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익제공파 43세 후손 모임
【경주이씨 익제공파 43세 후손 모임】
카페 명으로 올라 있는 제목입니다.
이 카페의 카페명을 보고 SK 종친님과 댕기 종친님이 댓글을 올렸습니다.
△ SK
[‘경주이씨 익제공파 43세 후손 모임’은 *‘경주이씨 43세 익재공파 26대 모임’으로 수정 되어야 합니다.
중시조를 기준할 시는 43세가 맞으나, 익재공을 기준으로 하면은 26대(=26세)이기 때문입니다.
익재 할배님이 17세이니 할배 기준으로 26대(=26세)가 맞습니다.
고로 명칭에 수정을 요구 합니다.]
△ 댕기
[*족보라면 태초의 시조부터 표기가 되는 것이 마땅하기 때문에 원조를 기준으로 한다면 제언하신 수정요구가 체계에 맞다고 봅니다.
원조는 "이알평" 공에서 비롯되고 *익재공파는 益齋 *李薺賢을 *시조(경주이씨의 중시조)로 보기 때문에 수정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소견) 이이록
카페명을 보고 댓글을 올린 SK 종친님과 댕기 종친님의 글에서 잘못된 말씀이나 이해가 안 되는 글을 원문에 *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내고 소견을 올립니다.
◈ 먼저 카페 명에서 잘못된 글입니다.
▲[경주이씨 익제공파]
- ‘익제공파’가 아니고 ‘익재공파’입니다.
호 益齋는 드릴 益(익). 재계할 齋(재)로 ‘익재’라고 읽습니다.
호는 ‘익재’라고 쓰고 파명은 ‘익재공파’라고 해야 합니다.
◈ SK 종친님이 올린 글에서
‘경주이씨 익재공파 43세 후손 모임’이라고 되어 있는 카페명을 ‘경주이씨 43세 익재공파 26대 모임’으로 수정 되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중시조 17세인 익재공(휘 제현)부터 중조 43세 ‘제. 준’항렬까지가 계대세수로는 26세(=26대)가 아니라 27세(=27대)입니다.
중조 17세부터 43세까지 세수를 헤아리면 27세(=27대)입니다.
그래서 중시조를 기준할 시는 43세가 맞으나, 익재공을 기준으로 하면은 27대(=27세)라고 해야 합니다.
그러나 중시조나 대. 중. 소파명 뒤에는 ‘중시조세수’로만 말하기 때문에 ‘익재공파’는 익재공부터 따지는 것이 아니라 그냥 ‘중시조 43세’ . ‘대파 - 익재공파 43세’ .‘중파 - 창평공파 43세’ . ‘소파 - 재사당공파 43세’ 라고 합니다.
그러나 계대세수로는 파명이 아닌 인물명으로 '중시조 43세'로 나타내듯이 '익재공 27세(=27대)'라고 나타내어야 합니다.
익재공이 중시조 17세이니 익재공부터 ‘제. 준’ 항렬까지 세수로 헤아리면 27대(=27세)입니다.
‘경주이씨 43세 익재공파 26대 모임’이라고 수정해야 된다는 소견은 잘못된 표기입니다.
본디 카페명으로 올린 제목이 바른 표기입니다.
[경주이씨 익재공파 43세 후손 모임]
이는 '경주이씨 43세(=43대) 후손 모임' . '중시조 43세(=43대) 후손모임' . '익재공파 43세(=43대) 후손모임'이라는 뜻과 같아 어떤 것을 제목으로 해도 같은 뜻이기 때문입니다.
‘경주이씨 43세 익재공파 26대 모임’은 바르지 못한 표기입니다.
'익재공파'라는 파명 뒤에는 항상 '중시조세수'로만 말하여야 종친간에 서로 알아 듣고 소통이 쉬워집니다.
'익재공파 26대(=26세)'가 아니고 '익재공파 43세(=43대)'라고 하던가 '익재공 26세(=27대)'라고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익재공이라는 말이 들어 있는 ‘익재공파’에서 익재공부터 헤아려 27대(=27세)라고 ‘익재공파 27세’로 말하면 ‘중시조 43세’일 경우 ‘익재공파 43세’로도 말하고 ‘익재공파 27세(=27대)’로도 말을 하면 뒤섞여 세수를 알아듣는데 매우 혼란스러울 것입니다.
그래서 대파- 익재공파. 중파- 창평공파. 소파- 재사당공파 43세 ‘제.준’ 항렬은 [익재공파 43세 ‘제.준’항렬] . [창평공파 43세 ‘제.준’항렬] . [재사당공파 43세 ‘제.준’항렬]로 말을 해야 종친님 서로 간에 세수를 바르게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익재공파 26세 ‘제.준’항렬 . 창평공파 20세 ‘제.준’항렬 . 재사당공파 19세 ‘제.준’항렬로는 말하면 ‘중시조세수’로 말하는 것과 섞여 혼란스럽기 때문입니다.
계대세수로 말을 하려면 ‘익재공파’에서 ‘파’자를 뺀 ‘익재공 27세(=익재공 27대)’라고 해야 합니다.
◈ 댕기 종친님이 올린 댓글에서
▲[*李薺賢]
‘李薺賢’은 ‘李齊賢’으로 고쳐 써야 합니다.
특히 한자는 뜻글자인지라 바른 글자를 찾아 올려야 합니다.
▲[익재공파는 益齋 李薺賢을 *시조(경주이씨의 중시조)로 보기 때문에...]
- 경주이씨의 첫 시조는 알평(謁平)입니다.
益齋李薺賢(익재 이제현)을 보고 누구도 '경주이씨 시조'로 보고 '경주이씨 중시조'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익재공'. '익재공파 파시조(파조)'라고 하지 '시조'나 '중시조'라고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시조'라고 불리는 곳이 따로 있어 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읽어야 헷갈리지 않습니다.
'분적 시조(혹은 분적조. 분관시조. 분관조)'와 '분파 시조(분파조. 파조)'입니다.
'분적 시조'는 경주 이씨에서 분적된 경주 이씨로 본관을 달리하는 8개의 분적종이 있고 그 분적종의 시조가 분적조(혹은 분관조)입니다.
그리고 분파도에 보면 14개 대파와 70여개 중소파가 있습니다.
이 14개의 대파와 70여개 중. 소파에도 각기 분파 시조(분파조. 파조)가 달리 있습니다.
이럴 경우 경주이씨 시조. 중시조. 분적시조. 분파시조 등 시조로 불리는 조상님들이 많이 있어 그냥 시조라고 하면 혼동이 되어 누구를 말하는지 구분하지 못합니다.
분적종 합천이씨 종인들은 합천호장 휘 개(開)를 합천이씨 '시조'라고 합니다.
이와 구별하여 경주이씨 종인들은 분적종 합천이씨 시조를 '분관조(분적조.) 합천이씨 휘 개'라고 호칭하여야 쉽게 알아들을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경주이씨는 시조는 이알평. 중시조는 이거명. 중흥조는 이핵. 대파시조(대파조). 중파시조(중파조). 소파시조(소파조). 지파시조(지파조). 분적시조(분적조. 분관조) 등으로 구분하여 말합니다.
즉 중시조 17세인 익재 이제현은 '시조'나 '중시조'로 말하지 않습니다.
'익재공파 파조(파시조)'입니다.
일반적으로 중흥조(中興祖)는 그 집안을 크게 일으킨 조상님을 중흥조라고 하나 우리경주이씨에서는 본인은 물로 그 자손 3자 9손이 모두 관직에 나가 현달하였기 때문에 중시조 15세 열헌공(휘 핵)을 특별히 '중흥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흥조'라고 불리는 조상님으로는 익재공(고려 말. 중조 17세 휘 제현). 백사공(조선 선조. 중조 25세. 휘 항복)을 위시하여 이수일. 이완 부자. 이시영 등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