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족보 보는 방법
아래와 같은 글이 경주이씨 관련 daum 카페에 게재되어 있기에 참고로 발췌하여 올리되 잘못된 내용은 ⇒ 로 나타낸 뒤 수정하여 올립니다.
◈ 중시조 21세 마곡공(麻谷公. 李俶祉이숙지- 縣監현감) 찾기
1) 족보는 상권, 하권, 부록으로 나뉘어져 있으며(대종보에는 총편 P237에 게재) 중시조 40세 "희"자 돌림은 하 421 Page "규붕" 고조부 밑에 있으며, 각 Page의 맨 위/ 맨 아래 항렬의 이름 옆에 작은 한자로 연결되는 Page가 있음.
2) 조상 찾기 : 하 421(규붕: 36)- 상 237(영군: 31)- 상 231(유: 26)- 상 140(숙지: 마곡공 21) - 상 140(창로: 18) - 상 139(제현: 익재공 17 & 진 16) - 상 138(거명: 소판공 1)
3) 상 4 Page를 보면 경주이씨 분파도를 간략하게 볼 수 있음.
(소판공 거명 1세 – 익재공 17세 – 마곡공 21세)
4) 자녀를 찾아보기 위해서는 반대로 찾아감 : 하 421(규붕)- 하 422(양우-상옥-향희)- 하 659(재준).
양우 – – 상옥 – – 향희
○우 – – 상○ – – ○희 - 항렬
38세-----39세-----40세 - 중시조세수
2. 문중에서 어떻게 말해야 하나....
1) "희"자 돌림은 경주이씨 시조로 부터 *75세손 ⇒ 원대손(遠代孫)이며, 족보로는 중시조 소판공으로 부터 *40세손 ⇒ 40세. (40세^ 손. 중시조의 39세손)이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대파/*소파 ⇒ 중파로 구분하는데 대파는 익재공파. *소파로 마곡공파 ⇒ 중파로 밀직공파.
마곡공파는 소파로 분파한 분파명이 아니고 중파로 분파하였습니다.
2) 일반적으로 말할 때는 경주이씨 익재공파 *75세손 ⇒ 원대손(遠代孫) 또는 *40세손 ⇒ 40세(40세^ 손. 중시조의 39세손)으로 말한다.
시조를 말할 때 표암공 "알평" 할아버지는 "희"자 돌림의 75대조 ⇒ 원대손(遠代祖)이고, 소판공 중시조님은 *40대 ⇒ ‘희.형’ 항렬의 39대조(=39세조) 할아버지가 된다.
3. 우리 가문의 직계 조상님들 및 대파/소파로 부터의 대수 ⇒ 삭제
사촌(4촌), 재종(6촌), 삼종(8촌), 사종(10촌), 5종(12촌)
- 나와 중시조세수가 같고 항렬이 같을 때 나와의 촌수
◈ 대수와 세수 읽기
1대 시조 알평
.......
*36대 1세 거명
*37대 2세 금현
*38대 3세 금서
........
*69대 34세 관영
*70대 35세 규봉
위 36대. 37대. 38대. 69대. 70대 등 ‘시조세수’는 나타내지 않습니다.
이유는 시조의 아들인 시조 2세부터(신라 초기) 중시조 아버지 대까지는(신라 말) 계대가 실전되어 전연 알 수 없기 때문에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는 읽거나 말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 위 표에서 대수와 세수 읽기
위 대수와 세수는 아래와 같이 읽습니다.
시조 알평
.......
1세(=1대) 거명
2세(=2대) 금현
3세(=3대) 금서
........
34세(=34대) 관영 ⇒ 35세(=35대) 관영
35세(=35대) 규봉 ⇒ 36세(=36대) 규봉
◈ 중시조 40세 ‘희’항렬 기준으로 읽은 세수와 대수
시조 표암공 알평
.........................
1세 소판공 거명 중시조 1대
17세 익재공 제현 대파 17대
18세 밀직공 창로 중파 18대
21세 마곡공 숙지 중파 21대 – 중. 소파로 분파하지 않음.
* 시조로부터 읽은 것은 ‘대’이고 중시조로부터 읽은 것은 ‘세’이다. ⇒ 삭제
◈ 중시조 40세 ‘희’항렬 기준으로 시조 몇 대손. 중시조 몇 세손
*시조 표암공으로부터 75대손 ⇒ 원대손(遠代孫)
*중시조 소판공으로부터 40세손 ⇒ 40세. 40세^ 손. 39세손(=39대손)
*대파 익재공으로부터 24세손 ⇒ 23세손(=23대손)
중파 밀직공으로부터 25세손 ⇒ 24세손(=24대손)
*소파 마곡공으로부터 20세손 ⇒ 19세손(=19대손)
소판공(휘 거명)– 1세. 익재공(휘 제현)- 17세. 밀직공(휘 창로)- 18세. 마곡공(휘 숙지)- 21세
수정) 이이록
▲["희"자 돌림은 경주이씨 시조로 부터 75세손이며]
소견)
‘희’자 돌림은 경주이씨 시조로부터 75세손? - ‘시조세수’로는 말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시조의 子 아래로 중시조의 父까지 약 900년간의 계대는 실전되어 전연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분적종 합천이씨 세보에서 발견되었다는 '35대로 된 실전세계'는 사실적이지 않은 족보로 밝혀져 이 시조세수로는 헤아려 말하지 않습니다.
대종보 총편에 게재되어 있는 '실전세계의 고찰' 논문을 일독해 보시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 ‘35대로 된 실전세계’는 사실적이지 않는 잘못된 계대임을 중앙화수회에서 밝혔기 때문에 ‘시조세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 [족보로는 중시조 소판공으로 부터 40세손이다.]
소견)
'희. 형' 항렬은 중조(중시조) 40세입니다.
이를 40세손으로 읽으면 '40세=40세손'으로 읽는 것과 같으니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게 됩니다.
그러나 '세‘와 ’세손'의 뜻은 엄연히 다른데 같은 뜻으로 읽을 수 가 없습니다.
중시조 40세는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으로 말해야 바른 것입니다.
▲ [대파로는 익재공파, 소파로 마곡공파에 속한다.]
소견)
잘못 말씀하셨습니다.
대파는 익재공파. 중파는 밀직공파입니다.
밀직공파는 대종보에 1개 중파로 단일파로 분파되어 있습니다.
‘대파 익재공파’에서 ‘중파 밀직공파’로만 분파하고 ‘마곡공파’로는 분파하지 않았습니다.
대파 익재공파에서 중파로 분파한 집안도 있고 소파로 분파된 집안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파인 ‘창평공파’는 아들이 8명으로 모두 현달하여 8개 소파로 분파하였습니다.
그 중 소파인 생원공파의 계대에서는 중시조 29세에 가면 춘전공파와 화곡공파로 집안에서 편리한대로 나뉘어 호칭하기도 합니다.(*1987년도에 간행된 정묘보이며 중앙표준보인 경주이씨 대종보에는 춘전공파와 화곡공파로 분파하지 않아 분파명이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대종보에 기록된 대로 분파명을 말하면 될 것입니다.
▲ [*'희.형' 항렬은 익재공파 75세손 또는 40세손으로 말한다.
*시조 표암공은 "희"자 돌림의 75대조 할아버지이고, 소판공 중시조는 40대 할아버지가 된다.]
소견)
우리 조상님들은 "세=대. 세조=대조. 세손=대손"으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세와 대를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하고 기록하였습니다.
조사 분석 자료를 보면 경주이씨 대종보 세와 대. 세조와 대조. 세손과 대손의 내용 용례 61건 중 58건이 ‘세=대. 세조=대조. 세손=대손’이 ‘同義(동의) 같은 뜻’임을 밝혔습니다.
익재공파 40세. 판윤공파 40세와 같이 파명이 있을 때는 중시조세수로 말합니다.
‘35대로 된 실전세계’ 계대가 사실적이지 않기 때문에 ‘시조세수’로는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중조 40세 '희. 형' 항렬은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으로 말해야 하고 중시조님은 '희.형' 항렬의 39세조(=39대조)로 말해야 합니다.
▲ [중시조 40세 '희.형' 항렬은 ‘익재공파 75세손’ 또는 ‘40세손’으로 말한다.]
- 중시조 40세 '희.형' 항렬은 ‘익재공파 40세(=40대)’. ‘익재공의 39세손(=39대손)’으로 말합니다.
▲ [시조 표암공은 "희"자 돌림의 75대조 할아버지이고, 소판공 중시조는 40대 할아버지가 된다.
- 시조님은 "희"자 돌림의 원대조(遠代祖)이고 중시조님은 39대조(=39세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