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익제공파 42대손?

녹전 이이록 2019. 5. 24. 09:37

■ 둔암공파? 익제공파 42대손?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경주이씨 관련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난에서 답변. 소견. 수정)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종친님의 문의에 아래와 같이 지적하고 소견)을 올린 글입니다.


저는 *익제공파 42대손인 이재입니다.


그런데 족보에는 遯菴(둔암)공파로 되어 있는데 *익제공파 분파에도 없고 어찌된 영문인지

알 수 없습니다.


앞 회에서 '족보에는 遯菴(둔암)공파로 되어 있는데 *익제공파 분파에도 없고 어찌된 영문인지

알 수 없습니다'라는 문의에 답변을 올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익제공파 42대손인 이재◇'에 대하여 소견을 올립니다. 


[*익제공파 *42대손 이재]


[익제공파]


- ‘익제공파가 아니고 익재공파입니다.


익재공(중조 17세 휘 제현. 익재공파 대파시조)의 호가 益齋익재로 읽습니다.


[*익제공파 42대손]


- ‘익재공파 42대손으로는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꼭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 대. . 소파 명 뒤에는 세손(=대손)’으로 말하지 않고 수로 말을 해야 합니다.


몇 세손(=대손)’인물(조상)의 몇 세손인가? 몇 대손인가?”를 묻는 것이지 파명(단체)의 몇 세손(=대손)으로는 물을 수 없는 말입니다.


중시조 42(=42^ )’ . ‘익재공파 42(=42^ )’ . ‘판윤공파 42(=42^ )’ . ‘익재공후 판윤공파 42(=42^ )’으로 말합니다.


세와 손을 띄어 ^ 표로 읽거나 말을 하는 것은 바른 표기입니다.


몇 대손(=세손)’으로는 중시조님의 41세손’ . ‘익재공의 25세손’ . ‘판윤공의 21세손’ . ‘둔암공의 19세손로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42대손 이재]


- 종친님께서는 항렬로 중조 41(=41)입니다.


‘42대손이 어디서 온 계대수인지요?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르면 항렬은 중조 41세인데 왜 ‘42대손으로 읽었는지 의아합니다.


도리어 다른 종친님들은 항렬이 41세이니 ‘41세손이나 ‘40대손으로 세손보다 -1를 한 수로 읽는데 종친님은 +1를 하여 ‘42대손으로 읽었습니다.


중조 41세는 중시조님의 40세손이나 ‘40대손으로 읽어야 바릅니다.


대손(세손) 읽는 방법은 아래의 표를 보고 이해를 해야 합니다.


1--171819세 -20212223--41

소판공......익재공..시랑공..대사성공..판서공..소경공...판서공..둔암공......‘항렬

중시조......제현.........................증손......현손......5대손....6대손.......

(기준).......16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37세손

16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24세손

20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20세손


*우리 경주이씨 조상님들께서 족보. 비문. 문헌에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고 기록하였습니다.


*'몇 대손(세손)'은 항상 ‘조상 누구의 몇 세손(대손)?’으로 묻고 답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몇 대손(세손)'으로 셈하거나 헤아려 읽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습니다.


▶ "중조 41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입니까?"


반드시 주어진 계대에서 윗대 조상님이 기준이 됩니다.


기준이 되는 윗대 조상님은 헤아리지 않고(제외하고) 기준의 아랫대(아들)1세손(대손). 다음 아랫대(손자)2세손(대손). 증손자를 3세손(대손). 현손자를 4세손(대손)...등으로 헤아려 내려가 41()에 이르면 40세손(=40대손)으로 읽게 됩니다.


즉 중조 41항렬은 중시조님의 40세손입니다.


주어진 계대의 조손간 전 세수에 -1를 한 수에 세손(대손)을 붙여 읽습니다.


중시조부터 중조 41항렬까지 전 세수는 41. 41-1=40. 40세손(대손)입니다.


주어진 계대에서 아랫대 세수-윗대 세수를 빼기한 수에 세손(대손)을 붙여 읽습니다.


중시조 1. ‘항렬 41. 41-1=40. 40세손입니다.


▶ "중조 41항렬은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입니까?"


주어진 계대는 익재공이 중조 17세이고 항렬이 중조 41세입니다.


윗대 조상님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이 되는 윗대 조상님즉 익재공은 헤아리지 않고(제외하고) 익재공의 아랫대인 아들을 1세손(대손). 그 다음 아랫대인 손자를 2세손(대손). 증손자를 3세손(대손). 현손자를 4세손(대손)...등으로 헤아려 내려가 중조 41()에 이르면 24세손(=24대손)으로 읽게 됩니다.


즉 중조 41항렬은 익재공의 24세손(=24대손)입니다.


주어진 계대의 조손간 전 세수에 -1를 한 수에 세손(대손)을 붙여 읽습니다.


익재공부터 중조 41항렬까지 전 세수는 25. 25-1=24.


중조 41항렬은 익재공의 24세손(대손)입니다.


주어진 계대에서 아랫대 후손세수 - 윗대 조상세수를 빼기한 수에 세손(대손)을 붙여 읽습니다.


익재공 17. ‘항렬 41. 41-17=24.


중조 41항렬은 익재공의 24세손(대손)입니다.


중조 41항렬은 소경공의 몇 세손(대손)입니까?


주어진 계대는 소경공이 중조 21세이고 항렬이 중조 41세입니다.


윗대 조상님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이 되는 윗대 조상님즉 소경공은 헤아리지 않고(제외하고) 소경공의 아랫대인 아들을 1세손(대손). 그 다음 아랫대인 손자를 2세손(대손). 증손자를 3세손(대손). 현손자를 4세손(대손)...등으로 헤아려 내려가 중조 41()에 이르면 20세손(=20대손)으로 읽게 됩니다.


즉 중조 41항렬은 소경공의 20세손(=20대손)입니다.


주어진 계대의 조손간 전 세수에 -1를 한 수에 세손(대손)을 붙여 읽습니다.


소경공부터 중조 41항렬까지 전 세수는 21. 21-1=20.


중조 41항렬은 소경공의 20세손(대손)입니다.


주어진 계대에서 아랫대 후손세수 - 윗대 조상세수를 빼기한 수에 세손(대손)을 붙여 읽습니다.


소경공은 중시조  21. ‘항렬은 중시조  41세이면 41-21=20.


중조 41항렬은 '소경공의 20세손(=20대손)'입니다.


중시조세수. 익재공파세수. 소경공파세수 등 파명 뒤에는 모두 '중시조세수'로 말합니다.

중조 41세 '재'항렬이라면 중시조 41세. 익재공파 41세. 소경공파 41세 등으로 말합니다.


'몇 세손(=대손)'으로는 "중시조의. 익재공의. 소경공의 몇 세손(=대손)?"으로 '인물(조상 누구)의 몇 세손(=대손)?'으로 묻고 답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