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진짜 경주이씨인가?

녹전 이이록 2020. 2. 26. 10:02

진짜 경주이씨인가?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경주이씨 관련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난에서 답변이나 소견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안녕하세여. 저도 제가 *진짜로 경주이씨 인지 알고 싶어서 글 올립니다.


*할아버지 성명은 이희덕. 그리고 아버지 성함은 이동열. 제 이름은 이영진. 한자 이름이 아니라 한글 이름이라....그리고 익재공파 입니다.


답변) 이이록


[진짜로 경주 이씨인지 알고 싶어서 글을 올린다.]


소견)


족보에 윗대 어른들과 종친님의 휘. 존함. 성함이 등록이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경주이씨가 맞는데 족보를 확인할 수 없으니 경주이씨 인지는 장담할 수 없으나 '익재공파'라고 하였으니 경주이씨가 틀림없습니다.


[조부님 존함은 이희덕. 부친 성함은 이동열. 종친님은 이영진이나 한자이름이 아니라 한글이름.....]


소견)


다만 조부님 존함 희덕이나 부친 성함 동열이나 영진 종친님 성함 영진으로 보아서는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른 항렬은 하나도 없습니다.


조부님 존함인 '희덕'''는 중조 40세에 ''자 항렬이 있습니다만 'O'로 항렬자 ''가 이름자 뒤에 붙습니다.


부친 성함 '동열'도 중조 44세에 ''자 항렬이 있어도 'O'으로 역시 이름자 뒤에 항렬자가 붙습니다.


종친님 성함 영진도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는 없는 글자입니다.


해서 조부. 부친. 종친의 이름으로서는 항렬자로 쓴 경우는 어떠한 것도 알 수 없습니다.


올린 글 외에 조그마한 다른 단서나 들은 말씀이 있으면 더 올려 보세요.

그렇지 않으면 지금의 상황으로서는 일가친척의 어른을 찾아뵙고 알고 싶은 내용을 여쭙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제적등본. 호적초본을 떼어 보면 본관이 기록되어 있을 것이고 증조부. 조부의 휘도 한자로 기록되어 있을 것인데 그것으로 확인을 해 보고 조그마한 자료(들은 이야기)도 수집하여 문의하셔야 족보를 찾을 수가 있습니다.


● 항렬자 鍾(종). 雨(우). 相(상)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경주이씨 관련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난에서 답변이나 소견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할아버지 성함이 이종. 저희 아버지가 이우로 돌림이구요.


전 이상으로 자 돌림입니다.


족보에 대해서 잘 몰라서요.


답변) 이이록


[조부님 성함이 이종. 부친 성함이 이. 종친님은 이상]


소견)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른 중조 37''- 38''- 39''자 항렬이 맞습니다.


그런데 부친의 항렬자가 인데 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름 2자 중 앞 자만 항렬자로 알고 계신듯한데 항렬자는 이름 2자에 앞 자와 뒷 자에 번갈아 항렬자를 붙입니다.


37- - 38- - 39

항렬.....‘항렬......‘항렬

할아버지....아버지........본인

.....................


그래서 아버지 항렬자는 자가 아니고 자입니다.


족보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모양인데 족보에 대해서도 무엇에 대하여 묻는지?


족보는 경주이씨는 부터 윗대 조상님과 중시조님까지의 계대를 밝혀 줍니다.


종친님은 대파. 중파명을 알 수 없어 족보를 보아도 계대를 알 수가 없습니다.


우리 경주이씨는 14개 대파가 있으며 그 아래 중파. 소파. 지파까지 약 80여개의 파가 있습니다.


경주이씨 14개 대파를 망라한 대종보는 1987년도에 중앙화수회 주관으로 발행하였습니다.


아래의 족보 소개에 대한 자료를 올려 드리니 참고하세요.


- 갑자보(甲子譜)

1684(숙종 10) 발간 최초의 족보로 초판 5권에 추보 1권을 합하여 6권이었는데 그 후 재판(再版)으로 9권 추보 (追譜) 1권을 합하여 10권을 발행하였다.


- 무진보(戊辰譜)

1748(영조 24) 발간 갑자보 발행후 64년 만에 삼호당공(三湖堂公) 중협(重協)선생께서 서문(序文)을 쓰고 백사공(白沙公) 항복(恒福) 선생이 동종계서(同宗禾+契序)하고 오천공(梧川公) 종성(宗城) 선생이 추기(追記)를 부치어 15 권에 추보 1권으로 발행하였다.


- 갑술보(甲戌譜)

1814(순조 14) 발간 이후 다시 66년 만에 발간된 갑술보(甲戌譜)31권에 추보 3권으로 발행되었다.

위의 3종류 족보를 갑술갑 삼대보(甲戌甲三代譜)라 하여 경주 이씨 족보의 근간보(-바탕이나 중심 이 되는 중요한 족보)로 삼고 있다.


이 외에 1848(무신. 헌종 14)에 발행된 국당공파보(菊堂公派譜)


1860(경신. 철종 11) 익재공파 경신보(益齋公派 庚申譜)


1868(무진. 고종 5) 백사공파 무진보(白沙公派 戊辰譜)


- 계유보(癸酉譜) : 1873(계유. 조선 고종 10)


- 경인보(庚寅譜) : 1890(경인. 고종 27)


- 원주보(原州譜) : 1929년 기사(己巳. 일제시대)


- 경주보(慶州譜) : 1930년 경오(庚午)


- 대구 신미보(大邱辛未譜) : 1931년 신미(辛未)


- 대전보(大田譜) : 1933년 계유(癸酉)


- 대전 보전보(大田보전) : 1978- 경주이씨 대동보


- 중앙표준보(中央標準譜)- 1987- 경주이씨 대종보 전 48권 를 발간하였습니다.


80여 회에 걸쳐 대종보(大宗譜)와 파보(派譜)가 발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