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하세(上代下世) - 이의론
‘내려오는 것은 世(세)로 읽고 올라가는 것은 代(대)로 읽는다.’
naver 모 blog에 올라있는 ‘세. 대. 대조. 세손’에 대하여 설명한 글입니다.
세와 대는 다른 뜻 즉 ‘2세=1대’를 적용하고 ‘상대하세’. ‘대불급신’을 적용하여 아래로 몇 세손, 위로 몇 대조로 읽는 것을 설명한 글입니다.
아직도 세와 대에 대한 글을 올리면서 ‘2세=1대’로 읽는 논지로 올린 글이 많습니다.
세와 대는 다른 뜻으로 읽는 ‘이의론’의 기본 원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2세는 1대로 읽는다.
父子(부자)간 2세는 대수로는 1대로 읽는 것입니다.
上代下世(상대하세- 代는 위로 世는 아래로)를 적용하여 아래로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위로 ‘대=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는다는 주장입니다.
대불급신(代不及身- 代로 읽을 때는 자신은 뺀다.)하여 ‘몇 대조’를 헤아려 읽습니다.
고조 → 증조-→ 조 -- → 부 --→ 기(나)
1세----- 2세-----3세- ----4세-----5세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 세=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원문은 【..............】로 나타내고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나타내고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始祖) 할아버님을 1세로 하여 아래로 내려오는 것은 ( )세(世)라 하고 *나의 아버님을 1대로 하여 올라가는 것을 ( )대(代)라고 한다.
또한 *나의 조상님은 ( )대조(代祖) 할아버님이라 하고, *나는 시조(始祖) 할아버님 또는 특정 조상님으로부터 ( )세손(世孫)이라고 한다.
*고조할아버님은 나의 4대조(四代祖) 할아버님이시고 나는 고조할아버님의 5세손(五世孫)이다.
*종조(宗祖)는 성씨(姓氏)의 시조님을, *관조(貫祖)는 본관(本貫)의 시조님을, *파조(派祖)는 파문중(派門中)의 시조님을, *입향조(入鄕祖)는 성씨, 본관이 같은 부계 혈족이 모여 사는 집성촌(集姓村)에 처음 들어오셔서 터를 잡으신 조상님을, *중시조(中始祖)는 쇠퇴한 집안을 다시 일으킨 조상님을........】
▲[시조(始祖) 할아버님을 1세로 하여 아래로 내려오는 것은 ( )세(世)라 하고 나의 아버님을 1대로 하여 올라가는 것을 ( )대(代)라고 한다.]
소견)
위 글은 세와 대는 다른 뜻으로 즉 ‘2세=1대’로 읽고 상대하세(上代下世)를 적용하여 읽는 ‘이의론’ 논지로 설명된 글입니다.
꼭 시조할아버지를 1세로 하여 아래로 읽는 것이 아니고 아버지를 1대로 하여 위로 몇 대라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 위의 말은 아래의 표와 같이 읽는 것입니다.
고조 → 증조 → 조 - - → 부 -→ 기(나) → 자 - → 손 - → 증손 → 현손
1세-----2세-----3세------4세-----5세-----6세-----7세-----8세-----9세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위로 ‘4대조 ~ 나 ~ 현손’의 계대는 아래와 같이 헤아려 읽습니다.
고조 → 증조 - → 조 --→ 부 -→ 기(나) → 자 - → 손 - → 증손 → 현손
5세------4세-----3세-----2세------(1세)----2세-----3세-----4세------5세
5대------4대-----3대-----2대------(1대)----2대-----3대-----4대------5대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나의 조상님은 ( )대조(代祖) 할아버님이라 하고,]
소견)
○ ‘5대조 ~ 나’의 계대에서 ‘몇 대조’로 읽는 법
5대조 → 고조 → 증조 -→ 조 --→ 부 -- → 기(나)
6세------5세-----4세-----3세------2세------(1세)
6대------5대-----4대-----3대------2대------(1대)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나의 조상은 아버지부터 1대조(=1세조)로 헤아려 그 윗대를 조 – 2대조. 증조 – 3대조...등으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습니다.
▲[고조할아버님은 나의 4대조(四代祖) 할아버님이시고 나는 고조할아버님의 5세손(五世孫)이다.]
소견)
잘못 읽은 글입니다.
2세를 1대로 읽는 ‘이의론’에서는 ‘上代下世’의 원칙을 적용하여 ‘고조부를 나의 4대조’로 바르게 읽었으나 ‘나는 고조부의 5세손(五世孫)’은 잘못 읽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표기하여야 바르게 읽는 것입니다.
‘고조부는 나의 4대조(四代祖)=4세조(四世祖) 할아버님이시고 나는 고조할아버님의 4세손(四世孫)=4대손(四代孫)이다.’
▲[*중시조(中始祖)는 쇠퇴한 집안을 다시 일으킨 조상님을 ]
소견)
쇠퇴한 집안을 다시 일으킨 조상님은 중시조님이 아니고 중흥조(中興祖)라고 합니다.
중시조(中始祖)는 한 성씨가 계대를 이어오다가 재난이나 병란으로 일부 계대가 실전되어 알지 못하다가 다시 중도에 그 성씨의 최초가 밝혀짐으로 1세(=1대)로 기세하여 계대가 이어지니 그 후손들이 이 조상을 ‘중시조’로 받들어 중시조 1세로 모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