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손(高孫)과 현손(玄孫)
문)
【고손과 현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답)
'고손(高孫)'과 '현손(玄孫)'은 같은 뜻의 낱말입니다.
손자의 손자를 일컫는 말인 '현손'은 때때로 손자에게 높다는 뜻인 '높을 고(高)'자를 쓸 수 없다고 하여 일컫는 낱말하기도 합니다.
(소견)
위의 문답에서 高孫(고손)과 玄孫(현손)은 같은 뜻이라고 하며 손자의 손자를 일컫는 말인 '현손'은 때때로 손자에게 높다는 뜻인 '높을 고(高)'자를 쓸 수 없다고 하여 일컫는 낱말이 아니고 본디 현손(玄孫)이라고 한 것이 본말인데 윗대에서 치레대로 ①高祖 – ②曾祖 – ③祖 – ④父 – ⑤己(나)로 읽을 수 있는 것을 이를 아래로 헤아려 ①己(나) - ②子 - ③孫 - ④曾孫 - ⑤ 玄孫의 차례를 읽으면 나를 기준으로 윗대로 ① 高祖이고 아랫대로는 ⑤ 玄孫으로 읽게 된다.
①高祖 – ②曾祖 – ③祖 – ④父 – ⑤己(나) . ①己(나) - ②子 - ③孫 - ④曾孫 - ⑤ 玄孫
나 에서 위로 5대가 高祖이고 아래로 5대가 玄孫이다.
현손에서 아래로 호칭이 있어 6세 내손 – 7세 곤손 – 8세 잉손 – 9세 운손이나 위로는 고조까지만 호칭이 있고 고조 위는 호
칭이 없다,
고조를 5대조라고 하는데 아래로 헤아려 읽는 4대손인 玄孫(현손)의 玄을 따서 玄祖(현조)라고 하는데 어느 유명 집안에서 고조 다음에 현조라고 기록하고 쓴 것이 쓰게 된 연유이다.
한자의 뜻에서 윗대에는 玄자를 붙여 쓰지 못하는 글자이다.
아랫대에서는 玄孫(현손)이라고 쓰지만 윗대를 말하는 玄祖(현조)라는 말은 쓰지 못하는 글이다.
그래서 아랫대 후손을 가르치는 玄孫(현손)은 쓰여도 윗대 조상을 가르치는 현조(玄祖)라는 용어는 쓰이지 않는 글이다.
내손(來孫)의 來. 곤손(昆孫)의 昆. 잉손(仍孫)의 仍. 운손(雲孫)의 雲
모두 아랫대 후손에게 쓰이는 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