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님의 제사 합치기
[1. 질문]
합제란 무엇입니까?
[답변]
합제[合祭]
파생어 : 합제하다
1 . 여러 사람의 제사를 함께 지냄. 또는 그 제사.
2 . 한데 모아 놓고 일정한 날에 두루 어울려 제사를 지냄.
원래 제사(기제사)는 돌아가신 날 자시(~이른 새벽)에 지냅니다.
본래대로 꼭 고인이 돌아가신 날 지내야 한다며 합제(=합동제사=합사)를 반대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만 현대산업사회의
원거리 분산거주, 제사 후 귀가, 익일 출근 등의 여건상 합제가 무난하다며 찬성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합제는 아버지 제사 어머니 제사를 돌아가신 날 따로 따로 지내는 것이 아니라 두 분의 제사를 한 번에 지내는 것입니다.
요즈음은 조부모 제사까지도 합제로 같이하는 집안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고조부는 양위(兩位)분을 한 번에, 증조부 양위분을 한 번에, 부모 양위분을 한 번에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2. 질문]
내년부터 두 번 제사를 한 번 제사로 합제하겠다고 조상에게 고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답변]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앞으로는 합제로 모시겠다고' 고(告)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산소에 가셔서 주과포차려 놓고 간단히 성묘제를 지내면서 말씀드리거나 차례 때나 기제사 때 제주가 술잔 올린 후 '앞으로는....'라고 말씀드리면 될 것입니다.
[3. 질문]
통합제사일(합제) 날짜 정하는 방법을 알려 주십시오.
[답변]
당연히 합제에 대해서는 전통도 없고, 어떤 규칙으로 확립된 것도 없습니다.
합제를 지내는 날짜는
① 그 중 높은 조상의 기제사날,
② 승안(생전에 뵈었던)했던 조상의 기제사날,
※ 승안 [承顔] - 웃어른을 찾아가 뵘, 찾아가 뵙다
③ 중구(음력 9월 9일), 한식날
④ 좋은 계절의 몇 월 몇째 토요일 날 등 별도로 정한 날,
⑤ 부부의 경우는 한 분의 기제사날 등에 지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4. 질문]
3월 어머니 제사와 9월 아버지 제사를 합제하려고 합니다.
언제 제사를 지내야 하나요?
[답변]
제사를 합제 할 경우 아버지 제사날로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질문]
합제 지내는 방법을 알려주십시오.
[답변]
합제 지내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째는 한 번에 한 床(상)에 合設(합설)하여 지내기도 하고 두 번째는 한 조상(부부) 제사 지낸 후 그 床(상)에 지방, 메, 갱 및 일부 음식만 새 것으로 바꿔 올리고 다른 조상(부부)의 제사를 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6, 질문]
합제 지낼 때 축문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이래 축문을 참고하세요.
아래와 같은 한자 축문이 아닌 우리 말 축문으로 제사를 모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고조부, 증조부, 조부 합제할 때
維
歲次 壬辰 二月癸丑朔 十六日戊辰 孝玄孫 ○○ 敢昭告于
顯高祖考學生府君
顯高祖妣孺人坡平尹氏
顯曾祖考學生府君
顯曾祖妣孺人江陵崔氏
顯祖考學生府君
顯祖妣孺人安東金氏
歲序遷易 顯高祖考妣 顯曾祖考妣 顯祖考妣合祭 諱日復臨
追遠敢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維
歲次 壬辰 二月癸丑朔 十六日戊辰 孝玄孫 ○○ 敢昭告于
顯高祖考學生府君
顯高祖妣孺人坡平尹氏
以下直系祖妣
歲序遷易 顯高祖考妣 以下直系祖妣合祭 諱日復臨
追遠敢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 부모님을 합제할 때
維
歲次 壬辰 二月癸丑朔 十六日戊辰 孝子 ○○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顯考妣孺人旌善全氏
歲序遷易 顯考妣合祭 諱日復臨
追遠敢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孝玄孫은 모시는 조상에 따라 바뀝니다.
* 나 1세 – 아들 2세[孝子] - 손자(孫子) 3세[孝孫] - 증손(曾孫) 4세[孝曾孫] - *고손(高孫) ✖ 현손(玄孫) 5세[孝玄孫]- 내손(來孫)6세– 곤손(昆孫)7세– 잉손(仍孫)8세– 운손(雲孫) 9세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9세
.....기,,,,,,,자,.....손.......증손....현손....내손....곤손...잉손....운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