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사 관련 질문

녹전 이이록 2022. 3. 5. 13:26

제사 관련 질문

 

[지난 추석을 지나 제사를 저의 집으로 가져 왔는데요.

이달에 8일 차이로 시 할아버님. 시 할머님 제사가 있어요.

지난주 시 할아버님 제사는 지냈고 시 할머님이 내일인데....

 

*제사 지낼 때 아파트일 경우 현관문을 꼭 열어 놓아야 하나요?

제사 지내는 시간이 30여분 되는데 이때 모기가 많이 들어오더라고요.

또 술은 무엇을 쓰나요?

지난주는 구기자주를 시골에서 가져온 게 있어 지냈는데 제가 가는 농협 하나로 마트는 구기자주가 없더라구요.

 

*술들을 좋아해서 일반적인 술은 별루 안 좋아하고 두견주, 구기자주, 소곡주 이런 걸 좋아하네요.

정 없으면 백화수복 사와야죠^^

 

* 또 한 가지는 남편 기준으로 증조할아버지와 증조할머님 제사를 하나로 합칠 경우 꼭 남자쪽 날짜로만 합쳐야 하나요?

 

*이달에 8일 차이 제사를 하나로 합쳐 주시면 안 되냐고 여쭤보니 시아버님의 부모님 제사는 따로따로 지내고 싶다 하시고 시아버님의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만 합치라고 하시는데 그것이 구정 2주 전이예요. 시 할머님은 음력 3월초이고... 그래서 꼭 제사를 합칠 경우에는 남자 쪽으로만 하는 건지 몰라서 이곳에 여쭈어 봅니다...

제사 때 시골에서 아버님이 올라오시고 동서네 식구들도 참석합니다..]

 

 

답변) 이이록

 

[*제사 지낼 때 아파트일 경우 현관문을 꼭 열어 놓아야 하나요?]

 

- 제사 지낼 때는 현관문을 모두 열어 놓습니다.

조상신이 현관으로 해서 들어오셔야 제사를 모실 거니까요.

 

[*술들을 좋아해서 일반적인 술은 별루 안 좋아하고 두견주, 구기자주, 소곡주 이런 걸 좋아하네요. 정 없으면 백화수복 사와야죠^^]

 

- 제사 모신 후 참석자들이 제주를 서로 나누어 먹으니 두견주, 구기자주, 소곡주 경주법주 등을 준비하면 좋습니다.

 

[* 또 한 가지는 남편 기준으로 증조할아버지와 증조할머님 제사를 하나로 합칠 경우 꼭 남자쪽 날짜로만 합쳐야 하나요?]

 

- 증조할아버지와 증조할머님 제사를 하나로 합쳐 기제사를 모시는 경우는 없습니다.

만약 1(부모) 봉사 시에는 아버지와 어머니 기제사는 각기 따로 기일에 기제사를 모십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기제사도 각기 기일에 기제사로 모십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기제사를 할아버지 기제사에 묶어 한 번에 모시는 기제사는 기제사가 아닙니다.

가정의례 준칙에 2(부모, 조부모)봉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달에 8일 차이 제사를 하나로 합쳐 주시면 안 되냐고 여쭤보니 시아버님의 부모님 제사는 따로따로 지내고 싶다 하시고 시아버님의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만 합치라고 하시는데 그것이 구정 2주 전이예요. 시 할머님은 음력 3월초이고... 그래서 꼭 제사를 합칠 경우에는 남자 쪽으로만 하는 건지 몰라서 이곳에 여쭈어 봅니다...]

 

- 할아버지와 할머니. 아버지와 어머니의 기제사 4회는 각기 따로 기일에 모셔야 합니다.

시아버님의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만 합치라는데 며느리(남편)로는 증조부모입니다.

 

댓글)

 

창문으로 안 되나요?

다리 아프게 계단으로 걸어서 올라온다구요?

 

* 조상신이 창문으로 뛰어 넘어요?

 

110

왜 그러세요? ㅋㅋ
제사 등의 관습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풍 지키는 집안도 많아요.

!

증조할아버지 할머니 꺼 까지?
종갓집인가 봐요?
제사를 어른들이 주실 때 좀 간소하게 해서 주시던가 하지 그대로 주신 건 그대로 지내라 이뜻 아닐까요?
아휴 제가 왜 벅차죠?ㅎㅎ

 

원글

제사 준비를 제가 주관해서 하다 보니 힘이 들어서 이번 아버님 오셨을 때 말씀 드렸어요..
11월에 김장 행사도 있으니 지난주 할아버님 제사에 할머님을 합치면 안 되겠냐고요.
8일 차이니까 한숨 돌리면 또 제사이고....
남편이랑 시동생은 아무 말도 안하고....저만 얘기를 했어요.
아버님이 안 된다 하시네요.~~

 

우리집

집안마다 가풍이 다르겠지만, 우리 집은 이렇게 합니다.
기제사는 한대만 지내고 나머지 윗분들은 모두 시제(묘사)로 올렸습니다.

 

* 가정의례 준칙에 조부모와 부모 2대만 봉사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ㅇㅇ

저희도 이번부터 시조부모 제사 한번으로 할 건데요.

빠른 날짜에 맞춰하기로 했어요.
할머니가 빨라서 할아버지 제사가 없어지는거죠.
작은 어버님들이 직접 정하셨으니 뒷말은 없겠죠.

 

* 시조부모 제사를 한번으로 한다는 것은 2회의 기제사를 하나로 묶어 모시는 이상한 제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