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계와 방계의 촌수 - 2
오래전에 촌수에 대한 토론 중에 인터넷에서 얻은 자료입니다.
C 선생께서 ‘촌수의 정의’라는 글을 올리면서 ‘직계 존비속은 모두 1촌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공감이 가는 이 글에 반론으로 K 선생이 글을 올렸습니다.
이견이 있고 잘못된 설명을 지적하여 ▲[..........]로 나타내고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그래서 보편타당하게 직계나 방계를 수치로 나타내자니 1촌. 2촌. 3촌 등으로 한다.]
소견)
아래의 표와 같이 나타내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 직계와 방계의 촌수(직계 촌수- (2). (3). (4).... 방계 촌수- ①. ②. ③.... 표시)
.............고조부(高祖父)(4) ━ ━ ━ ━ ━ ━ ━ ━ ━ ━ ━ ━ ━ ━ ━ ━ ⑥종고조(從高祖)
.............┃........................................................................................┃
.............증조부 (曾祖父)(3) ━ ━ ━ ━ ━ ━ ━ ━ ━ ⑤종증조(從曾祖)....⑦재종증조(再從曾祖)
.............┃............................................................┃.........................┃
.............조부(祖父(2) ━ ━ ━ ━ ━ ━ ④종조(從祖)...⑥재종조(再從祖)...⑧3종조(三從祖)
..............┃.......................................┃.................┃........................┃
.............①부(父) ━ ━ ━ ③백숙부.....⑤종백숙부......⑦재종백숙부........⑨3종백숙부
┏------┃-----┓..........(伯叔父).......(從伯叔父)......(再從伯叔父)........(三從伯叔父)
┃..........┃........┃..........┃...............┃.................┃........................┃
②형 ━ 기(己) ━ ②제.......④종형제.....⑥재종형제.....⑧3종형제.............⑩4종형제
(兄).......나..........(弟)........(從兄弟).......(再從兄弟).....(三從兄弟)............(四從兄弟)
┃.........┃.........┃..........┃...............┃.................┃.......................┃
③질......자①......③질.......⑤종질.........⑦재종질.......⑨3종질................⑪4종질
(姪).......(子)........(姪)........(從姪)..........(再從姪).........(三從姪)..............(四從姪)
┃.........┃.........┃..........┃...............┃.................┃
④종손...손(2).....④종손....⑥재종손......⑧3종손.........⑩4종손
從孫)......(孫)......(從孫).....(再從孫).......(三從孫).........(四從孫)
*위 표의 직계와 방계의 촌수 표시
‘나’를 기준으로 부(父)와 자(子)는 ①촌으로 나타내고(직계에서는 방계의 형제 2촌을 읽기 위하여 부자 1촌은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있음.) 할아버지와 손자는 (2). 증조부와 증손자는 (3). 고조부와 현손자는 (4)로 표시하였습니다.
방계의 *형제 계대는 형제 ② → 질(조카) ③ → 종손 ④ 등으로 *백숙부 계대는 백숙부 ③ → 종형제(4촌형제) ④ → 종질 ⑤ 등으로 *종조부 계대는 종조부 ④ → 종백숙부 ⑤ → 재종형제(6촌형제) ⑥ 등으로 작은 원안의 숫자로 촌수를 표시하였습니다.
이 주장은 촌수를 직계나 방계를 구분하지 않고 ‘나’에서 시작하여 그 멀고 가까움을 수치로 나타내내어야한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직계는 윗대는 ‘몇 세조(=대조)’로 말하고 아랫대는 ‘몇 세손(=대손)으로 말하기 때문에 방계와 같이 촌수로 말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실제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쓰이는 것은 나의 조항. 숙항. 동항. 질항. 등에 적용되는 3촌. 4촌. 5촌. 6촌. 7촌. 8촌 등이다. 실제 안 쓰인다고 촌수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소견)
3촌, 4촌, 5촌을 차례로 읽기 위하여는 1촌과 2촌도 있어야 합니다.
1촌과 2촌은 생략하고 3촌부터 읽는 표입니다.
‘나 ~ 아버지 1촌' . ‘나 ~ 형제(자매) 2촌'을 순서대로 읽어야 합니다.
백숙부 3촌을 읽기 위하여 직계에서는 1마디인 나와 아버지 1촌은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그 다음으로는 역시 나와 1마디인 형제를 2촌으로 하고 그 외는 1마디마다 1촌씩 더하여 촌수로 읽습니다.
그림으로 보면 나와 아버지, 나와 형제는 1마디이니 모두 1촌으로 읽어야 합니다.
그러나 나와 아버지는 1촌. 나와 형제는 2촌으로 순서를 정하여 읽습니다.
나와 1마디인 형제를 2촌을 읽기 전에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인정하는 것입니다.
.............①부(아버지)
┏ ━━━━┃━━━━ ┓
②형.......나(기준).........②동생
*그림에서 나를 기준으로 나와 아버지, 나와 형 동생은 나와 1마디입니다.
1마디씩이니 나와 아버지1촌. 나와 형 1촌. 나와 동생도 1촌으로 읽어야 합니다.
그러나 촌수는 '나와 아버지는 1촌'으로 '형과 동생은 나와 2촌'으로 읽습니다.
이는 1마디를 1촌으로 읽어야 하나 예외적으로 형제 2촌을 읽기 위하여 직계에서는 '아버지와 나를 1촌'으로 읽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마디를 따져보면 나와 백숙부는 2마디로 2촌으로 읽어야 하나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나와 아버지 1촌을 더하여 3촌으로 읽는 것입니다.
나머지 방계의 마디를 따져 촌수를 헤아려 읽는 것입니다.
▲[*또 직계는 代(世)數(대세수)로 셈하고 방계는 寸數(촌수)로 셈한다는 것도 가감법에 위배됨으로 모순이다.(아래 반론 참조)]
소견)
직계는 代數(대수. 世數세수)로 셈하고 방계는 寸數(촌수)로 셈한다는 것도 가감법에 위배되어 모순이라는 것입니다.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고 몇 대조(=세조). 몇 대손(=세손)으로 말하고 방계만 촌수로 말을 하니 가감법에 위배되는 것이 모순이긴 합니다.
촌수를 헤아려 읽는 방법으로는 ① 직계와 방계를 같은 방법으로 읽거나 ②직계는 대수(세수)로, 방계는 촌수로 읽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촌수를 바르게 헤아려 읽는 방법은 직계와 방계를 같은 방법으로 읽지 않습니다.
직계는 ‘몇 세조(=대조)’와 ‘몇 세손(=대손)’으로 읽어 말하고, 방계는 촌수로 읽습니다.
(아래 반론 참조)하라고 하였으나 아래에 반론으로 올린 글이 없습니다.
▲[* ○ 실제 쓰이는 촌수
3촌; 나 - 백숙부. (고모. 질)
4촌; 나 – 종형제 자매. (종조부. 대고모) ~ 계촌도 = 촌수계산도]
소견)
위 표에서는 1촌과 2촌은 없고 3촌부터 헤아려 읽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나’와 백숙모. 고모. 질(조카)의 3촌을 헤아려 읽으려면 [‘나 ~ 아버지’ 1촌. ‘나 ~ 형제(자매)’ 2촌]이 순서대
로 있어야 3촌을 읽을 수 있습니다.
‘1촌 : 나 ~ 아버지' . '2촌 : 나 ~ 형제’ 의 촌수를 제외한 촌수 입니다.
▲[*외3촌 ; 외숙부, 이모
고종4촌 ; 고종형제자매
외4촌 ; 외종형제자매
이종4촌 ; 이종형제자매 등.]
보충)
외3촌 ; 외숙부, 이모 – 어머니의 형제자매
고종4촌 ; 고종형제자매 - 아버지의 누나, 누이의 자녀
외4촌 ; 외종형제자매 - 외숙부의 자녀
이종4촌 ; 이종형제자매 등 - 이모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