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교와 예절 - 2
좋은 내용이기에 복사하여 올립니다.
문 10) 結婚(결혼)이란 말은 婚姻(혼인)의 誤記(오기)가 아닌지?
답) 현재에는 일반적으로 결혼이란 용어를 쓰는데 결혼보다 혼인이란 용어가 더 정확한 용어이다.
즉 결혼이란 ‘맺을 結’과 ‘장가들 婚’으로 남성 위주의 用語(용어)이지만, 혼인이란 ‘장가들 婚’과 ‘시집갈 姻’으로 남녀가 장가가고 시집간다는 의미가 포함된 의미이다.
따라서 헌법이나 민법에는 모두 혼인, 혼례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혼인으로 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 13) ‘四祖’ 와 ‘五宗’이란 각각 어디를 이르는 말인지?
답) ‘四祖’란 父. 祖. 曾祖. 外祖로 주로 科擧를 볼 때 응시자의 身分과 門閥을 확인하기 위해 명함 란에 기록 봉함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五宗’이란 高祖. 曾祖. 祖, 子. 孫으로 되어 있다.
문 14). 儒敎의 崇仰 聖人 중 四聖과 宋朝六賢은 누구인지?
답) 四聖 -> 顔子. 曾子. 子思. 孟子.
宋朝六賢 -> 周惇頤. 程顥. 程頤. 邵雍. 張載. 朱熹
문 11) 兄弟 姉妹의 配偶者 칭호는?
답). * 아주머니, 형수님 : 시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 아주미, 아지미 : 집안 어른에게 형수를 말할 때
(형수를 아주미, 아지미라 하지 말고 아내가 형을 아주버니라고 부르니 시동생을 ‘아주미’라 부르고 시누를 ‘아지미’라 부르면?)
* 형수 : 남에게 자기의 형수를 말할 때
* 제수씨, 수씨 :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 제수 : 집안 어른에게 제수를 말할 때
* 언니(올케) :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 올케, 새댁, 자네 :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 ㅇㅇ댁 :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 매부 : 자매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 자형, (매형)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 ㅇ서방, 자네 : 누이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 매제 : 누이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 형부 : 여동생이 여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 ㅇ서방 : 여형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一部 地方 ; 弟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