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백사파 27대손 ○우“
인터넷 daum의 모 카페에 "경주이씨 백사파 27대손 ○우”라는 글이 올라 있습니다.
【‘백사파 27대손 사랑과 배려 ○우’ ....지금까지 말씀드린 건 경주이씨 백사파 27대손 사랑과 배려(○우) 시조의 전설적인 이야기였습니다.】
소견)
자신을 ‘백사파 27대손 사랑과 배려(○우)’라고 하였습니다.
성함이 ‘○우’라고 한 것으로 보아 ‘우’항렬로 중시조 38세 ‘우’항렬 종친님으로 생각됩니다.
백사 할아버님은 휘 항복(恒福)으로 중시조 25세입니다.
그러면 중시조 38세 ‘○우’는 중시조 25세 백사공(휘 항복)의 13세손(=13대손)이 됩니다.
○ 1세 중시조 ~ 38세 ‘○우’의 계대
1세 →---→ 17세 → - - -→ 24세 - - - - - - → 25세 →---→ 38세
소판공........상서공..............정헌공................백사공............‘우’항렬
거명...........과.....................몽량...................항복...............○우
중시조........상서공파(대파)...정헌공파(중파)...백사공파(소파)
(기준).........16세손...............23세손...............24세손............37세손
16세조.........(기준)...............7세손.................8세손.............21세손
23세조.........7세조................(기준)................1세손.............14세손
24세조.........8세조................1세조................(기준).............13세손
위 표에서 중시조. 대파. 중파. 소파의 파시조를 기준으로 세수(대수)와 몇 세손(=대손)으로 읽어도 27세.
27세손. 27대. 27대손으로 표시된 곳은 없습니다.
어떻게 ‘백사파 27대손’으로 계산되어 말한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파명 뒤에 ‘몇 대손’으로 말한 것도 잘못된 말입니다.
‘백사파 13대손’이든 ‘27대손’이든 ‘파명의 몇 대손’으로는 말할 수 없습니다.
대파. 중파. 소파는 파시조를 포함한 그 후손인 같은 종인들이 모여 만들어진 단체이고 모입입니다.
백사공파는 백사공(휘 항복)을 파시조로 한 수많은 조상님과 후손들의 집합체입니다.
백사공 할아버지 한 분을 두고 말하는 것이 아니고 그 아래 후손을 망라한 종인들을 아울러 ‘백사공파’라고 하는데 ‘백사공파의 27세손’이라는 말은 말이 안 되는 말입니다.
"경주이씨 백사파 27대손 ○우“가 아니고 "백사공파 38대(=38세) ○우“ . ”백사공의 13대손(=13세손) ○우“라고 하여야 합니다.
중시조 38세 ○우는 '몇 세'로는 상서공파 38세. 백사공파 38세. ‘몇 세손(=대손)’은 “후손(사람. 인물) 누구는 조상(사람. 인물) 누구의 몇 세손(=대손)이냐?”라고 사람과의 관계, 즉 조상과 후손과의 관계를 물을 때 사용되는 용어이고 단위입니다.
‘몇 대손(세손)’은 조상과 후손 간의 관계에서 ”후손 누구는 조상 누구의 몇 대손(=세손)이냐?“라고 물을 때 사용되는 용어이지 단체나 모임명인 ‘파의 몇 대손’이라는 말은 말이 안 되는 말입니다.
‘익재공파 38세손. 국당공파 39세손. 상서공파 40세손’으로 소개되거나 표기한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
▲[익재공파 38세손]
소견)
이도 잘못 읽었습니다.
중국 한자는 뜻글자로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우리글은 소리글자로 띄어 읽거나 말을 해야 뜻이 통합니다.
’익재공파 38세손‘과 ’익재공파 38세^ 손‘은 뜻이 다릅니다.
’익재공파 38세손‘은 잘못된 말입니다.
파명 뒤에는 몇 세. 몇 대로 읽어야지 몇 세손, 몇 대손으로는 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몇 세손(=대손)은 윗대 조상의 몇 세손(=대손)으로 말하지 모임과 단체명인 파명의 몇 세손(=대손)으로는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말로는 중시조 39세 ’상‘항렬이 중시조의 몇 세손(=대손)으로는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이라고 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중시조 38세 ’우‘항렬은 아래와 같이 읽거나 말하여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중시조 38세(=38대). 익재공파 38세(=38대). 익재공후 창평공파 38세(38대) - 파명 뒤 세수로 중시조의 37세손(=37대손). 익재공의 21세손(=21대손) – 중시조. 국당공의 몇 세손(=대손)
▲[국당공파 39세손]
소견)
잘못 읽었습니다.
중시조 39세 ’상‘항렬은 아래와 같이 읽거나 말하여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중시조 39세(=39대). 국당공파 39세(=39대). 국당공후 정순공파 39세(=39대) - 파명 뒤 세수
중시조의 32세손(=32대손). 국당공의 22세손(=22대손) – 중시조의. 국당공의 몇 세손(=대손)
▲[상서공파 40세손]
소견)
잘못 읽었습니다.
중시조 40세 ’희.형‘항렬은 아래와 같이 읽거나 말하여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중시조 40세(=40대). 상서공파 40세(=40대). 상서공후 백사공파 40세(40대) - 파명 뒤 세수로
중시조와 대. 중. 소파 명 뒤에는 ‘중시조세수’로 말하고 조상과 후손 간의 관계를 물을 때는 아래로는 ‘몇 세
손(=대손)’, 위로는 ‘몇 세조(=대조)’로 말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