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주이씨(慶州李氏)에 대(對)하여 - 1

녹전 이이록 2019. 1. 14. 10:34

경주이씨(慶州李氏)에 대()하여 - 1



경주이씨 ○○공파카페에 올라 있는 글입니다


잘못된 내용에는 본문에 [*..........]로 지적하고 뒤에 붉은 글씨로 바르게 수정합니다.


아래는 ’경주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


경주이씨(慶州李氏)에 대()하여


1.경주이씨(慶州李氏) 시조(始祖) : 이알평(李謁平)


2.경주이씨(慶州李氏) 유래(由來) :


시조(始祖)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은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誕生) 설화(說話)에 나오는 초기(初期) 신라(新羅)6촌 중 알천 양산촌(閼川楊山村 : 급량부)의 촌장(村長)이다.


이알평(李謁平)은 신라(新羅)의 좌명공신(左命功臣)으로 <경주이씨 대종보>에 의하면 박혁거세(朴赫居世)가 왕()이 된 뒤 아찬(阿粲)에 올라 군사(軍事) 업무(業務)를 장악(掌握)했으며 32(신라 유리왕 9)


[*양산촌 이씨(李氏) 급량부 이씨(李氏) ]로 성()을 하사(下賜)받았다고 한다.


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23[*익호(謚號) 시호(諡號)[*문선공(文宣公)? - 공자 시호? 충헌공(忠憲公) - '충헌공'으로 기록한 자료도 있음.]으로 하였고, 무열왕(武烈王) 3년 은열왕(恩烈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의 후손(後孫)에 대()한 계대(繼代)가 전()해지지 않아 이알평(李謁平) [*36세손(世孫) 원대손(遠代孫)]이며 신라(新羅)때 소판(蘇判)벼슬을 지낸 진골(眞骨) 출신(出身)인 이거명(李居明)[*1세조(世祖) 1()]로 하고 있다.

3. 경주이씨(慶州李氏) 세계도(世系圖)


(1) 시조 : [*이알평(李謁平) 표암공(瓢巖公) 표암(瓢巖) 이알평(李謁平)] -

2: . -  3: .  -  4: 중가. -  5: . -  6: 문상. -  7: . -  8 : [*수장] -

9: (). -  10: 기정. -  11 : (미선). -  12: 성립. -  13: . -  14 : (계훤). -  15: 걸 -

16: 선장. -  17: 기첨. -  18: 인흥. -  19: . -  20: 선정. -  21: . -  22: 태휘. -

23: (우영). -  24: . -  25: (). -  26: 경지. -  27: . -  28 : (원장). -  29: 한로.-

30: 계탕. -  31: . -  32: 사언. -  33 : (). -  34: 희두. -  35: . -  36: 거명 소판공


중시조 계대


1: 원대손(遠代孫) : 거명(居明). -  2: 금현(金現). -  3: 금서(金書). -  4: 윤홍(潤弘). -

5: 승훈(承訓). -  6: 주복(周復). -  7: (). -  8: 치연(侈連). -  9: 총섬(寵暹) -

10: 춘정(春貞). -  11: 현복(玄福). -  12: 선용(宣用). -  13: 승고(升高). -  14: 득견(得堅) -

15: 중시조(中始祖) 열헌공(悅軒公) (). -  16: 평리공파(評理公派).  파조 인정(仁挺).

* 17국당공파(菊堂公派) 파조(派祖) () 익재공파(益齋公派) 파조(派祖) 제현(齊賢).


4. 경주이씨(慶州李氏) 본관 연혁(本貫沿革)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慶州)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紀元前) 57년에 6 (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古代國家)를 형성(形成),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 )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 시조(始祖)가 탄생(誕生)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別稱)으로 사용(使用)하였다.


307(기림왕 10)에 최초(最初)로 국호(國號)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고려 태조 18) 신라(新羅)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왕건(王建)에 항복(降伏)하자 경주(慶州)로 개칭(改稱)하고 식읍(食邑)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名稱)이 생겼다.


987(고려 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改稱)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목종 11)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別稱)하다가 1030(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實施)되자 동경(東京)을 설치(設置)하고 충렬왕(忠烈王)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신종 5) 경주(慶州)야별초의 반란(叛亂)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고종 6)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慶州府)로 개칭(改稱)한 이후(以後) 1415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蔚山)으로 이전(移轉)하였다.


1637(인조 15)에 속현(屬縣)인 자인현이 분리(分離) 독립(獨立)하였다.


1895(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慶州郡)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慶州邑)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慶州市)로 승격(昇格)했으며, 경주군(慶州郡)은 월성군(月城郡)으로 개칭 (改稱)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月城郡)이 경주군(慶州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慶州郡)과 통합(統合)하여 시()로 승격(昇格)하였다.


5. 경주이씨 (慶州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경주이씨(慶州李氏)는 고려(高麗) ()에 크게 세력(勢力)을 떨쳤고 조선(朝鮮)에 들어와서도 문과(文科 )급제자(及第者) 178, 상신 8, 대제학(大提學)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功臣)과 많은 학자(學者)와 명신(名臣)을 배출(輩出)하였다.


8대파 중 상서공파의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집안에서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세칭 8()으로 불리우는 익재공파와 익재공파의 세칭 8()집의 화곡(華谷) 이경억(李慶億) 집안] 과 이완(李浣)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경주이씨(慶州李氏)가 조선(朝鮮)에 배출한 상신· 문형 가운데 백사집에서 영의정 4, 좌의정(左議政) 2, 대제학(大提學) 2명이 나왔고, 8별집에서 좌의정(左議政)과 대제학(大提學)1, 국당공파 중의 정순공(靖順公) 이성중(李誠中) 후손(後孫)에서 좌의정 1명이 나와 이들 3파가 사실상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주축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