ‘25세손으로 읽어야 바릅니다.

이잠천은 중시조 26세인데 이를 26세손으로 읽으면 =세손즉 같은 뜻으로 읽게 되는데 세와 세손은 그 뜻과 쓰임이 각기 다릅니다.

 

수정)

**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5세손인 상서공파 26세 이잠천(李潛天)이다.

 

답변)

 

관리자 - 2012.03.12

디지털 **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해 주신 내용 확인하여 수정 완료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을 올려 수정을 부탁하였더니 위와 같이 수정 완료하였다.’라고 해놓고는 전연 수정한 내용이 없었습니다.

다시 수정할 곳을 알려드리니 수정을 바랍니다.

 

[정의]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시 세거 성씨.]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1세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고 중시조 17세 이과를 상서공파 대파조로 하며 중시조 26) 이잠천을 입향조로 하는 **시 세거 성씨.

 

[연원]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박바위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표암(박바위. 표주박 , 바위 )에서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 이씨· *가평 이씨· *평창 이씨· 원주 이씨· 아산 이씨· 재령 이씨· *우봉 이씨 등과 우계 이씨· *성주 이씨의 일부도 이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시조 후손에서 분적한 합천이씨· 차성이씨· 우계이씨가 있고 중시조 후손에서 분적한 아산 이씨· 재령 이씨· 원주이씨. 진주이씨. 장수이씨 등이 이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

 

[경주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중시조인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이씨의 시조는 표암공 이알평이고 중시조는 표암공 이알평의 遠代孫(원대손)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36세손이다.]

그는 신라 진골로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중시조인 이거명의 *16세손[고려 후기]에서 크게 *8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여 파로 분파된다.]

중시조인 이거명의 14 ~ 20세손(중조 15세 판전공 휘 강 - 21세 월성군 휘 지수)에서 크게 14대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중소 80여 개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14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판전공파(判典公派). 월성공파(月城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석탄공파(石灘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교감공파(校勘公派) 등이다.

*경주이씨 대파는 총 14개 대파로 중시조 본손에서 8개 파, 지손에서 6개 파 입니다.

 

[입향 경위]

 

[경주이씨의 창원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6세손인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경주이씨의 창원 입향조는 중시조 이거명의 25세손인 상서공파 이잠천(李潛天)이다.

*이잠천은 중시조 26세로 중시조님의 25세손(=25대손)’으로 읽는 것이 바릅니다.

 

[*아버지는 이석산(李碩山)이나 이잠천의 호와 자, 생몰 연대는 세보에 나오지 않는다.]

중조 17세 상서공(휘 과) ~ 26세 잠천 까지의 계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17181920212223242526

...............원보...............연손........철견......성정.................희영.......석산......잠천

......상서공...지인공....판관공...참판공....양평공...부정공....증조..........................()

..................................................................................판관공(휘 류)- 종증조부

 

* ‘아버지는 이석산(李碩山)이나 이잠천의 호와 자, 생몰 연대는 세보에 나오지 않는다.’라고 하였으나 이 글 게재일이 2012. 3. 12인데 1987년도에 간행된 경주이씨 대종보 상서공파 편에 이잠천의 계대가 올라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