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대동당(三代同堂)
블로그(sambolove.blog.me/220993231308) ‘다산을 찾아서’에 ‘구세동당(九世同堂)’에 대한 글이 있어 소개, 인용합니다.
【 9대의 가족이 한집에 살다. (작성자 : 새오늘)
아홉 구(乙- 1). 인간 세(一-4). 한가지 동(口- 3). 집 당(土- 8)
보통 부부를 중심으로 자녀와 함께 가족을 이룬다.
核(핵)가족이다.
이 말은 미국의 인류학자 머독이 처음 사용했다는데 종전까지의 부부가족이나 소가족보다 적절한 표현이라 해서 대표하는 용어가 됐다.
그래서 자녀들은 할아버지, 할머니는 가족의 일원이 아니라고 여기기도 한단다.
한 세대 전만 해도 직계의 형제들이 한 곳에 모여 사는 대가족을 많이 볼 수 있었는데 요즘은 희귀한 존재가 됐다.
3대가 모여 사는 것도 드문 시대에 옛날 중국이지만 9대의 900명 식솔과 함께(九世) 한 집안에서 살았다(同堂)는 이 이야기는 믿기지 않는다.
九世同居(구세동거)라 써도 같다.
성어의 주인공은 唐(당)나라 高宗(고종) 때의 사람 張公藝(장공예)다. 安重根(안중근)의사의 널리 알려진 '百忍堂中有泰和(백인당중유태화)'란 유묵의 유래가 된 사람이기도 하다.
어떤 일이든 100번을 참으면 집안에 화평이 유지된다는 뜻이다.
장공예는 서기 578년 北齊(북제)에서 태어나 北周(북주), 隋(수), 당의 則天武后(측천무후) 때인 676년 사망할 때까지 99세 동안 한 집에서 9대가 화목하게 살아 널리 알려져 있었다. 665년 고종이 문무대신을 거느리고 泰山(태산)에서 封禪(봉선)의식을 행한 뒤 돌아오는 길에 장공예의 집을 방문했다.
왕은 많은 친족이 한집에 살면서 화목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물었다.
그는 慈愛寬仁(자애관인)의 자세로 사람을 대했지만 모든 것은 참을 忍(인)자 한 글자 덕이라고 답하면서 100자를 써서 왕께 바쳤다.
고종은 크게 칭송하며 百忍堂(백인당)이라 당호를 써 하사하고 비단 100필을 내렸다.
'舊唐書(구당서)'에 실려 있다.
효를 숭상한 우리나라서도 이 고사는 숱한 문집에 張公藝九世同居(장공예 9세동거)로 거론되었고 栗谷(율곡)선생은 9세 때 이 소재의 그림을 그려두고 감상했다고 하여 유명하다.】
옛날에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한 집안에 조부모와 부모를 모시고 나의 가족과 함께 대가족을 이루며 살았습니다.
나를 기준으로 윗대로, 아랫대로 1. 2. 3. 4. 5세( =1. 2. 3. 4. 5대)가 한 집안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았습니다.
△ 3세동당(三世同堂) . 3대동당(三代同堂)
조(祖), 부(父), 기(己- 나)가 한 집에서 함께 사는 경우를 삼대동당(三代同堂) 또는 삼세동당(三世同堂)이라 합니다.
삼세(三世) - 1세- 조(祖), 2세- 부(父), 3세 - 기(己- 나) - 3세
삼대(三代) - 1대- 조(祖), 2대- 부(父), 3대 - 기(己- 나) - 3대
나를 기준으로 위아래이든 아래위이든 3세(=3대)가 한 집에 모여 사는 것을 말합니다.
기준은 누구를 잡아도 상관없습니다.
나를 기준으로 祖(조)- 父(부)- 己(기)와 己(기)- 子(자)- 孫(손)와 父(부)- 己(기)- 子(자)의 3대(=3세)로 나타내어도 좋고 曾祖(증조)- 祖(조)- 父(부)와 子(자)- 孫(손)- 曾孫(증손)의 3대(=3세)로 나타내어도 좋습니다.
△ 4세동당(四世同堂)
조부에서 손(孫)에 이르는 4대의 가족이 탈 없이 단란하게 살아간다는 뜻으로, 중국인의 행복한 삶을 가리키는 전통적인 대명사라고 하는데 중국작가 라오서(老舍)의 3부작 장편 소설 제목이기도 합니다.
4세(四世)는 조(祖), 부(父), 기(己). 자(子)의 4대(=4세)를 말하나 나를 기준으로 위로든. 아래로든 4세(=4대)가 같이 모여 사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한자어에서 계대를 ‘조(祖)- 부(父)- 자(子)’로 표기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위에서는 나(己)를 넣어 ‘조(祖)- 부(父)- 기(己)- 자(子)’로 표기하였습니다.
△ 5대동당(五代同堂)
오대동당(五代同堂)이란 직계 5대 가족이 함께 화목하게 함께 모여 사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전에는 3세대가 한 지붕아래 사는 집이 대부분이었다고 하는데 때로는 4대가 함께 살아 4대동당(四代同堂), 5대가 함께 살아 5대동당(五代同堂)이라고 하는 집도 있었다고 합니다.
고조 - - → 증조 -- → 조 - - → 부 - - → 기(나)
1세(대).......2세(대).....3세(대)......4세(대)......5세(대) – - - 5세동당(=5대동당)
..................1세(대)......2세(대).....3세(대)......4세(대) - - - 4세동당(=4대동당)
...................................1세(대)......2세(대)......3세(대) - - - 3세동당(=3대동당)
기(나) - - → 자 - - - → 손 - - -→ 증손 - -→ 현손
1세(대).........2세(대).......3세(대).......4세(대)......5세(대) - 5세동당(=5대동당)
1세(대).........2세(대).......3세(대).......4세(대) - - - - -- - 4세동당(=4대동당)
1세(대).........2세(대).......3세(대) -- - - - - - - - - - - -3세동당(=3대동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