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는 기준을 포함하고 대는 자기를 빼고 계산한다.
- 世는 기준을 포함하고 代는 자기를 빼고 계산한다.
모 성씨 사이트에 게재된 ‘세와 대의 이의론’ 글입니다.
[父子相繼爲一世(부자상계위일세)라 하였으니 世(세)는 高祖(고조), 曾祖(증조), 祖(조), 父(부), 己(기), 子(자)로 繼承(계승)되는 數(수)의 표시며 代(대)는 高祖代曾祖(고조대증조), 曾祖代祖(증조대조), 祖代父(조대부), 父代己(부대기)의 뜻이다.
다시 말해 *世(세)는 하나의 기준이 있어 基準(기준)도 계산하는 것이다,
즉 自己(자기)를 기준하여 자기는 1세가 되고 아들은 2세가 손자는 3세가 된다,
* 代(대)는 代不及身(대불급신)이라 하여 自己(자기)를 빼고 세는 것이다.
一般的(일반적)으로 우리는 자기 윗대를 따질 때는 ‘몇 대조’라 하고 祖上을 기준으로 자기를 따질 때는 ‘몇 세손’이라 한다.
◈ 세와 대를 이의론으로 읽은 표
1世 ㅡ 2世 ㅡ 3世 ㅡ 4世 ㅡ 5世 ㅡ 6世 ㅡ 7世 ㅡ 8世ㅡ
溫仁ㅡ 佑精ㅡ 裕中ㅡ 庸 ㅡ 太白 ㅡ 祐 ㅡ 天祿 ㅡ 希碩 ㅡ
28代ㅡ 27代ㅡ 26代ㅡ25代ㅡ 24代ㅡ 23代ㅡ 22代ㅡ 21代ㅡ
9世ㅡ 10世ㅡ 11世ㅡ 12世ㅡ 13世ㅡ 14世ㅡ 15世ㅡ
象 -ㅡ 繼祖 ㅡ 自中 ㅡ 詮 ㅡ- 世通 ㅡ- 璿 ㅡ- 省身 ㅡ
20代ㅡ19代ㅡ 18代ㅡ 17代ㅡ 16代ㅡ 15代ㅡ 14代ㅡ
16世ㅡ 17世 ㅡㅡ 18世ㅡㅡ 19世 ㅡㅡㅡ20世ㅡㅡㅡ21世ㅡㅡㅡ 22世ㅡㅡ 23世ㅡ
ㅡ逈ㅡ 景憲,景夏ㅡ埻,墐,墠ㅡ聖應,聖期,ㅡ熽,燁,燮ㅡ殷老,彦耉,ㅡ铤,錫,鐸ㅡ允浩,德浩ㅡ
13代ㅡ 12代ㅡ 11代ㅡ 10代ㅡ 9代ㅡ 8代ㅡ 7代ㅡ 6代
24世ㅡ 25世ㅡ 26世ㅡ 27世ㅡ 28世ㅡ 29世
楠,棹,榗ㅡ 台,以,允煥ㅡ 增,在勳,城ㅡ 鎭寬,鎭國,ㅡ 賢九,顯珉ㅡ 昞喆
5代ㅡ 4代ㅡ 3代ㅡ 2代ㅡ 1代ㅡ 나(自己)
(소견) 이이록
위 논리는 세(世)와 대(代)는 다른 뜻(異義語이의어)으로 사용되는 논리를 구술한 글이다.
즉 *世(세)는 하나의 기준이 있어 基準(기준)도 순서대로 헤아려 읽는 것이다,
* 代(대)는 代不及身(대불급신)이라 하여 自己(자기)를 빼고 세는 것이다.
즉 世(세)는 高祖(고조)- 曾祖(증조)- 祖(조)- 父(부)- 己(기)- 子(자)로 繼承(계승)되는 數(수)의 표시며 代(대)는 高祖代曾祖(고조대증조) 1대- 曾祖代祖(증조대조) 1대- 祖代父(조대부)- 1대-父代己(부대기)의 뜻이다.
다시 정리하면 세와 대는 다른 뜻인 이의어(異義語)로 ‘2세=1대’로 읽고 ‘1세=1세손’. ‘2대=1대손’으로 읽고 ‘상대하세(上代下世)’로 읽고, ‘대불급신(代不及身)’으로 정리하여 읽는 논리가 이의론(異義論)으로 1945년 이후에 몇몇 학자와 교수에 의해 새롭게 널리 알려진 논리이다.
이에 반해서 1945년 이전과 1975년 이후에는 세와 대는 같은 뜻(同義語)으로 정리하여 ‘1세=1대’. ‘1세손=1대손’. ‘1세조=1대조’로 읽는 동의론(同議論)이 세대(世代)를 바르게 읽어온 것이다.
*세와 대는 위의 표와는 달리 이래의 표와 같이 읽는다.
1世 ㅡ 2世 ㅡ 3世 ㅡ 4世 ㅡ 5世 ㅡ 6世 ㅡ 7世 ㅡ 8世 ㅡ
溫仁ㅡ 佑精ㅡ 裕中 ㅡ 庸 ㅡ 太白 ㅡ 祐ㅡ 天祿 ㅡ 希碩 ㅡ
1代 ㅡ 2代 ㅡ 3代 ㅡ 4代 ㅡ 5代 ㅡ 6代 ㅡ 7代 ㅡ 8代ㅡ
9世 ㅡ 10世 ㅡ 11世 ㅡ 12世 ㅡ 13世 ㅡ 14世 ㅡ 15世ㅡ
象 -ㅡ 繼祖 ㅡ 自中 ㅡ- 詮 ㅡ ㅡ 世通 ㅡ- 璿 ㅡ- 省身ㅡ
9代 ㅡ10代 ㅡ 11代 ㅡ 12代ㅡㅡ 13代 ㅡ 14代 ㅡ 15代ㅡ
16世 ㅡ 17世 ㅡㅡ 18世ㅡㅡ 19世 ㅡㅡㅡ20世ㅡㅡㅡ21世ㅡㅡㅡ 22世ㅡㅡ 23世ㅡ
ㅡ逈 ㅡ 景憲,景夏ㅡ埻,墐,墠ㅡ聖應,聖期,ㅡ熽,燁,燮ㅡ殷老,彦耉,ㅡ铤,錫,鐸ㅡ允浩,德浩ㅡ
16代 ㅡ 17代 ㅡ - 18代 ㅡ - 19代 ㅡ ㅡ - 20代ㅡ ㅡ - 21代ㅡ ㅡ - 22代ㅡ ㅡ 23代
24世 ㅡㅡ 25世 ㅡ ㅡ 26世ㅡ ㅡ 27世ㅡ ㅡ 28世ㅡ ㅡ 29世
楠,棹,榗ㅡ 台,以,允煥ㅡ 增,在勳,城ㅡ 鎭寬,鎭國,ㅡ 賢九,顯珉ㅡ 昞喆
24代 ㅡㅡ 25代 ㅡ ㅡ 26代 ㅡ ㅡ 27代 ㅡ ㅡ 28代 ㅡㅡ 29代( 나..自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