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호칭. 지칭 – 5

녹전 이이록 2025. 2. 19. 08:01

호칭. 지칭 5

 

여러 가지 호칭 지칭과 옛날에 많이 사용하였던 용어를 풀이한 글입니다.

좋은 글이기에 복사하여 올립니다.

 

* 처백모 ; 아내의 백모(伯母)

* 처백부 ; 아내의 백부(伯父). 장인의 맏형

* 처수(妻嫂) ; 처남의 아내. 처남댁.

 

* 처숙모(妻叔母) ; 아내의 작은 어머니

* 처숙부(妻叔父) ; 아내의 작은 아버지

* 처제(妻弟) ; 아내의 여동생

 

* 처조모(妻祖母) : 아내의 친정 할머니. 장조모

* 처조부(妻祖父) ; 아내의 친정 할아버지

* 처조카 : 처남의 아들. 처질(妻姪)

 

* 처질부(妻姪婦) ; 처질의 아내

* 처질서(妻姪壻) ; 처질녀의 남편

* 처질녀 ; 처남의 딸

 

* 처형(妻兄) ; 아내의 언니

* 춘부장(春府丈) ; 남의 아버지를 높여서 일컫는 말. 9살아계시는 경우만 사용)

* 춘장(椿丈) ; 춘부장과 같은 말. 춘당(春堂)

 

* 큰댁 ; 큰집의 높임말

* 큰아버지 ; 아버지의 맏형. 아버지의 둘째, 셋째형도 째 큰아버지라고 일컫기도 함.

* 큰집 ; 아우나 그 자손들의 맏형이나 그 자손의 집을 일컫는 말

 

* 함씨(咸氏) ; 남의 조카를 높여서 일컫는 말

* 함자(銜字) ; 남의 이름을 높여서 일컫는 말

* 합부인(閤夫人) ; 남의 아내를 공경해서 일컫는 말

 

* 현손(玄孫) ; 고손(高孫) -  4대손

* 형부(兄夫) ; 언니의 남편. 처제가 일컫는 말. 서로 공대말을 씀

* 형수(兄嫂) ; 형의 아내. 형수님 혹은 아주머니, 아지매라 호칭함

 

* 휘자(諱字) ; 돌아가신 분의 이름. ()

* 친족(親族) ; 촌수(寸數)가 가까운 일가(一家)로서 사종(四從) 10()이내를 말함.

(자기성과 같은 성)

* 친척(親戚) ; 친족(親族). 고종(高宗).외종(外從).이종(姨從) 등 근래(近來)에는 처가(妻家)도 포함(包含)하는데 성()이 다른 가까운 척분(戚分)

 

* 족친(族親) : 유복친(有服親)안에 들지 않는 일가(一家).(촌수가 먼 사람)

* 척족(戚族) ; 매가(妹家) 처가(妻家)의 친족(親族)을 말함.

* 척의(戚誼) ; 혼인(婚姻) 관계(關係)로 맺어진 정의(情意)

* 종친(宗親) ; 한 일가(一家)로서 유복친(有服親) 안에 들지 않는 일가붙이.

 

호기

여동생의 아들은 '생질(甥姪)'이라고 하며 자기 남동생의 아들은 '조카'라고 합니다.

 

아라

'조카'라고 불러요.

 

산시

질문자님이 남자라면 누나나 여동생의 아들은 생질이라고 하고 부를 때는 조카라고 하면 됩니다.

동생이나 형의 아들은 질(조카)이라고 하고 부를 때는 조카라고 하면 됩니다.

요즘은 이런 구분을 잘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