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 관직(5)
△정1품
*삼사(三師)-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공(三公)-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특진보국삼중대광(特診輔國三重大匡). 특진삼중대광(特進三重大匡)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의동삼사(儀同三司)
*상주국(上柱國- 훈위의 첫째)
△ 종1품
*중서령(中書令-중서문하성)- 후에 도첨의(都僉議) 또는 첨의정승(僉議政丞)등으로 고침.
문하시중(門下侍中- 중서문하성)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 중서령의 전신.
시중(侍中)- 후에 첨의중찬(中?)으로 고침.
*상서령(尙書令- 상서도성)
*판삼사사(判三司事- 삼사).
*판사(判事)-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 吏.兵.戶.刑.禮.工部)- 재신(宰臣)이 겸임함.
*판원사(判院事- 한림원)
*감수국사(監修國史)- 사관(史官)의 으뜸 벼슬로서 시중(侍中)이 겸임함.
*주국(柱國)- 훈위의 둘째
개부의동삼사. 숭록대부. 중대광. 벽상삼한중대광. 금자광록대부. 금자숭록대부. 삼중대광. 표기대장군(무산계).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중서문하성)
문하시랑평장사. 중서평장사. 문하평장사- 중서문하성
*左右僕射(좌우복야)- 상서도성.
*수국사(修國史). 동수국사(同修國史)- 2품 이상 겸관
*특진. 흥록대부. 광정대부. 대광. 정광. 은청광록대부. 은청영록대부. 광록대부. 숭록대부. 보국대장군(무산계)
△종2품
*참지정사(參知政事)- 중서문하성
*정당문학(政堂文學)- 중서문하성
*지문화성사(知門下省事)- 중서문하성
*지성사(知省事)- 상서도성
*판원사(判院使). 원사(院使). 지원사(知院使). 동지원사(同知院俟)- 중추원
*태학사(太學士)- 제관전(諸館殿)
*제학(提學). 동제학(同提學)- 국자감(國子監)
*금자광록대부. 광정대부. 정봉대부. 통헌대부. 봉익대부. 광록대부. 영록대부. 자덕대부.
진국대장군(무산계)
△정3품
*좌상시(左常侍). 우상시(右常侍)- 중서문하성
*삼사사(三司使)- 삼사
*부사(副使). 첨서원사(簽書院使). 직학사(直學士). 지주사(知奏事). 좌승선(左承宣). 우승선(右承宣). 좌부승선(左副承宣). 우부승선(右副承宣)- 중추원(추밀원)
*상서(尙書)- 이. 호. 예. 병. 형. 공부
*판사대부(判事大夫)- 어사대
*학사승지(學士承旨)- 한림원
*관구(管勾- 겸관). 판사(判事. 겸관)- 국자감
*사(使)- 대상부
*판사(判事)- 비서성. 어서원. 각문(고려 때 조회의 의례를 맡아보던 관아. 합문). 전중선. 위위시. 대복시. 예빈성. 대부시. 사재시. 사천대. 태사국.
*은천광록대부. 중봉대부. 정의대부. 정순대부. 봉순대부. 통의대부. 관군대장군(무산계)
※지신사(知申事)- 뒤에 지주사(知奏事)로 고침, 중추원, 추밀원, 밀직사의 벼슬)
승선(承宣)- 뒤에 승지(承旨)로 고침.
감(監), 경(卿)- 감, 경은 각 관청의 장(長) 이므로 종三품도 있음.
어사대부(御史大夫)- 어사대의 으뜸 벼슬.
제거(提擧)- 보문각, 국자감의 벼슬임
대사성(大司成)- 국자감의 장.
대언(代言)- 승선을 고침.
상호군(上護軍)- 상장군을 고침
△종3품
*직문하(直門下)- 중서문하성
*좌승(佐丞). 우승(右丞)- 상서도성
*지부사(知府事. 他官兼之)- 이. 호. 예. 병. 형. 공부
*수찬관(修撰官. 한림 3품 이상 겸지)- 史官
*좨주(祭酒)- 국자감
*감(監)- 비서성. 전중성. 사천대
*지사(知事. 兼官)- 각문
*경(卿)- 위위시. 대복시. 예빈성. 대부시
*판사(判事)- 소부시. 장작감군기감. 태의감
*지국사(知局事)- 태사국
*광록대부. 통의대부. 중정대부. 중현대부. 대중대부. 중대부. 운휘대장군(무산계)
※祭酒(좨주)- 국자감의 벼슬로서 뒤에 성균관 사성(司成)임
△정4품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중서문하성
*시랑(侍郞)- 이. 호. 예. 병. 형. 공부
*학사(學士)- 한림원. 제관전
*감(監)- 소부시. 장작감. 군기감. 태의감
*정의대부. 통의대부. 대중대부. 봉상대부. 중산대부. 봉산대부. 중의대부. 중무장군(무산계 상). 장무장군(무산계 하)
※지공거(知貢擧)- 학사로서 과거를 맡아 봄. 동지공거(同知貢擧)의 위(종三품 or 정四품임)
△종4품
*급사중(給事中). 중서사인(中書舍人)- 중서문하성
*지사사(知司事). 부사(副使)- 삼사
*지사(知事). 중승(中丞)- 어사대
*사업(司業)- 국자감
*소감(少監)- 비서성. 전중성. 소부시. 장작감. 군기감. 사천대
*소경(少卿)- 위위시. 대복시. 에빈성. 대부시. 사재시
*대중대부. 중대부. 봉선대부. 조산대부. 조열대부. 선위장군(무산계 상). 명위장군(무산계 하)
△정5품
*좌사랑중(左司郞中). 우사랑중(右唆郎中)- 상서도성
*판관(判官)- 삼사
*낭중(郎中)- 이. 호. 예. 병. 형. 공부. 상서고방
*시독학사(侍讀學士). 시강학사(侍講學士)- 한림원
*사(使). 인진사(引進使)- 각문
*부사(副使. 5품 兼之)- 대상시
*중산대부. 조산대부. 조의대부. 통직랑. 조의랑. 정원장군(무산계 상). 영원장군(무산계 하)
△종5품
*기거주(起居注). 기거랑(起居郞). 기거사인(起居舍人)- 중서문하성
*잡단(雜端). 시어사(侍御使)- 어사대
*승(丞)- 비서성. 전중성
*인진부사(引進副使)- 각문
*춘. 하. 추. 동관(춘하추동관)- 사천대
*령(令)- 태사국. 대묘서. 제릉서
*소감(少監)- 태의감
*조청대부. 조산대부. 통직랑. 조봉랑. 유기장군(무산계 상). 유격장군(무산계 하)
△정6품
*좌보궐(左補闕). 우보궐(右輔闕)- 중서문하성
*좌사원외랑(左司員外郞). 우사원외랑(右司員外郞)- 상서도성
*왼외랑(員外郞)- 이. 호. 예. 병. 형. 공부. 상서고방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어사대
*각문부사(閣門副使)-
*조의랑. 승의랑. 승봉랑. 조청랑. 조무장군(무산계 상). 조무부위(무산계 하)
△종6품
*좌습유(左拾遺). 우습유(右拾遺)- 중서문하성
*감찰시어사(監察侍御史)- 어사대
*승(丞)- 국자감. 위위시. 대복시. 예빈성 대부시. 소부시. 장작감. 사재시. 사천대
*낭(郎)- 비서성
*내급사(內級事)- 전중성
*봉의랑. 통직랑. 승봉랑. 선덕랑. 진위교위(무산계 상). 진무부위(무산계 하)
△정7품
*당후관(堂後官)- 중추원
*국자박사(國子博士)- 국자감
*통사사인(通事舍人. 一祗侯)- 각문
*승(丞)- 군기감. 대묘서
*조청랑. 선덕랑. 종사랑. 수직랑. 치과교위(무산계 상). 치과부위(무산계 하)
△종7품
*문하녹사(門下錄事). 중서주사(中書注書)
*도사(都事)- 상서도성
*대학박사(大學博士). 주부(主簿)- 국자감
*권지지후(權知祗侯)- 각문
*주부(主簿)-위위시. 대복시.예빈성.대부시. 소부시.장작감. 사재시
*승(丞)- 태사국. 제릉서
*선의랑. 조산랑. 종사랑. 수직랑. 익위교위(무산계 상). 익휘부위(무산계 하)
▶이하 무산계 위계 생략
△정8품
*직사관(直史館)- 사관
*4문박사(四門博士)- 국자감
*주부(主簿)- 군기감
*영대랑(靈臺郞)- 태사국
△종8품
*율학박사(律學博士)- 상서형부
*승직사관(陞直史館)- 사관
*보장정(保障正). 설호정(挈壺正)- 태사국
*박사(博士). 승(丞)- 태의감
△정9품
*직원(直院)- 한림원
*학정(學正). 학록(學錄)- 국자감
*교서랑(校書郞)- 비서성
*녹사(錄事)- 대상부
*사진(司辰)-태사국
△종9품
*율학조교(律學助敎)- 상서형부
*의관(醫官)- 한림원
*학론(學論). 직학(直學). 서학박사(書學博士). 산학박사(算學博士)- 국자감
*정자(正字). 교감(校勘)- 비서성
*복정(卜正). 복박(卜博) - 사천대
*사역(司曆). 감후(監候)- 태사국
*의정(醫正). 조교(助敎). 주금박사(呪噤博士)- 태의감
●중국 관직
▶ 중국 한나라의 관직에서 대강 복사하였으나 오류가 많을 것임.
*치속내사(治粟內史)→ 대농령(大農令)→ 대사농(大司農) : 곡식과 재화
*소부(少府)- 속관 상서(尚書). 부절(符節), 태의(太醫), 태관(太官), 탕관(湯官), 도관(導官), 악부(樂府), 약로(若盧) 등 - 령(令)과 승(丞) : 산. 바다, 못(池澤)의 세금을 관장
*중위(中尉)→ 집금오(執金吾) : 경사(京司) 순찰 - 승(丞)과 후(候), 사마(司馬), 천인(千人)
*수속도위(騪粟都尉) : 군관
*중서알자령(中書謁者令)→ 중알자령(中謁者令) - 상서(尚書)를 둠
*속국도위(屬國都尉)- 승(丞), 후(候), 천인(千人)
*태상(太常). 집금오(執金吾)- 승(丞)
*태자태부(太子太傅)- 태자문대부(太子門大夫), 서자(庶子), 세마(先馬), 사인(舍人)
*수형도위(水衡都尉)- 수사공(水司空), 도수(都水), 농창(農倉), 감천(甘泉), 상림(上林),
도수(都水) 7개 궁의 장(長)과 승(丞)
*내사(內史)- 좌/우내사- 영(令)과 승(丞) : 주의 관직
*주작중위(主爵中尉)→ 영(令)/승(丞)
*봉군도위(奉軍都尉)- 시중(侍中), 좌우조(左右曹), 제사(諸吏), 산기(散騎), 중상시(中常侍) 열후, 장군, 경대부, 도위, 상서, 태의, 태관령. 낭중. 대부(大夫), 박사(博士), 의랑(議郞)
*훈작(勳爵)
1급- 공사(公士),
2급- 상조(上造),
3급- 잠뇨(簪裊),
4급- 불경(不更),
5급- 대부(大夫),
6급- 관대부(官大夫),
7급- 공대부(公大夫),
8급- 공승(公乘),
9급- 오대부(五大夫),
10급- 좌서장(左庶長) 등 20급
- 大夫에 관(官)과 공(公)을 더하여, 높고 낮음을 보여준다.
*태부(太傅)- 왕을 보필,
내사(內史)- 나라의 백성을 다스리고,
중위(中尉)- 무직(武職) 관장,
승상- 여러 관리 통솔,
승상- 상(相),
어사대부, 정위, 소부, 종정, 박사. 대부, 알자, 의랑관의 령(令)/승(丞)과 장(長)/승(丞).
*군수(郡守)→ 태수(太守)
* 군위(郡尉)→ 도위(都尉)
*승상 (丞相). 사공(司空)/대사공 (大司空). 태위(太尉), 사도(司徒). 군사(軍師), 사마(司馬), 종사(從事), 중랑(中郞), 주부(主簿), 참군(參軍), 영군도독(營軍都督), 자간도독(刺奸都督)
*광록훈(光祿勳). 봉거도위(奉車都尉), 부마도위(駙馬都尉), 기도위(騎都尉),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중대부(太中大夫), 중산대부(中散大夫), 간의대부(諫議大夫), 의랑(議郞), 알자복야(謁者僕야)
*대사농(大司農)- 승(丞), 령(令)
*상서령(尙書令). 상서복야(尙書僕射), 상서(尙書), 시랑(侍郞), 상서좌우승(尙書左右丞), 낭중(郎中),
*태상경(太常卿)- 승(丞), 태사령(太史令), 태제령(太帝令)
*구경(九卿)은 태상(太常), 광록훈(光祿勛), 위위(衛尉), 태복(太僕), 정위(廷尉), 대홍려(大鴻려),
종정(宗正), 대사농(大司農), 소부(少府)
◆ 삼국사기와 고려백관지에 기록된 관직을 주로 하고 인터넷 검색에서 발췌한 내용이나 그래도 관직명을 바르게 표기하지 못한 내용도 있을 것이다.
차후 잘못된 관직은 수시로 수정을 할 것이다.
대체로 관직명은 시대와 왕조에 따르고 당시 시대 상황에 따라 그리고 지배자(임금)의 국정운영의 편리에 따라 수시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종전 여러 임금 때에 사헌대(司憲臺). 어사대(御史臺). 금오대(金吾臺). 감찰사(監察司). 사헌부(司憲府) 등으로 불리던 기관이 고려 말 공민왕 때에는 어사대(御史臺). 감찰사(監察司). 사헌부(司憲府) 로 한 임금이 3번에 걸쳐 바꾸어 불리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