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촌수 읽기 - 2
‘종 몇 대조’는 방계에서는 마디 수와 같으니 촌수로 읽는 것과 같기 때문에 바로 촌수로 읽어도 됩니다.
방계의 촌수는 기준만 빼고 마디인 ‘세수’로 읽든가 아니면 ‘종대조수’로 읽든가 하면 그 읽은 수가 촌수가 되는 것입니다.
손가락으로 헤아리거나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촌수로 읽게 되는 것입니다.
1) [직계 혈족은 촌수가 없다.]
- 직계는 촌수로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2) [촌수는 나와 방계 혈족의 멀고 가까운 관계를 촌수로 읽는다.]는 말에 따라 나와 방계혈족만의 관계를 촌수로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 위 표를 보고 아래의 물음에 촌수로 읽어 봅시다.
1) 종고조부님의 후손 중 한 분이 나와 같은 항렬이다.
나와 몇 촌간인가?
답변) 나와 10촌간이다.
○ 10촌간이 되는지 표로 촌수로 헤아려 계산해 보겠습니다.
고조부 ━ 종4대조-------종고조(고조부형제)
증조부 ━ 종3대조(종증조부).......▏
조부 ━━ 종2대조(종조부)..........▏
부 ━━━ 종1대조(백숙부 ).........▏
Ⓞ 나 ━━━━━━━━━━━━ A (동항렬)
위의 관계를 나에서 종고조부까지 마디를 헤아리고 종고조부에서 나와 A(동항렬) 형제까지 마디를 헤아려 촌수로 읽습니다.
고조부 ━ 종4대조--------------------↗종고조(고조부형제)
증조부 ━ 종3대조(종증조부)............↗....↓
조부 ━━ 종2대조(종조부)..........↗.........↓
부 ━━━ 종1대조(백숙부 )...↗...............↓
Ⓞ 나 ━━━━━━━━━━━━━━━━ ↓A(동항렬)
① 나와 종고조부간의 종대조수를 헤아리거나 마디를 헤아립니다.
나와 종고조부는 나의 종4대조이니 4마디로 4촌이 됩니다.
② 종4대조와 그 방계 후손(나와 동항렬)의 마디는 4마디에 촌수는 4촌입니다.
①의 4촌+ ②의 4촌 + 2촌 = 10촌입니다.
* '+2'는 계산에서 빠진 나와 아버지 1촌. 나와 형제 2촌을 말합니다.
즉 나에서 종고조부까지 종4대조. 4마디로 4촌. 종고조부에서 A(동항렬)까지 4마디로 4촌이니 4촌+4촌=8촌입니다.
나에서 백숙부부터 1마디를 1촌으로 계산하였으니 계산에서 빠진 ‘나와 아버지 1촌’과 ‘나와 형제 2촌’의 ‘+2촌’을 더하면 나와 10촌간입니다.
◈ 이를 간편셈으로 셈하면 나와 종고조부님과의 종대조수는 종4대조이고 종고조부님과 그 후손(나와 세수가 같고 항렬이 같은 일가)까지는 4대조로 4마디이니 4촌입니다.
이는 종대조수가 종 4대조가 4마디로 4촌, 양쪽으로 2번이니 4✕2는 8촌이고 여기에 +2촌을 해 주어야 하니 10촌이 됩니다.
그래서 (4✕2)+2=10(촌)인 것이다.
※ 직계의 공동조상(공통조상. 공통직계선조)을 정하지도 않았고 직계혈족의 촌수도 전연 헤아리지 않고 나와 방계혈족의 촌수를 읽은 것입니다
2) 종증조부님의 후손 중에 나와 손자뻘이 되는 일가와의 촌수는?
답변)
고조부 ━ 종고조
증조부 ━ (종3대조)...........↗ 종증조(증조부형제)
조부 ━━ (종2대조)......↗.....↓
부 ━━━ (종1대조)↗...........↓
형제 ━━━━━나................↓
질(조카. 종1대손).................↓
종손(종2대손)......................↓A(나의 손자뻘)
◈ 나와 A(손자뻘. 나의 2대손)와의 촌수를 읽어 보자.
① 나와 종증조부와의 촌수는 종증조부는 나의 종3대조이고 마디가 3마디이니 나와 3촌간입니다.
② 종증조부와 그 후손(나와 손자뻘)의 마디를 헤아려 이를 촌수로 읽습니다.
종증조부의 계대는 종증조부 ~ A(나의 손자뻘)까지이니 마디를 헤아리면 5마디이고 5촌입니다.
종증조부는 ‘나’ 위로 종3대조이니 마디로 3마디이니 3촌이고 후손인 손자뻘은 나 아래로 종2대손이니 2촌으로 5촌이 됩니다.
즉 종조부 계대의 조손간은 5마디로 5촌으로 읽습니다.
③ 이를 더하면 3촌+5촌+2촌=10촌으로 나에서 종조부 계대의 손자뻘은 나와 10촌간 입니다.
* 위 표에서 종1대조인 백숙부를 1마디로 1촌으로 하여 윗대로 계산하였으므로 나와 아버지 1촌과 나와 형제 2촌은 계산에서 빠진 것으로 +2를 더하여 촌수로 읽어야 합니다.
*이해가 안 되면 위의 촌수 표와 일일이 대조하면서 계산해 보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