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25

촌수 - 2

■ 촌수 - 2 우선 촌수를 세려면 그 사람의 직계 할아버지와 나의 직계 할아버지가 어디서 같은 할아버지가 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부터 그 할아버지까지 1대에 1촌씩 더하면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면서 1촌씩 더하면 됩니다.  아주 간단한 덧셈 산수인데도 자꾸 헷갈립니다.  그러니까 8촌이라면 위로 4대 할아버지까지만 올라가면 되겠지요.  아버지가 1촌이고, 할아버지가 2촌, 증조할아버지가 3촌, 고조할아버지까지 4촌입니다.  다시 거꾸로 내려오면서 4촌을 더하면 되니까 형제 항렬에 있는 사람이고 고조할아버지가 같으면 8촌이 됩니다.  고조할아버지 산소를 함께 돌보는 사이라고 생각하면 8촌을 먼 친척이라고 할 수 없잖아요. 그래서 동고조(同高祖) 8촌이라고 하는 말이 있잖아요.

카테고리 없음 2025.01.31

촌수에 대하여

■ 촌수에 대하여 ‘촌수와 주상’ 이라는 제목으로 최모 선생이 글을 올렸기에 좋은 글이라 복사하여 블로그에 올렸더니 도라님이 잘못된 내용을 지적하여 글을 올려 주었습니다. 이에 아래에 일일이 댓글을 올려 답해 드렸습니다.  △ 도라  4대 봉사. 고조 4대까지 기제사. 대(代)와 세(世)는 다르죠. 대는 아버지 1대. 할아버지 2대, 증조부 3대, 고조부 4대, 종손 5대부터 시제 올림. 또는 시향이라 함. 세는 아버지가 1세. 나 2세. 나의 아들은 3세. 시제는 6세 종손이 먼저 잔을 올리죠, ┗ 이이록  도라님. 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라님은 1945년 이후에 생겨난 [2세=1대]로 읽는 '이의'논지로 세와 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세와 대에 대하여 인터넷에서 좀 더 알아보세요. 세와 대는 같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1.30

설 차례 지내는 순서

■ 설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신 (降神) - 혼백을 모신다. 제주(장자 또는 장손)가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차례를 돕는 사람)가 술을 따라주면 쌀을 담아둔 그릇 (모사기)에 3번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상에 올린다. 제주만  2번 절을 한다. 2. 참신 (參神)  - 조상님 (봉사대상 )께 인사를 드린다. 빈 잔에 술을 가득 부어 올리고 차례에 참석한 모든 가족이 두 번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2번 , 여자는 4번 절하기도 한다. 3. 헌작 (獻酌)  -  기제사는  3헌(초헌, 아헌, 종헌)이나 차례는 단작(단잔)으로 조상님께 잔을 올린다.  기제사는 축문을 읽으나 차례는 축문을 읽지 않는다. 제주가 직접 바로 술을 따르거나 집사자가 따라주기도 한다. 4. 계반삽시 (啓飯..

카테고리 없음 2025.01.27

시누이 남편의 호칭

■ 시누이 남편의 호칭 유명 선생이 써 올린 글입니다.  자기 아버지의 형들은 일단 큰아버지들이고, 그 동생들은 작은아버지들이라 한다.  그러니 큰아버지들은 큰아버지들 대로 서열을 매기면 되고, 작은아버지들은 작은아버지들대로 서열을 매기면 된다.  즉 큰아버지가 셋이면 맨 위로부터 첫째큰아버지, 둘째큰아버지, 셋째큰아버지라 부르면 되고, 작은아버지가 둘이면 역시 첫째작은아버지, 둘째작은아버지라 부르면 된다.  또 세간에 처남의 아내를 가리키는 적당한 말이 없으니 ‘처남의 댁’이라고 부르자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처남의 댁’은 지칭어는 될 수 있어도 호칭어는 될 수 없다.  경상도에서는 고래로 처수씨(妻嫂氏)라고 하고 있으니, 이 말을 골라 표준어로 정하여 쓰면 좋으리라 생각한다. 嫂(수)자는 ‘아자..

카테고리 없음 2025.01.25

고조부 다음은?

■ 고조부 다음은? 문의) 고조할아버지 다음은 누구인가요? 답변) △ 지매 9대 조상의 명칭나.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 현조부, 래조부, 곤조부, 잉조부, 운조부로 9대조를 말합니다. △ 이이록 나를 기준으로 아버지(父)를 1대조(=1세조), 할아버지(祖父)를 2대조(=2세조)....등으로 올라가며 헤아려 읽습니다.  八代祖→七代祖→六代祖→ 五代祖→高祖父→曾祖父→ 祖父-→ 父-- → 己 8대조.....7대조......6대조.....5대조...고조부..,.증조부.....조부.......부.........기(나) 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

카테고리 없음 2025.01.24

부계혈족 관계 호칭

■ 부계혈족 관계 호칭 종고조...........................................고조/고조모...................................................고대고모재종.....종......................................증조/증조모 증대...내재종증조.....증조..............................................................................................고모...증조삼종조..재종조....종조....................조/조모....................................대고모...내재...내삼......................

카테고리 없음 2025.01.23

조카며느리(질부)에게 존댓말?

■ 조카며느리(질부)에게 존댓말? 【 큰누님께서 좀 일찍 결혼하셔서 조카와 저의 나이차가 그닥 많지 않습니다.조카 녀석은 같은 남자이기에 때론 동생처럼 함께 목욕탕도 다니고 짓궂은 농담하고 장난도 자주 쳤는데, 이 녀석이 장가를 갔습니다. 제겐 조카며느리 그러니까 질부와 첫 만남 땐 존댓말로 얘기하고 신혼여행 다녀와서도 제가 말을 낮추기가 뭣해서 계속 존대를 했더니 누님께서 편하게 말하라고는 하는데 그게 쉽지 않더군여. 그도 그럴 것이 질부는 조카보다 3살이 많거든 여.; 제가 편하게 말해도 흠이 되진 않겠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 시산. 잇삼. 파큐, 호기. 무탁 등 위 【        】속의 질문에 유명 선생님의 △ 답변입니다.  답변) △ 시산우리나라 예법은 자기 아들이라고 해도 성인이 되면 말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1.22

시동생, 시누이. 처남, 처제 호칭 기사에 대한 생각 – 6

■ 시동생, 시누이. 처남, 처제 호칭 기사에 대한 생각 – 6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결론은 나이나 서열에 관계없이 다 존대하는 문화로 가자! 입니다만 이 기사에서 얘기하는 성차별 지적 자체는 맞다고 봅니다. 어차피 배우자 서열 기준으로 손윗사람은 모두 존대하는 거라 상관없는데요. 문제는 손아랫사람의 경우, 남편은 나이나 아내서열 기준으로 반말로 하는데 아내는 왜 손아랫사람 서열도 모두 공대해야하냐는 게 이 기사의 핵심입니다. 참고로 시아버지, 시어머니의 경우, 지칭은 시아버지. 시어머니 맞지만 호칭은 아버님, 어머님이 맞죠.(이건 장인어른 장모님과 동급. 이와 관련하여. 호칭상 예법식으로 하면 빙장어른, 빙모님이란 말이 따로 있지만, 잘 안 쓰죠?) 참고로 시아주버니와 제수씨 간에 공대하는 건 이 문제와..

카테고리 없음 2025.01.21

아내의 언니와 여동생 - 5

■ 아내의 언니와 여동생 - 5 ◈ 아래누이(여동생) 남편 호칭- (남) 妹兄(매형) ↔ 처남 본인 나이보다 위일 경우 호칭 妹弟(매제) ↔ 처남 본인 나이보다 어릴 경우 호칭 소견) 우리나라는 서울지역의 말을 주로 표준말로 하는데 서울에서는 처남매부간의 호칭을 매부는 처남을 매부 혹은 매형. 매제로 하고 처남은 손위 처남을 처남. 형님으로 부르고 매부. 매형  처남(妻娚. 妻男) - 자기보다 나이가 적은 아내의 손위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내의 손아래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매부(妹夫) - 손위 누이나 손아래 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매형(妹兄) - 손위 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매제(妹弟) - 손아래 누이의 남편을 이르는 말. 계매(季妹)자형(姊兄) - 매형(..

카테고리 없음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