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조부 다음은?
문의)
고조할아버지 다음은 누구인가요?
답변)
△ 지매
9대 조상의 명칭
나.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 현조부, 래조부, 곤조부, 잉조부, 운조부로 9대조를 말합니다.
△ 이이록
나를 기준으로 아버지(父)를 1대조(=1세조), 할아버지(祖父)를 2대조(=2세조)....등으로 올라가며 헤아려 읽습니다.
八代祖→七代祖→六代祖→ 五代祖→高祖父→曾祖父→ 祖父-→ 父-- → 己
8대조.....7대조......6대조.....5대조...고조부..,.증조부.....조부.......부.........기(나)
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 현조부(玄祖父)까지는 문헌에 기록이 있어 5대조(=5세조)로 말하고 ‘현조부’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6대조(=6세조)이상은 호칭이 없이 그대로 6대조, 7대조, 8대조로 읽고 말합니다.
* 그러나 아래의 표와 같이 8세손(=8대손) 아래로는 호칭으로도 읽고 ‘몇 세손(=대손)’으로도 읽어 말합니다.
기(나) → 자 - → 손 - → 증손 → 현손 → 내손 → 곤손 → 잉손 → 운손
己...........子............孫.......曾孫......玄孫......乃孫......昆孫......仍孫......雲孫
기...........자............손.......증손......현손......내손......곤손......잉손......운손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그런데 인터넷에 올라 있는 자료를 보면 나(己)→ 자(子)→ 손(孫)→ 증손(曾孫)→ 고손(高孫) ✖ → 현손(玄孫)→ 내손(來孫)→ 곤손(昆孫)→ 잉손(仍孫)으로 올리기도 하였고 윗대부터 운조→ 잉조→ 곤조→ 래조→ 현조→ 고조→ 증조→ 조→ 부– 기(나) 순서로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나를 기준으로 위 계대와 아래 계대의 호칭이 다른데 나를 기준으로 같은 자리의 호칭을 적용하여 읽었기 때문입니다.
8대조 → 7대조 → 6대조→ 현조→ 고조 → 증조 → 조 - → 부 - → 기(나)
八代祖....七代祖....六代祖....玄祖....高祖.....曾祖.......祖..........父..........己(나)
⑨............⑧...........⑦...........⑥........⑤.........④..........③..........②.........①
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기(나) -→ 자 - - → 손 - - → 증손 - → 현손 → 내손 → 곤손 → 잉손 → 운손
己............子..........孫..........曾孫.......玄孫......乃孫......昆孫......仍孫......雲孫
①............②..........③...........④..........⑤.........⑥..........⑦..........⑧..........⑨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 위의 붉은 글씨로 나타낸 것과 같이 증조와 현조 사이에 다음에 고조로 읽은 것을 보고 증손 다음에 고손으로 읽기도 하고 운조→ 잉조→ 곤조→ 래조→ 로 읽은 것은 乃孫(내손)......昆孫(곤손)......仍孫(잉손).......雲孫(운손)을 따서 윗대에 맞추어 읽기도 하였습니다.
누구의 생각인지 기발하기는 하지만 새로 만든 엉터리 단어라는 것입니다.
아래 사람에게 쓰이는 내(乃), 곤(昆), 잉(仍), 운(雲)자는 윗사람을 뜻하는 글자에는 붙여 쓸 수 없는 글자라는 것입니다.
한자는 뜻글자이다 보니 더욱 글자의 의미를 따지는 것입니다.
고조할아버지 다음은 ‘현조할아버지’라고 하기도 하고 나의 5대조(=5세조)라고도 합니다.
◈ 표준 국어 대사전에 현조의 뜻풀이입니다.
현조(玄祖) 「명사」 = 오대조(5대조).
부계혈족관계 호칭
[위키 백과에 5대 이상의 조상에 현조. 내조. 곤조.잉조. 운조]로 표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