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빙부와 빙모 - 2
◈ 옛글
▲ 정약용의 아언각비 내용을 참고바랍니다.
[雅言覺非 卷二 聘君
聘君者。徵士也。朝廷以玉帛聘之。故謂之聘君。南史陶季直。澹於榮利。徵召不起。號曰陶聘君。聘君者徵君也。朱子娶令人劉氏。劉氏之父。亦本 徵士。故朱子稱之曰劉聘君。東人錯認。遂以妻父爲聘君。又轉爲聘父。以妻母爲聘母。轉輾詿誤。一至是矣。今人或問其義。解之者曰壻之娶也。玄纁以聘之。故禮曰聘則爲妻。奔則爲妾。旣云妻父。豈非聘父。斯又曲爲之說也。丈人丈母。亦俗稱。宜從爾雅呼之曰外舅外姑。]
- 아언각비 권2 빙군
빙군(聘君)이란 것은 선비를 부름이다.
조정에서 옥(玉)과 비단으로 <신하를>초빙하였기 때문에 빙군이라 일컬었다.
<중국의 역사책인>[남사(南史)]에 “도계직(陶季直)은 영리(榮利)에 담백하여 초빙하여도 나아가지 않았으므로 ‘도빙군’이라고 이름 하였다. 빙군이란 징군(徵君)을 이름이다.” 하였다.
주자께서 영인 유씨에게 장가들었는데 유씨의 아버지도 본래 징사(徵士)였다.
그러므로 주자께서 유빙군(劉聘君)이라고 칭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착오로 마침내 처(妻)의 아비를 빙군이라 하였고, 변화하여 빙부(聘父)라고 불렀으며 처의 어미를 빙모라고 불렀다.
전전(轉輾)하여 잘못 와전되어 한결같이 이 지경에 이르렀다.
요즘 사람들은 그 뜻을 물으면 해석하는 사람이 말하기를 “사위가 장가들 때, 현훈(玄纁 :검은색과 분홍색)의 폐백으로 <예를 갖춰 여자를> 초빙한다.
그러므로 ‘예에 이르기를 예를 갖춰 초빙하면 처(妻)가 되고 예를 갖추지 않고 시집오면 첩(妾)이 된다.’하였으니, 이미 처의 아버지라고 말하니 어찌 빙부가 아니겠는가?” 라고 하는데, 이는 왜곡하여 만든 말이다.
장인(丈人)이니 장모(丈母)니 하는 것도 속칭이니 [이아(爾雅)]에 근거하여 외구(外舅), 외고(外姑)라고 부르는 것이 마땅하다.
빙군(聘君)과 징사(徵士)는 흔히 과거시험에 의한 등용이 아닌 포의(布衣)로 초야에 묻혀 있는 학덕 높은 선비를 불러들여 기용(起用)하는 것을 의미한다.
* 위 아언각비의 글에서는 [처(妻)의 아비를 빙군이라 하였고, 변화하여 빙부(聘父)라고 불렀으며 처의 어미를 빙모라고 불렀다.]라고 하였으니 빙부, 빙모는 아내의 아버지, 어머니를 사위가 칭하는 말입니다.
▲ 백사공(백사 이항복)의 [논 난후 제장 공적(論亂後諸將功績)]
선조임금 때 백사공(휘 항복)께서 찬한 [논 난후 제장 공적(論亂後諸將功績)]의 글에 [權聘君甞言於余曰(권빙군 상어어여왈 - 권빙군이 일찌기 나에게 이르기를)]이라 하였다.
- 백사공(이항복)의 장인이 권율장군이니 백사공이 장인인 권율장군을 ‘권빙군(權聘君)이라 칭한 것입니다.
* 이처럼 처(妻)의 아비를 빙군(聘君)이라 하였고, 변화하여 빙부(聘父)라고 불렀으며 처의 어미를 빙모(聘母)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의 풀이에서는 빙모(聘母)는 나의 장모가 아닌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으니 이는 잘못된 풀이로 사용에 혼란이 옵니다.
아래의 여러 사전의 뜻풀이를 찾아보았습니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빙부(聘父) 「명사」 빙장(聘丈)
▲ 빙장(聘丈) 「명사」 *다른 사람의 장인(丈人)을 이르는 말. ≒빙부
▲ 빙모(聘母) 「명사」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이르는 말.
◈ 어학사전 (daum)
▲빙모(聘母)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이르는 말.
▲ 빙부(聘父) 아내의 아버지.
▲ 빙장(聘丈) *다른 사람의 장인을 이르는 말
◈ 漢韓大辭典(장삼식저)
▲ 빙부(聘父) 丈人
▲ 빙장(聘丈) 아내의 아버지. 丈人. 外舅. 岳丈
▲ 빙모(聘母) 아내의 어머니. 丈母. 外姑. 岳母
◈ 동아새국어대사전(이기문편저)
▲ 빙장(聘丈) 장인의 높임말.
▲ 빙부(聘父) 丈人
▲ 빙모(聘母) 丈母
◈국어대사전(양주동 감수)
▲ 빙모(聘母) 丈母
▲ 빙부(聘父) 丈人
▲ 빙장(聘丈) 남의 장인(높임말)
* ‘빙장’만 ‘남의 장인’을 높여 부를 때 사용되는 것으로 풀이.
◈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부산역사문화대전(분야 : 구비 전승· 언어· 문학)
정순이의 「청춘가」
청청하늘에 잔별도 많고요/ 요내야 내가슴 속에 [좋다!] 수심이 많구나// 우연히 저달이 창밖에 비춰서/ 산란한 내마음 [좋다!] 산란하노라// 천길만길을 뚝 떨어지기 살아도/ 빙모님의 딸 떨어지곤 [좋다!] 내몬사리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학입격안(籌學入格案)
연산군 4)부터 1783년(정조 7)까지, 권2는 1784년(정조 8)부터 1888년까지의 주학(籌學, 算學) 합격자 명단이다.
내용은 산사합격자의 성명· 직위, 부· 조부· 빙부의 직분에 관한 기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처음 부분에는 직분의 기록탈락이나 잡과 출신이 아닌 경우도 약간 눈에 뜨인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염제신 초상 전 공민왕 필염제신상(廉悌臣肖像)
나주의 금강서원에 옮겨 봉안하였으나 그 뒤 보관 상태가 좋지 못하여 종가에서 소장해 왔다고 한다.
내용 그림을 그린 작자는 미상이나 염제신이 공민왕의 빙부(장인, 염제신의 딸이 신비(愼妃)임)였기 때문에
◈ 위키백과
정극상 - 정 왕국의 마지막 왕이다.
연평문왕 정경(延平文王 鄭經)의 서자(庶子)로 출생한 그는 정왕국의 거물급 고명대신 풍석범(馮錫範)의 딸과 결혼하였다.
빙부 풍석범은 이복 형 정극장의 왕위 계승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는데 풍석범 일당이 정극장을 음모로 살해한 후 왕으로 등극하여 연평군왕(延平郡王)의 자리...
◈ 정약용 선생의 '아언각비'에서 주자의 부인이 영인 유씨로 주자가 장인을 유빙군(劉聘君)이라 하였고 선조 임금 때 백사 이항복의 '논 난후 제장 공적'에서 장인인 권율장군을 권빙군(權聘君)으로 칭한 기록으로는 장인. 장모와 빙장. 빙모는 같은 말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다른 사람의 장인, 장모를 높여 빙부, 빙모라고 한다고 풀이된 사전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과 daum의 ‘어학사전’ 그리고 양주동 감수 ‘새국어사전’ 정도이고 그 외 대부분의 사전이나 표현된 문장에서는 빙부. 빙모의 쓰임은 아내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가리키는 장인과 장모와 같이 쓰이는 말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빙부’와 ‘빙모’는 남의 장인과 장모의 높임말이 아니고 ‘ 아내의 아버지와 어머니인 장인과 장모의 높임말로 쓰입니다.
살펴 보건데 많은 블로그나 카페의 빙부와 빙모의 뜻풀이인 ‘다른 사람의 장인. 장모를 이르는 말’로 풀이된 것은 대체로 일반 독자들이 접하기 쉬운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 어학사전 (daum)의 뜻풀이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표준국어대사전과 어학사전의 뜻풀이는 잘못된 해석입니다.
▲빙장(聘丈) 「명사」 다른 사람의 장인(丈人)을 이르는 말. ≒ 빙부
▲빙모(聘母) 「명사」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이르는 말.
위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과 ◈ 어학사전(daum)의 뜻풀이는 수정하여야 합니다.
위 정약용의 「아언각비」의 빙군. 이항복의 「논난 후 제장 공적」의 빙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학입격안(籌學入格案)」의 빙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필염제신상(廉悌臣肖像)」의 빙부. 위키백과 「정극상」의 ‘빙부’의 쓰임으로 보아 빙부와 빙모는 나의 장인과 장모를 이르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