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촌수(寸數)와 항렬(行列)

녹전 이이록 2021. 7. 6. 09:06

촌수(寸數)와 항렬(行列)

 

아래와 같은 글이 있어 복사하여 올립니다.

 

1. 촌수(寸數)

 

촌수란 친족(親族)간 혈연관계(血緣關係)의 멀고 가까움을 따져서 그 정도가 얼마라는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촌수가 가깝다 멀다고 해야지 촌수가 높다. 낮다는 말은 잘못된 말이다.

 

직계(直系) 존비속(尊卑屬)은 촌수(寸數)가 없다.

 

자기를 기준으로 하여 위로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5대 조부모, 아래로 자, , 증손, 현손, 5대손(내손),

형제자매(兄弟姉妹)는 촌수를 따지지 않는다.

 

* 그러므로 촌수는 삼촌(三寸)부터 시작이다.

 

촌수는 3촌부터 따진다고 하나 3촌 앞에는 수 개념상 형제 2. 아버지 1촌이 있어야 차례로 말할 수 있다.

 

현손(玄孫) :  위로는 고조(高祖)라 하지만 아래로는 고손(高孫)이라 하지 않고 현손(玄孫)이라 한다.

 

2. 항렬(行列)

 

항렬이란 같은 혈족 간(血族間)의 방계(傍系)에 대한 대수(代數)관계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말로 이름 속에 항렬자를 사용한다.

 

동항(同行) : 촌수의 원근(遠近)에 관계없이 자기와 같은 항렬 즉 형제자매 관계다.
형제, 4, 6, 8, 10촌 등.

 

숙항(叔行) : 부모와 같은 항렬
三寸인 백숙부모, 고모, 이모
五寸인 종숙부모
七寸인 재종숙부모
九寸인 삼종숙부모

 

조항(祖行) : 조부모와 같은 항렬 종조부모, 재종 조부모, 삼종조부모, 족조부모, 존고모, 외조부모, 외종조부모

 

증조항(曾祖行) : 증조부모와 같은 항렬, 종증조부모

 

고조항(高祖行) : 고조부모와 같은 항렬, 종고조부모

 

질항(姪行) : 아들과 같은 항렬
三寸인 질()(), 생질(甥姪)()
五寸인 종질(從姪)(), 고종질, 이종질, 외종질
七寸인 재종질(再從姪)
九寸인 삼종질(三從姪)

 

손항(孫行) : 손자와 같은 항렬 종손, 재종손, 삼종손, 족손

 

증손항(曾孫行) : 증손과 같은 항렬 종증손, 재종증손

 

현손항(玄孫行) : 현손과 같은 항렬 종현손, 재종현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