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와 대의 구분
‘조상님과 본인을 얘기할 때 代와 世를 어찌 구분 사용 하는지 궁금합니다.’라는 문의에 N님이 아래와 같이 답변을 올렸는데 이 답변은 2세=1대로 읽는 ‘이의론’으로 올린 잘못된 답변입니다.
구분된 문장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 N
【*1) 나는 고조의 `4대손`이다. = 고조는 나의 `4대조`이다.---> 이 경우 본인을 제외합니다.
나는 고조의 `5세손`이다. = 고조는 나의 `5세조`이다.---> 이 경우 본인을 포함합니다.
*이렇듯 자기를 뺀 것이 `代`이고, `世`는, 자기까지 넣어서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대로 계산하는 것이다.】
소견)
위 기술 내용은 世와 代는 다른 뜻으로 ‘2세=1대’로 읽는 ‘이의론’으로 서술된 글입니다.
‘이의론’은 해방이후에 몇몇 교수와 학자들이 주동이 되어 세와 대를 [2세=1대. 세-1=대. 세=세손. 대=대조. 상대하세 대불급신 등]의 원칙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정의를 내려 2000년 초까지 교육되어온 논지입니다.
▲[*나는 고조의 `4대손`이다. = 고조는 나의 `4대조`이다.---> 이 경우 본인을 제외합니다.
나는 고조의 `5세손`이다. = 고조는 나의 `5세조`이다.---> 이 경우 본인을 포함합니다.]
소견)
이 말은 아래와 같이 고쳐 읽어야 합니다.
“나는 고조의 4대손(=4세손)이다.” .
“고조는 나의 4대조(-4세조)이다.”
대와 세는 조상과 후손 간 기준을 1세로 하여 순번대로 헤아려 읽는 것이고 세손(=대손). 세조(=대조)는 기준(나. 본인)을 제외하고 헤아려 읽습니다.
▲ [*이렇듯 자기를 뺀 것이 `代`이고, `世`는 자기까지 넣어서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대로 계산하는 것이다.]
소견)
⇒ ‘세=대’로 같은 뜻입니다.
‘차례대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차례대로 세수를 헤아려 읽는 것이다.
자기를 뺀 것이 `代`이고, `世`는 자기까지 넣어서 계산하는 것이 아닙니다.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세=대’입니다.
代=世로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기준을 정하면 기준을 1로 하여 위로도, 아래로도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2) 같은 개념으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이유는 전자에 명시한 바와 같습니다.)
윗대를 표기할 때는 주로 `代`를 쓰고, 아랫대를 계산할 댄 `世`를 주로 사용하나, 아랫대를 계산할 때는 대와 세를 혼용한다. ~ 라는 질문이신데, 그럴 수가 없습니다. *世와 代는 엄연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단 가까운 선조(父, 祖, 曾祖, 高祖, 玄祖)에는 `世`를 쓰지 아니한다. 라는 관습적인 通常禮(통상례)가 있다고 합니다.
예] 五世祖(5세조. 高祖고조) ---> 四代祖(4대조)로 표기 사용,】
▲[*2) 같은 개념으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이유는 전자에 명시한 바와 같습니다.)
윗대를 표기할 때는 주로 `代`를 쓰고, 아랫대를 계산할 댄 `世`를 주로 사용하나, 아랫대를 계산할 때는 대와 세를 혼용한다. ~ 라는 질문이신데, 그럴 수가 없습니다.}
소견)
‘세와 대는 같은 개념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고 하나 우리 조상님들께서는 예부터 세와 대를 같은 뜻으로 사용하여 왔습니다.
해방이후(1945년)에 몇몇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어 세와 대의 논리를 세와 대는 다른 뜻이라는 ‘이의’논지를 새롭게 정의하여 지금까지 60여년을 교육하여 일반화. 관습화된 논리이나 논리 자체가 온전히 잘못된 논리입니다.
‘윗대를 표기할 때는 주로 代를 쓰고, 아랫대를 계산할 댄 世를 주로 사용하나,’라고 하였는데 이는 잘못된 주장입니다.
이를 ‘이의’논지에서는 上代下世(상대하세)라 하여 代는 위로, 世는 아래로 읽는다는 주장으로 새롭게 세와 대의 논리를 세워 알리면서 논리 전개가 안 되니 이를 말로써 정당화하려고 만들어 낸 ‘사자성어’로 된 원칙입니다.
원칙 ‘上代下世(상대하세)’를 적용하여 읽어야 하는데 ‘아랫대를 계산할 때는 대와 세를 혼용한다.’라는 말은 원칙을 위배하는 말입니다.
그러나 위이든 아래이든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혼용하여 읽고 말합니다.
▲[*世와 代는 엄연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단 가까운 선조(父, 祖, 曾祖, 高祖, 玄祖)에는 `世`를 쓰지 아니한다. 라는 관습적인 通常禮(통상례)가 있다고 합니다.
예] 五世祖(5세조. 高祖고조) ---> 四代祖(4대조)로 표기 사용,]
소견)
△ 이이록
우리나라의 유명한 각 성씨의 집안에서 조상님들께서 사용하고 족보나 문헌에 기록으로 남긴 세와 대는 같은 뜻인 ‘동의론’이 정론입니다.
기본원리는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 세(=대)로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누구를 1로 하여 위로,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 세손과 대손도 같은 뜻으로 사용하여 세손(=대손)입니다.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로 하여 순번대로 아래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 세조좌 대조도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세조(=대조)입니다.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를 1로 하여 순번대로 위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간단하게 표를 만들어 말씀드립니다.
○ 고조부 ~ 나의 계대에서 세(=대). 세손(=대손).
고조 - → 증조 - → 조 -- → 부 -- → 기(나)
35세.........36세.........37세........38세........39세 – 중시조 세수
○영.........규○..........종○........○우........상○ - 항렬
(1세).........2세..........3세..........4세.........5세
1대...........2대..........3대..........4대.........5대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3세............2세...........(1세).........2세..........3세
3대............2대...........(1대).........2대..........3대
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
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
* “고조부는 나의 4세조(나의 4대조)”이고 “나는 고조부의 4세손(=4대손)”이라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