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대손. 세=세손’의 논지에 대하여 – 10

녹전 이이록 2016. 9. 21. 09:14

=대손. =세손의 논지에 대하여 10



LJS 선생께서 구준이 지은 문공가례의절을 열람해 보고..거기에는 분명히 "5세조=고조"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하고 하며 아래와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LJS


며칠 전에 우연히 자료를 검색하다가..중국의 어느 대학에서 인터넷에 올린.. 구준이 지은 문공가례의절을 열람해 보니..거기에는 분명히 "5세조=고조"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문공가례의절 원문


출처 tttp://res4.nlc.gov.cn/home/search.trs?method=showDetail&channelid

=724&id=007752059-9&searchWord=%28+bookname%2F1%3D+%27%25%E6%96%87%E5%85%AC%E5%AE%B6%E7%A6%AE%E5%84%80%E7%AF%80%25%27++%29


위 클릭하여..하부..(1)로 들어가서..(쪽엽=머리 혈) 25를 쓰고 엔터 치면 현손이 고조를 향해 축문을 올리는 예(양식)가 나오고.. 거기서.. (2)로 들어가서..(머리 혈)5를 쓰고 엔터 치면..같은 사례이고..(이런 사례는 1~6책에서..수십 건이 됨) (3)으로 들어가서..(책 면 엽)22를 쓰고 엔터 치면..주자가례에 나오는 " 단괄발문좌우별실"에서...재최이하지 동5세조자개단..."이라는 글이 보이고..(5)로 들어가서..(쪽엽=머리 혈, 책 면 엽)27을 쓰고 엔터 치면..현손이 5세조(=고조)를 향해 축문을 올리는 예(양식)가 나오는 것이 보입니다.


이렇게 글을 올리니 이에 대하여 권 선생께서 일일이 지적하여 반론을 편 글입니다.


권태현 

 

조선에 정착된 동의론이 구준의 주석오류에 인함이라 한참 떠들더니 오늘은 沙溪先生(사계선생)誤譯(오역)때문이라 하니 漢文解譯(한문해석)이 서툴러서인지? 牽强附會(견강부회)인지?


先賢(선현)을 모독하는 논지는 그만하시고 異義論(이의론)이 옳다면 선생 宗中(종중)이나 바꾸시오.


선생이 예시한 文公家禮儀節(문공가례예절)明弘治3[명 홍치 3. I490]順德知縣吳廷舉刊(순덕지현 오정거 간), 嘉靖18[가정 18. 1539] 修補印本(수보인본)朱熹撰(주희 찬) ; 丘濬重編(구준 중편)寫眞本(사진본)입니다.


1) 1(1) 25(25), 2(2) 5(5)玄孫(현손)...高祖(고조)만 있지 5世祖(5세조)는 없고


2) 3(3) 22(22)喪中儀式(상중의식)인데 五世祖(5세조)高祖(고조)라는 말이 없음.


3) 5(5) 27(27)親盡(친진)5代祖(5대조)遞遷(체천埋安매안)축문인바 五世祖(5세조)高祖(고조)()이지 高祖(고조)일리 만무함.


5) 5(5) 63(63) “高祖之父爲五世祖(고조지부 위5세조)”라는 原文(원문)이 있는데 沙溪先生(사계선생), 古典飜譯院(고전번역원)운운할 것이 어데 있소?


이이록


5(5) 63(63)高祖之父爲五世祖(고조지부 위오세조)”라는 原文(원문)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LGS 선생의 주장은 한결같이 아래 표와 같이 읽습니다.


고조지부고조 - 증조 - - - - - ()

1..............2.........3..........4..........5...........6

1..............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

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


*소당 중국 공자. 주자 등 성현 가문의 사이트에서 나타내고 있다는 '세=대=세손=대손=세조=대조'논지입니다.


이렇게 ==세손=대손=세조=대조로 읽는 것에서 한 발자국도 달라지지 않으니 아래와 같이 읽는 동의논지의 글이 이해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고조지부고조 - 증조 - -- -- ()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증손........현손.........5세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고조지부(高祖之父- 고조의 아버지)는 나의 5세조로 읽는 것이 맞습니다.


현손(玄孫)4세조(4世祖)이지 5세조(5世祖)는 오류입니다.


玄孫(현손)에서 高祖之父(고조지부)四世祖(4세조)입니다.


家禮儀節(가례의절) 一冊(1) 六十頁(60)에 다음과 같은 圖式(도식)이 있습니다.


義門鄭氏祠堂位次圖(의문 정씨 사당 위차도)


小宗....................................................大宗.................................................小宗

(소종).................................................(대종)...............................................(소종)

------------------------------------------------------------

-祖考-曾祖考-高祖考(義門第四世祖考)..(義門第四世祖妣)高祖妣-曾祖妣-祖妣-

-조고-증조고-고조고(의문제4세조고)...(의문제4세조비)고조비-증조비-조비-

 

----------祖考---曾祖考--高祖考(第四世祖考)

.....................조고.......증조고....고조고(4세조고)

(기준).....1세조.....2세조.....3세조......4세조


위 표에서 第四世祖考(4세조고)는 고조부를 말하는 것이니 4세조입니다.


추기)


LGS 선생의 문공가례의절 원문의 "5세조=고조"로 읽은 것은 잘못된 해석입니다.


이때의 '5세조'는 ‘5세인 조상-고조의 뜻으로 해석해 읽어야 바르게 이해됩니다.


LGS 선생의 옛 문헌에서 5세 고조를 五世祖(5세조)로 기록한 것은 모두 ‘5세인 조상)’으로 해석하여 읽어야 합니다.


1세인 나로부터 5세 고조는 나의 4세조임이 바릅니다.


고조 - 증조 - ----()

5...........4..........3........2........1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몇 세조(=대조)’의 쓰임은 고조할아버지(윗대조상)는 나(후손)의 몇 세조(=대조)입니까?”라고 물을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나의 몇 세조(대조)’라고 하였으니 는 기준이 되고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제외합니다.


기준을 제외하니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 1. 조부께서 2. 증조가 3. 고조가 4로 읽은 수 뒤에 세조(=대조)를 붙여 읽는 것이 동의논지입니다.


아버지 1세조(=1대조). 할아버지 2세조(=2대조). 증조할아버지 3세조(=3대조). 고조할아버지 4세조(=4대조).....로 읽고 말하는 것이 바른 논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