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G님의 댓글 –1
‘촌수와 주상’이라는 제목의 좋은 글이 있어 이를 복사하여 블로그에 올렸더니 RG 선생께서 직계 계대는 세대간 1촌으로 한다는 그 글의 주장에 반대하여 ‘나는 1촌’ . ‘나와 아버지. 형제는 2촌’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하기에 의견이 다른 내용에는 댓글을 계속적으로 올려 왔습니다.
촌수는 방계 친척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와 아버지 1촌’ . ‘나와 형제 2촌으로 한 계대’ . ‘나와 백숙부 3촌으로 한 계대’ . ‘나와 종조부를 4촌으로 한 계대’ . ‘나와 종증조부를 5촌으로 한 계대’. ‘나와 종고조부를 6촌으로 한 계대’에서 아래 계대로 촌수를 헤아려 읽어야 한다고 8차례에 걸쳐 잘못을 지적하고 글을 주고받은 내용입니다.
결국 어느 날 RG님이 주장이 잘못임을 알았는지 올린 글을 모두 삭제하여 버렸습니다.
댓글)
△ RG
【4대봉사 – 고조 4대까지 기제사. * 대와 세는 다르죠.
* 대는 아버지 1대. 할아버지 2대. 증조 3대. 고조 4대. 종손 5대부터 시제 올림 또는 시향이라 함.
* 세는 아버지가 1세. 나 2세. 나의 아들은 3세. 시제는 6세 종손이 먼저 잔을 올리죠. 】
◈ 잘못된 위의 글 내용을 지적하고 바르게 고쳐 읽습니다.
[ 대와 세는 다르죠. 대는 아버지 1대. 할아버지 2대. 증조 3대. 고조 4대. 종손 5대부터 시제 올림. 또는 시향이라 함.
시제는 6세 종손이 먼저 잔을 올리죠,
세는 아버지가 1세.. 나 2세. 나의 아들은 3세.]
△ 이이록
RG님. 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RG님은 1945년 이후에 생겨난 [2세=1대]로 읽는 '이의'논지로 세와 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와 대에 대하여 인터넷에서 좀 더 알아보세요.
세와 대는 같은 뜻입니다.
(1세=1대....5세=5대....10세=10대....30세=30대....)
그리고 ‘세손=대손’ .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5세손=5대손. 10세조=10대조)
위 글을 바르게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대와 세는 같은 뜻(동의어)입니다.
‘나’ 위로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4대는 기일에 기제사로 모시고 그 윗대인 5대조 조상님은 선조제로 시제(시향. 묘제. 묘사. 시사)로 묘에서 제사를 모십니다.
(1973년에 개정한 ‘가정의례준칙’에는 2대봉사를 권장하였습니다.)
世는 나 1세=1대. 아버지가 2세=2대. 할아버지가 3세=3대. 증조부가 4세=4대입니다.]
대는 아버지가 1대가 아니고 누구나 기준을 정하면 기준이 1대 입니다.
나는 기준이 될 수도 있고 아버지가 기준이 될 수도 있고 고조부나 대. 중. 소파조께서 1세=1대가 될 수 있습니다.
▲[대는 아버지 1대. 할아버지 2대. 증조 3대. 고조 4대.]
소견)
‘대는 아버지 1대. 할아버지 2대. 증조 3대. 고조 4대’가 아닙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세(=대)로 같은 뜻으로 읽고 ‘세손=대손’ .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말합니다.
5대조 - → 고조 → 증조 → 조 -→ 부 -→ 기(나)
1세.............2세.......3세.......4세.......5세.......6세
1대.............2대.......3대.......4대.......5대.......6대
6세.............5세.......4세.......3세.......2세.......1세
6대.............5대........4대.......3대.......2대.......1대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종손 5대부터 시제 올림.]
소견)
위 표를 보면 내가 종손의 제주라면
5대조 - → 고조 → 증조 → 조 - - → 부 - → 기(나)
1세............2세.......3세.......4세.........5세........6세
6세.............5세.......4세.......3세.........2세.......1세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 5대조(현조) 이상 윗대 조상님은 연1회 묘제로 모시고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4대는 내가 제주가 되어 기일에 기제사로 제사를 모십니다.
‘시제는 6세 종손이 먼저 잔을 올리죠, ‘종손 5대부터 시제 올림’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
6세=6대입니다.
그러면 제사를 주관하는 종손(宗孫)은 5대조인 현조로부터 6세=6대입니다.
‘6세 종손. 종손 5대’라고 달리 표기하였는데 ‘종손 6세=6대’ 같은 뜻입니다.
△ RG
【 (寸) 촌수는 아버지 2촌. 형제도 2촌】
△ 이이록
◈ 위 글은 아래와 같이 바르게 고쳐 읽어야 합니다.
촌수(寸數)에서 아버지 2촌. 형제도 2촌이라면 1촌 관계는 누구입니까?
1촌이 없이 2촌이 어찌 성립하는지요?
직계에서는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하고, 방계인 나와 형제를 2촌. 백숙부를 3촌. 종조부를 4촌. 종증조부를 5촌. 종고조부를 6촌으로 기준하여 아래 계대로 촌수를 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위 글은 아래와 같이 고쳐 읽어야 합니다.
[촌수(寸數)는 나와 아버지 1촌. 나와 형제 2촌. 나와 백숙부 3촌, 니와 종조부 4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