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촌수 - (1)

녹전 이이록 2017. 8. 21. 08:51

촌수 - (1)



촌수에 대한 연구논문으로 인터넷에 올라 있는 촌수 계보도 설명입니다.


직계를 촌수로 읽고 말하는 잘못된 논지로 이견이 있는 곳은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 친척간의 올바른 호칭과 촌수 계보도 보기


*작은 원안의 숫자는 촌수를 뜻함.


고조부 -------------------------------------------------- 종고조

(高祖父)......................................................................................(從高祖)

증조부 -------------------------------------종증조...........재종증조

(曾祖父)...............................................................(從曾祖)............(再從曾祖)

조부---------------------------종조............재종조...........3종조

(祖父).............................................(從祖).............(再從祖)............(三從祖)

-------------- 백숙부........종백숙부......재종백숙부.....3종백숙부

()...........................(伯叔父).........(從伯叔父)........(再從伯叔父)......(三從伯叔父)

------형제......종형제........재종형제.......3종형제.........4종형제

()............(兄弟).......(從兄弟).........(再從兄弟)........(三從兄弟).........(四從兄弟)

아들.................종질..........재종질..........3종질.............4종질

()...........()............(從姪)...........(再從姪)...........(三從姪).............(四從姪)

손자.......종손.......재종손.......3종손............4종손

()...........(從孫)........(再從孫).........(三從孫)...........(四從孫)

-----------------------

*) 직계(直系)의 계촌(計寸)


혈연(血緣)관계에 있는 두 사람 사이의 혈연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가 촌수(寸數)이고, 촌수(寸數)를 헤아리는 것을 계촌(計寸)이라고 한다.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혈연(血緣)의 구성 상태를 말할 때는 계촌(系寸)이라고 하고, 이것을 일목요연하게 도표로 나타낸 것을 계촌도(系寸圖)라고 한다.


부부(夫婦)는 혈연관계가 아니므로 0이다.


그러나 부부는 일심동체(一心同體)로서 무한히 가까운 0촌이다.


그렇지만 혼전(婚前)이나 이혼을 하면 남남으로서 무한히 먼 0촌이 된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이 1()이다.


, ()와 대() 사이가 1()이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은 1()의 촌수이면서 30년의 시간을 나타내는 (=)가 되기도 한다.


*직계로는 아무리 올라가도 1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 아버지가 1인데 할아버지도 1촌이며, 10대조(代祖)1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것은 계촌(計寸)의 원리(原理)에 안 맞는 말이다.


*, 숙부는 3촌인데 - 아버지- 조부에서 2()이 되고, 조부와 숙부 사이는 부자간(父子間)이므로 여기에 1()이 더 있다.


그래서 모두 합하면 3()이 된다.


소견)


[*) 직계(直系)의 계촌(計寸)]


소견)


직계에서 나와 형제 2촌을 읽기위하여 나와 아버지 1은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그 외는 직계는 촌수로 읽거나 말하지 않으므로 ) 직계(直系)의 계촌(計寸)’이라는 말부터가 잘못된 표현입니다.


[*직계로는 아무리 올라가도 1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 아버지가 1인데 할아버지도 1촌이며, 10대조(代祖)1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것은 계촌(計寸)의 원리(原理)에 안 맞는 말이다.]


소견)


직계는 촌수로 읽거나 말하지 않는다.’ 라고 주장하는 분들은 또 두 가지 주장으로 나뉩니다.


하나는 나와 부 1을 기준으로 ~ 1’ . ‘~ 증조 1’ . ‘증조 ~ 고조 1’.....등으로 직계인 나와 아버지 마디부터 1촌으로 윗대조상님들을 마디마다 1촌으로 읽는다는 것입니다.


‘9대조 ~ 10대조 1’ , ‘20대조 ~ 21대조 1으로 읽는다는 주장으로 직계로는 아무리 올라가도 1이라고 하는 주장입니다.


, 아버지가 1인데 할아버지도 1촌이며, 10대조(代祖)1이라고 합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읽습니다.


━━ ━━ ━━ 증조 고조 현조.........19대조 20대조

....(1).....(1)....(1).......(1)....(1).......................(1)


또 하나의 주장은 아래 표와 같이 읽습니다.


━━ ━━ ━━ 증조 고조 현조..........19대조 20대조

...........(1).....(2).....(3)....(4).....(5).........(19).......(20)


직계 계대 간 마디를 1촌으로 하여 윗대로 올라갈수록 1촌씩 합하여 나-1. 2. -증조 3. -고조 4.....나와 19대조 19. 나와 20대조 20촌 등으로 촌수로 읽거나 말합니다.


여하간 이 논문에서는 직계로는 아무리 올라가도 1이라고 하니 즉, 아버지가 1인데 할아버지도 1촌이며, 고조도 1, 10대조(代祖)1이라고 하는데 이 주장은 계촌의 원리에 맞지 않는 말이라고 비판한 글입니다.


그러면서 논문의 저자는 아래와 같이 직계 마디를 1촌으로 윗대로 갈수록 1촌을 더하여 촌수로 말하고 있습니다.


━━ ━━ ━━ 증조 고조 현조.....19대조 20대조

...........(1).....(2).....(3).....(4)....(5)....(19).......(20)


*나와 조부를 2촌이라 하고 나와 증조를 3촌이라 하고 나와 고조를 4촌이라고 하는 사람이 어디에 있습니까?


이것 하나만 보아도 촌수가 무엇인지를 잘 알지 못하고 글을 쓴 것 같습니다.


촌수에 대한 사전의 설명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친족 사이의 멀고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 또는 그런 관계.


*친족(親族) : 촌수가 가까운 일가. 친속(親屬).


다음백과


친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 체계.


직계(直系) 존비속(尊卑屬)은 촌수(寸數)가 없다.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촌수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 마디로 간주하여 계산한다.


나와 부모 사이는 한 마디로 1촌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직계는 촌수로 계촌하지 않으니 위와 같이 주장하는 것이 계촌(計寸)의 원리(原理)에 맞지 않는 말이라는 것인데 도리어 이 말이 잘못된 말입니다.


직계는 촌수로 따지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방계의 멀고 가까운 관계를 나와 아버지 1촌 다음에 나와 형제를 2촌으로 하고 윗 계대에 따라 나와 백숙부 3, 나와 종조부 4, 나와 종증조부 5, 나와 종고조부를 6촌으로 읽고 그 후손들을 1마디마다 1촌으로 하여 나타내는 것이 촌수입니다.


직계는 촌수로 말하는 것이 아니고 조손간 관계를 말할 때는 아래로는 몇 세손(=대손)’으로 위로는 몇 세조(=대조)’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 숙부는 3촌인데 - 아버지- 조부에서 2()이 되고, 조부와 숙부 사이는 부자간(父子間)이므로 여기에 1()이 더 있다. 그래서 모두 합하면 3()이 된다.]


소견)


항에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이 1()이다. , ()와 대() 사이가 1()이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간격은 1()의 촌수이면서 30년의 시간을 나타내는 (=)가 되기도 한다.’라는 설명에서 ()와 대() 사이가 1()이다.’라고 하였으니 나와 아버지 1,


나와 할아버지 2, 나와 증조할아버지 3, 나와 고조할아버지 4촌간으로 읽는다는 말입니다.


숙부인 3촌을 계촌하는데 [숙부는 3촌인데 - 아버지- 조부에서 2()이 되고, 조부와 숙부 사이는 부자간(父子間)이므로 여기에 1()이 더 있다. 그래서 모두 합하면 3()이 된다.]라고 설명하면서 직계인 - 아버지- 조부2()으로 읽었는데 직계는 촌수로 헤아려 읽지 않습니다.


그러면 숙부 3은 어떻게 3촌으로 읽어야 하는가?


나와 직계 존비속이 아니면 모두 방계입니다.


그러면 나와 형제들부터 방계로 시작됩니다.


방계인 나와 형제 2촌을 읽기 위하여는 1촌이 있어야 하니 이를 나와 아버지 1으로 읽은 것입니다.


━ ━ ━ ━ ③백숙부

() ━ ②형제


위 표에서 보면 나와 아버지는 1마디로 1촌이고 나와 형제도 1마디로 1촌입니다.


나와 백숙부도 마디로는 2촌이나 실제는 3촌간입니다.

그러나 형제는 나와 1촌인 아닌 2촌 관계로 말하고 나와 백숙부는 2촌이 아닌 3촌으로 말합니다.


이는 나와 가까운 차례의 순서대로 나와 아버지 1, 나와 형제 2, 나와 백숙부 3. 나와 종조부 4, 나와 종증조부 5촌 등으로 읽었기 때문입니다.


이 순서는 촌수를 헤아려 읽는데 꼭 필요한 순서로 외워두면 좋습니다.


형제의 계대는 나와 방계이니까 촌수로 동생의 아들인 조카는 2촌인 동생 다음으로 나와 3촌간으로 읽어 내려갑니다.


나와 아버지 1촌은 방계의 형제 촌수를 헤아려 읽기 위하여 기본으로 하고 그 다음 마디가 나와 형제 2촌을 읽고 그 다음 마디인 백숙부를 3촌으로 하여 그 계대를 아래로 읽어 촌수로 말합니다.


마디로 따져 보면 나와 아버지 1마디로 1, 나와 형제 1마디로 1촌이나 나와 형제를 2촌으로 순서를 정하여 촌수로 하는 것입니다.


나와 아버지 1촌, 나와 형제 2촌. 나와  백숙부 3,  나와 종조부 4, 나와 종증조부  5, 나와 종고조부 6촌으로 외워두고 그 아래 후손을 차레대로 촌수로 헤아려 말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