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어느 할아버지의 몇 대손?

녹전 이이록 2021. 6. 2. 09:05

어느 할아버지의 몇 대손?

 

갑자기 딸내미가 숙제라면서 제게 묻더군요.

*시조가 무엇이며 *어느 할아버지의 몇 대손이냐고 물어오는데 순간 아찔하더라구요.

할아버님이 살아계셨을 때 뭐라 알려주셨는데 모르겠고 저희 아버님께서 가문엔 관심이 없으셔서 여쭤 봐도 모르시더군요.

* 할아버님이 ''자 돌림이시고 아버님이 ''자 돌림이시고 제가 ''자 돌림입니다.

아버님 고향은 전북 임실이신데 이 정도로 알 수 있을는지요?

*시조는 '알평'으로 아는데 맞죠?

 

답변)

답변에서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소견을 올립니다.

 

W

 

*알평 인데, 알평 이라고 부르면 할아버지 함자를 함부로 부르는 것 같아 불경스럽습니다.

그래서 그분의 호를 부르지요. 표암공이라고요.

*그 분에서 36대까지 족보가 불분명해서 잘 따지지 않고 36대이신 소판공 거명을 중시조해서 보통 항렬 종친님은 41대손입니다.

 

[*알평인데 알평이라고 부르면 할아버지 함자를 함부로 부르는 것 같아 불경스럽습니다.

그래서 그분의 호를 부르지요. 표암공이라고요.]

 

소견)

바르게 답변을 해 주셨습니다.

경주 이씨 시조는 표암공이라고 해도 좋으나 알평뒤에 을 붙여 알평공이라고 이름 뒤에 자를 붙여 말하여도 좋습니다.

 

[* 그 분에서 36대까지 족보가 불분명해서 잘 따지지 않고 36대이신 소판공 거명을 중시조해서 보통 항렬 종친님은 41대손입니다.]

 

소견)

시조 2세부터 36세까지 족보가 불분명하여 시조세수는 따지지 않고 시조 36세인 중시조 소판공을 1세로 하여 항렬을 중시조 41(=41)로 말합니다.

이는 중시조님의 40세손(=40대손)입니다.

 

C

 

*중시조 까진 전부 다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길진 종친께서 말씀 하듯이 알평 할아버지로 부터 36세 거명 할아버지까진 실전으로 확실치 않기 때문에 보통 *중시조 거명 할아버지를 1세로 하여 종친님께서는 재" 자를 항렬로 쓰신다면 중시조 41세손이 맞습니다.

그러나 파에 대하여서는 족보나 가계보가 없으면 알 길이 없습니다.

가까운 일가친척을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소견)

‘*중시조 까진 전부 다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라는 말은 말이 안 되는 말로 중시조를 1세로 하여 그 아래 후손들은 세수와 항렬이 같다는 뜻으로 말한 것입니다.

 

[*중시조 거명 할아버지를 1세로 하여 종친님께서는 재" 자를 항렬로 쓰신다면 중시조 41세손이 맞습니다.]

 

소견)

위 글은 아래와 같이 고쳐 말하여야 합니다.

중시조 할아버지를 1세로 하여 종친님께서 자를 항렬로 쓰신다면 중시조 41(=41)이 맞습니다.

 

1---41--42

중시조-----’항렬----’.항렬

(기준)------40세손----41세손

(기준)------40대손----41대손

 

* 중시조 41항렬이 중시조님의 40세손(=40대손)‘이고 중시조 42,항렬이 중시조님의 41세손(=41대손)‘입니다.

 

SH

 

내가 ,항렬로서 SH이구요.

중시조로부터 40세 이구요.

아버지 항렬이 자이고 아들이 자 항렬입니다

아마도 종친께서는 41세손이 아닐는지요?

 

소견)

위 내용을 세수와 항렬을 맞추어 보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1---38-- 39-- 40- - 41-- 42

중시조-----’항렬----’항렬---’희형항렬--’항렬---’,항렬

(기준)------37세손-----38세손-----39세손----40세손-----41세손

(중시조의)--曾祖父-----祖父-----------------()------

 

답변) 이이록

 

[*시조가 무엇이며.......]

 

소견)

사전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1) 시조(始祖) - (기본 의미) 한 겨레의 가장 처음이 되는 조상.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은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건국 신화는 처음 나라를 세운 시조를 신과 같은 존재로 만들어 태어난 과정이나 활동을 설명한 것이다.

유의어 : 원조(元祖)

 

(2) 어떤 사상, 주장이나 학문, 기술 등을 맨 처음으로 개척한 사람.

의상은 부석사에서 화엄경을 가르치며 우리나라 화엄종의 시조가 되었다.

생물을 상세하게 관찰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그를 생물학의 시조라고 부른다.

유의어 : 비조(鼻祖), 조종(祖宗) 원조(元祖)

 

(3) 나중 것의 바탕이 된 가장 처음의 것.

공자는 고대 사상을 종합하여 체계를 세운 유가의 시조라고 평가된다.

프랑스의 한 해군 장교가 낭트 지방에 한 그루 옮겨 심은 것이 유럽 목란의 시조가 되었다.

유의어 : 원조(元祖)

 

[*어느 할아버지의 몇 대손이냐?]

 

소견)

국당공파홈페이지에 문의한 것으로 보아 대파는 국당공파이고 중. 소파명은 위 글 내용대로는 알지 못합니다.

世系(세계)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17---39-- 40- - 41-- 42

중시조-----국당공-------’항렬----’희형항렬---’항렬---’,항렬

(기준)------16세손-------38세손-----39세손------40세손----41세손

(중시조)------------------祖父-------------------()-----

16세조-----(기준)--------22세손-----23세손------24세손-----25세손

 

*중시조 41항렬은 중시조의 40세손(=40대손)이고 국당공의 24세손(=24대손)입니다.

 

[*할아버님이 ''자 돌림이시고 아버님이 ''자 돌림이시고 제가 ''자 돌림입니다.]

 

39- - 40-- - 41

항렬----’.항렬--’항렬

38세손-----39세손------40세손

祖父------------------()

 

*위 세수에 따른 항렬은 바르게 사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