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희’항렬일 때 몇 대손?

녹전 이이록 2020. 11. 28. 09:07

항렬일 때 몇 대손?

 

daum 모 카페에 올라 있는 글입니다.

문의부터 답변까지 잘못된 내용이 많아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표암공)로부터 76세손이고 *중시조(이거명)로부터 40세손인 항렬입니다.

3자가 몇 대손이냐? 라고 물으면 23세손이라고 하면 된다고 하는데 이는 익재공 할아버지로부터 23세손이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확실하지 않아 아래와 같이 문의합니다.

 

질문1)

3자가 몇 대손이라고 물으면 어떻게 답하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 여부?

 

질문2)

제가 알기로는 익재공파 밀직손이라고 하는데 밀직공 할아버지는 익재공 할아버지와의 관계와 어떻게 다른지 여부?

 

답변) 이이록

 

먼저 문의하신 글에서 잘못된 내용에 대하여 몇 가지 [........]로 지적하고 소견)을 드립니다.

 

[*시조(표암공)로부터 76세손,] 삭제

 

소견)

 

시조로부터 76세손은 잘못 말씀하신 것입니다.

항렬인 중시조 40세는 시조세수로는 시조 상계세수 35세와 중시조세수 40세를 더하여 시조 75’.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75=75세손’. 75세손으로 말하는 경우는 있지만 76세손은 잘못 읽은 세수입니다.

 

왜냐하면 본디 신라 초 시조님의 아랫대인 아들 대부터(시조 2) 신라 말 중시조님(소판 휘 거명)의 부친 대까지는 지금까지 계대가 전해지지 않아 시조세수는 전연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1904년 이후 ‘35대 상계계대가 언급되고 1932년 분적종 합천이씨 임신대보에 처음 으로 발굴되어 게재하였다는 ‘35대로 된 실전세계가 나타나 이를 적용하여 시조세수를 헤아려 읽은 것입니다.

그러나 조사결과 이 ‘35세 실전세계는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로 밝혀져 우리 경주이씨는 사실적이지 못한 ‘35시조세수를 적용하여 시조세수로는 말하지 않고 정확한 중시조세수로만 종친 간에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시조(표암공)로부터 76세손,’의 시조세수는 삭제하고 중시조세수 중시조(중조) 40로만 나타내면 됩니다.

 

[*중시조(이거명)로부터 40세손 항렬]

 

⇒ 중시조(중조) 40세(=40대). 중시조(이거명)로부터 40세(=40대). 중시조의 39세손(=39대손)

 

- 종친님은 중시조 40세로 항렬입니다.

 

중시조 40세는 이의논지의 기본 원칙인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으면 ‘40=40세손’. ‘40세손으로 읽지만 동의론논리로는 수정한 붉은 글씨로 읽어야 바릅니다.

왜냐하면 40=40세손. 세와 세손은 같은 뜻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 경주이씨 조상님들께서는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었지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지 않았습니다.

 

[3자가 몇 대손이냐? 라고 물으면 23세손이라고 하면 된다고 하는데 이는 익재공 할아버지로부터 23세손이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삭제

 

- “몇 대손(=세손)이냐?”라고 묻는 말에 왜 제3자만 물을 수 있을까요?

누구나 물을 수 있는 말입니다.

 

종친님 자신도, 다른 종친님도 나는(너는)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인가?” . “나는(너는)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인가?” . “나는(너는) 고조부님의 몇 세손(=대손)인가?”를 나 스스로에게나 내가 다른 사람에게 다른 사람이 종친님에게 얼마든지 물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이해가 될까요?

 

1세 -2--17세 -18--36-37383940

소판공..병부령공..익재공밀직공----‘항렬--항렬..‘항렬..‘항렬..희항렬

거명---금현-------제현-----창로-------------------------

중시조------------익재공파..밀직공파

(기준)--1세손-----16세손---17세손---35세손---36세손...37세손...38세손...39세손

(기준)--1대손-----16대손---17대손---35대손---36대손...37대손...38대손...39대손

16세조..15세조---(기준)----1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23세손

16대조..15대조---(기준)----1대손-----19대손---20대손...21대손...22대손...23대손

17세조..16세조---1세조----(기준)-----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

17대조..16대조---1대조----(기준)-----18대손---19대손...20대손...21대손...21대손

39대조..38대조---23대조---22대조---고조------증조------------------()

39세조..38세조---23세조---22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39대조..38대조---23대조---22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세손은 대손과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세손(=대손)은 조손(祖孫- 조상과 후손)간의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제외하고. 빼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내려가며 헤아려 읽습니다.

 

문의하신 질문에 답변을 올립니다.

 

질문1.)

3자가 몇 대손이라고 물으면 어떻게 답하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 여부?

 

답변)

아래와 같이 세(=), 세손(=대손)으로 말하면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 중시조 1. 익재공 17. ‘항렬 중시조 40세 일 때

 

저는 중시조 40(=40) ‘항렬입니다.

저는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입니다.

저는 익재공의 23세손(=23대손)입니다.

 

저는 고조할아버지의 4세손(=4대손)이고 고조할아버지는 저의 4세조(=4대조)할아버지 입니다.

 

*고조 ~ 나의 계대 ( =. 세손=대손. 세조=대조 )

 

고조 - 증조 - - - - - ()

36-----37------38-----39-----40중시조세수

36-----37------38-----39-----40- 중시조세수

1-------2-------3------4-------5- 계대세수

1-------2-------3------4-------5- 계대세수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몇 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몇 대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 몇 세조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 몇 대조

 

질문 2)

제가 알기로는 익재공파 밀직손이라고 하는데 밀직공 할아버지는 익재공 할아버지와의 관계와 어떻게 다른지 여부?

 

답변)

밀직공의 휘()는 창로(彰路)이고 중시조 18세로 익재공(17세 휘 제현)의 셋째 아들입니다.

대파는 익재공파. 중파는 밀직공파로 익재공후 밀직공파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