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13

효도 언어 상대하세

■ 효도 언어 상대하세 1. 상대(上代) 자기 아버지가 상대이고, 자기 할아버지가 상대로 됩니다.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 고조>까지를 사대라고 합니다. 아버지가 일대로 되고, 할아버지가 이대로 되고, 증조가 삼대로 되고, 고조가 사대로 됩니다. 고조의 아버지가 오대조로 되며, 오대조부터는 수효(숫자)로 일컫게 됩니다. 팔대조, 이십대조라고 일컫게 된다는 말입니다. 사대조까지는 수효로 일컫지 않게 됩니다. *일, 이, 삼, 사라는 수효로 일컫지 아니함은 수라는 것이 가벼운 말이어서 그것을 피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대라는 글자 뜻은 윗대로 되는 상대자로 됩니다. *일대라 함은 나로부터 바로 위 어른이라는 가리킴으로 되는 것입니다. *아버지가 일대이나, 아버지를 일대라고 말하..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2

■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2 21)淸州韓氏 ○韓應寅 碑銘 金瑬 撰> “十世祖 渥” ○韓山斗 墓碣銘 洪暹 撰> “八世祖 渥” ○韓承貞 行狀 “脩 公之 五世祖“ ○韓楯 諡狀 金楺 撰> “ 致亨 於公 五世祖“ ○韓亨允 行狀 “五世祖 脩 ” 22)東萊鄭氏 ○鄭而漢 壇碑 鄭萬朝 撰> “瑚 五世祖” 23)海州鄭氏 ○鄭相 墓碣 鄭一夏 撰> “易 八世祖 ,忠敬 七世祖, 五世祖 眉壽” 24)高靈申氏 ○申叔舟 行狀 姜希孟 撰> “公 七世祖 成用” ○申叔舟海東名臣錄> “高靈人 七世祖 成用” 25)晉州姜氏 ○姜翼文 墓誌銘 許穆 撰 > "四世祖 承耑頁 ", ㅇ月塘先生(姜碩期)行狀 金集 撰> 山陰生吏曹正郞曦 寔公五世祖 26)靑松沈氏 ○泛齋沈公(大孚)墓碣銘 “世宗昭憲王后之父 於公爲六世祖”. 27)光山盧氏 ..

카테고리 없음 2025.08.15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1

■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1 1)金海金氏 ○金庾信 三國史記(第41卷)列傳(第1) “金庾信 王京人也 十二世祖 首露” 2)全州李氏 ○李敬中 碑銘 許穆 撰> 桂陽君 璯 四世孫也 三世祖 江陽君 ○李柱國 神道碑銘 宋煥箕 撰>“德泉君 厚生寔公十一世祖” 3)慶州李氏 ○李夢亮 碑銘 崔岦 撰> “延孫 公之 四世祖” ○李公麟 墓碣銘 申用漑 撰> “六世祖 齊賢” ○李大建 墓碣銘 崔岦 撰> “益齊先生 於 公 十世祖” ○李弘業 墓表許穆 撰> “三世祖” ○李慶徽 碑銘 崔錫鼎 撰> “黿 公之 五世祖” ○李德胤墓碣銘李景奭 撰>“ 胤 公之 九世祖” 4)延安李氏 ○李時白 碑銘 宋時烈 撰> “六世祖 石亭” ○李一相碑銘朴世采 撰>“石亨 於公六世祖” ○李殷相 碑銘 李命 撰> “六世祖 石亨” ○李貴 碑銘 趙翼 撰> “石亭 ..

카테고리 없음 2025.08.14

댓글

■ 댓글 △ llj 1.에서..十世雲孫..이 이상함 : 운손은 9세임. 10~13세는 이름 확인 가능. 2.에서는 무얼 말함인지 불분명 : 1~15세..까지 이름을 다 보여주시길..1세=시조인지 여부 불분명. 3.도 마찬가지. 무얼 말함인지 불분명 : 1~31세..까지 이름을 다 보여주시길..1세=시조인지 여부 불분명. 4.도 무얼 말함인지 불분명 : 이름을 다 보여주시길..1세=시조인지 여부 불분명. 5.도 무얼 말함인지 불분명 . 十五世昭靖...시조가 1세임. 二 에서..자기를 기준으로(世祖)를 쓴 문장..이라 했으나, 아래 두 사례는 부친이 1세조이므로 자기기준이 아님. 1. 三國史記 : 편찬당시는 주자이전이므로 당연히 '세-1=세조'임. 세조=대조..라는 근거(세=대)가 안보임. 그 당시에도 '8..

카테고리 없음 2025.08.13

七 (代祖 代孫)을 연결한 문장

■ 七 (代祖 代孫)을 연결한 문장 ▶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77, 4, 22. 발행)에서 문헌록2 12면 4줄; 惟我十九代祖金寧君忠簡公… 十九代孫 ㅇㅇ 謹撰 ▶ 2. 義城金氏大同譜 卷之一 (1992. 12. 발행) ▶ 3. 昌寧曺氏忠簡公波譜 上卷(1984, 6) 157면 3줄; …30代祖…25代祖…23代祖…16代祖…10代祖…始祖로부터 21世이다…始祖의 31世이다… 16代孫 永夏 謹識 166면 1줄; …三十二代祖…八代祖…七代祖…六代祖… 十二代孫 圭成… 十四代傍孫 永夏 謹識 ※ 丹陽禹氏月村世居地內 '淑人恩律宋氏之墓' 비문중에서 …我十一代祖考…諱愉七世孫ㅇㅇ…諱宏弼外五世祖也…其十代祖也… 十一代孫 ㅇㅇ 謹識拜書 八 (三世=三代) (3인 동시 지칭) 등 ▶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

카테고리 없음 2025.08.12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5

■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5 四 (世祖 世孫)을 연결한 문장 ▶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77, 4, 22. 발행)에서문헌록3, 102면 9줄; …公之七世孫… …惟吾七世祖… 駕洛 金亨在 撰 ▶ 2. 安東權氏世譜(庚申譜. 발행일 없음); 표지. 내용은 生員公派이다.33면; 生員公表 …우리 十七世祖 生員公玄和棺의 藏이라. 公의 諱는 繼福 … 十七世孫 五永 謹識 ※ 丹陽禹氏月村世居地內 '淑人恩律宋氏之墓' 비문중에서 …我十一代祖考…諱愉七世孫ㅇㅇ…諱宏弼外五世祖也…其十代祖也… 十一代孫 ㅇㅇ 謹識拜書 五 (代祖)를 쓴 문장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77, 4, 22. 발행)에서序, 14면 10줄; …我六代祖……五代祖…… 後孫 國鉉 謹序문헌록2, 62면 10줄; …七代祖… …六代祖… 領議..

카테고리 없음 2025.08.11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4

■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4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77, 4, 22. 발행)에서 序 11면 4줄; …庾信은 首露王之十二世孫이라… 후손 운희 근서 文獻錄1, 177면 3줄; 金庾信王京人首露王十二世孫也…(시조 수로, 13世 유신) (13世=12世孫=12代孫) 文獻錄2, 1면 3줄; 始祖王以後…駕洛至九世孫仇衡王… 조규철 근찬 (世系圖; 1世 태조왕, 10世 양왕 諱仇衡)(10世=9世孫) 99면 15줄; …十世孫在徹… 傍後孫 亨在 謹識 120면 15줄; …ㅇㅇ五世孫也… 眞城 李晩규 撰 (世系圖; 5世 극일, 10世 치삼) (6世=5世孫) 文獻錄3, 47면 2줄; …諱永貞七世孫也…… 潘南 朴性陽 謹書 ▶ 2. 金海金氏(尙州華山齋刊行)世譜 수편 駕洛記, 37후면 3줄; …興武王五十七世孫顯鳳..

카테고리 없음 2025.08.09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3

■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3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77, 4, 22. 발행)에서 문헌록1. 43면 1줄; …金庾信의 十二世祖 首露는 … 83면 13줄; …나의 十世祖 曄이 嶺南觀察使로 있을 때 陵을 보수하고…… 孔岩 許傳 謹撰 문헌록2, 15면 1줄; …伏以生之十七世祖… 79면 12줄; …公之六世祖也 五世祖諱… 鳳溪 尹揄 撰 83면 9줄; …五世祖… 逸正字 李亮淵 撰 106면 15줄;…公字季雲(일손)…諱管仕至版圖判書於公爲六世祖也… 奎章閣直提學 趙寅永 撰 (1世 관, 7世 일손) (6世祖=6代祖) 171면 끝줄; 故漢城判尹芙蓉齋金公…諱到門入我朝…其五世祖也… 聞韶後人 金正模 謹撰 (53世 도문, 58世 부용재) (5世祖=5代祖) 문헌록3, 38면 2줄; …公爲五世祖公諱仁祉… ..

카테고리 없음 2025.08.08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2

■ 세와 대의 동의어 용례 – 2 △ ans一 차례(世, 代)를 쓴 문장 ▶1. 金海金氏璿源大同世譜 총론 (1977, 4, 22. 발행)에서 序 1면 4줄; …太祖王...하야 享國 500年하고 至十三世에 諱庾信… 가락중앙종친회장 김원태 근서文獻錄2, 89면 12줄; …十世末王仇衡…… 善山 金宗直 撰98면 12줄; …十三世諱庾信…… 傍後孫 亨在 謹識174면 13줄; …於公六世…… 後孫納陵參奉 興培 謹撰182면 8줄; …十世雲孫…… 知禮縣監 金洛鉉 謹撰 ▶2. 江陵崔氏郞將公派譜 全(1984, 9)13면 1줄; 十三世溟州君諱漢柱事蹟. 14면 1줄; 十五世郞將公諱文沃祭壇碑銘16면 9줄; …公의 8世也… 14代孫 ㅇㅇ 立 ▶3. 昌寧曺氏忠簡公波譜 上卷(1984, 6)53면 2줄; …有六世平章六世少監又繼… 87면 ..

카테고리 없음 2025.08.07

세(世)와 대(代)는 같은 뜻

■ 세(世)와 대(代)는 같은 뜻\ △ molan 5세(=5대)와 5세조(=5대조)는 다른 개념이다. 그러므로 그냥 5대(五代) 또는 5세(五世)라 말할 때는 고조(高祖)를 가리키는 경우겠으나, 5대조(五代祖) 또는 5세조(五世祖)는 고조의 아버지인 천조(天祖)를 가리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조는 자신으로부터 4대조(4세조)이고, 증손은 3대손(3세손)이다. 동시에, 고조는 자신으로부터 5대(5세)이며, 증손은 4대(4세)이다. 다만, 고적(古籍)에서 고조를 '5대조' 또는 '5세조' 라고 표기했음을 볼 수 있다면, 이는 '5대(5세) 위치에 자리한 선조' 라는 뜻으로 독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혼선은 사람에 따라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1대(세) 조상으로부터 30대(세)..

카테고리 없음 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