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의론’ 논지로 쓴 세(世)와 대(代) - h

녹전 이이록 2020. 10. 15. 08:58

이의론논지로 쓴 세()와 대() - h

 

 

모 향교 홈페이지에 ()와 대() 바르게 알기의 제목으로 이의론논지로 쓴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 있습니다.

 

향교에서 조차 이러한 글을 바른 글이라고 올리는 것을 보면 한심한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살아오면서 자신이 시조의 몇 대()손인지 몇 세()인지를 제대로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상생활에서 혼동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가끔 족보가 있느냐? 며 당신은 몇 대손인가? 훌륭하셨던 당신의 선대는 몇 대조인가? 라고 물어보면 제대로 대답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성균관이나 향교에 출입하는 유림이라면 반듯이 알아야 할 사실이기에 정확히 설명 하고자 한다.

 

()와 대() 조견표

구분

()

()

비 고

시조

기준

고조부

기준

(본인)기준

시조

기준

고조부

기준

(본인) 기준

시조

*1세

 

 

 

 

30대조

 

2-

24

2세손-

24세손

 

 

1대손- 23대손

 

29대조

6대조

 

-----

-----

-----

-----

-----

-----

-----

 

5대조

25세손

 

 

24대손

 

5대손

시산제(묘제)

고조부

26세손

*1세

4대조

25대손

*(◌)

4대조

기제사

증조부

27세손

2세손

3대조

26대손

1대손

3대조

조부

28세손

3세손

2대조

27대손

2대손

2대조

29세손

4세손

1대조

28대손

3대손

*1대

30세손

5세손

*1세

29대손

4대손

*(◌)

 

아들

31세손

6세손

2세손

30대손

5대손

*1대

 

손자

32세손

7세손

3세손

31대손

6대손

2대손

 

증손자

33세손

8세손

4세손

32대손

7대손

3대손

 

고손자

34세손

9세손

5세손

33대손

8대손

4대손

 

 

[*자신이 시조의 몇 대()손인지 몇 세()인지를 제대로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

 

소견)

 

항에서 시조의 몇 대()인지 몇 세()’인지를 제대로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이 말하여야 바릅니다.

 

시조의 몇 세(世)인지 시조의 몇 대(代)인지' 아니면 몇 대손(孫)인지 몇 세손(孫)인지를 제대로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가끔 족보가 있느냐? 당신은 몇 대손인가? 훌륭하셨던 당신의 선대는 몇 대조인가? 라고 물어보면 제대로 대답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소견)

 

글쓴이는 세와 대는 다른 뜻인 '이의론' 논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의론논지로 설명된 글은 처음부터 '2=1대'로 읽는 것부터가 잘못된 논리입니다.

2세는 1대가 아닙니다. 1대는 1세이고 2대는 2세입니다.

 

"가끔 족보가 있느냐?" . "당신은 몇 대손인가?" . "훌륭하셨던 당신의 선대는 몇 대조인가?" 를 묻는다면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는 '동의론' 논지로 답하여야 바르게 답하는 것입니다.

 

[* 성균관이나 향교에 출입하는 유림이라면 반듯이 알아야 할 사실이기에 정확히 설명 하고자 한다.]

 

소견)

 

성균관이나 향교에 출입하는 유림이라면 반듯이 알아야 할 사실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동의론' 논리로 세와 대를 헤아려 읽고 말하여야 바릅니다.

 

[*()와 대() 조견표]

 

소견)

 

위 표에서 붉은 글씨로 나타낸 표기는 잘못된 읽음입니다.

 

붉은 글씨로 나타낸 1세의 표시 다음에 2세손이 아니면 1대라고 표기하여 단위를 달리 읽고 있습니다.

이는 논리에 어긋나게 읽은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읽어야 바른 표입니다.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대수

호칭

세수

()

()

 

시조

기준

고조부

기준

(본인)기준

시조

기준

고조부

기준

(본인) 기준

시조

1세

(기준)

26세조

30대조

(기준)

26대조

30대조

 

28대조-6대조

2-

24

1세손-

23세손

25세조

-6세조

28세조

-6세조

1대손- 23대손

25세조

-6세조

29대조

6대조

 

-----

-----

-----

-----

-----

-----

-----

-----

 

5대조

25

24세손

1세조

5세조

24대손

1대조

5대손

 

고조부

26

25세손

(기준)

4세조

25대손

(기준)

4대조

 

증조부

27

26세손

1세손

3세조

26대손

1대손

3대조

 

조부

28

27세손

2세손

2세조

27대손

2대손

2대조

 

29

28세손

3세손

1세조

28대손

3대손

1대조

 

()

30

29세손

4세손

(기준)

29대손

4대손

(기준)

 

아들

31

30세손

5세손

1세손

30대손

5대손

1대손

 

손자

32

31세손

6세손

2세손

31대손

6대손

2대손

 

증손자

33

32세손

7세손

3세손

32대손

7대손

3대손

 

고손자

34

33세손

8세손

4세손

33대손

8대손

4대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