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4世, 4世祖, 4世之祖의 뜻 – 8

녹전 이이록 2023. 11. 28. 08:12

4, 4世祖, 4世之祖의 뜻 – 8

 

3. 그런데 異義(이의)’ 주장은

 

1) 언어의 쓰임도 잘 모르고 함부로 쓰고 있습니다.

 

이 말은 () = 世祖(세조) = 世孫(세손)’을 같은 뜻으로 읽고 있습니다.

 

각 낱말의 뜻과 쓰임이 다른데 上代下世(상대하세)를 적용하여 읽도록 논리가 위와 같이 읽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이의논리라면 잘못된 논리입니다.

 

현조부(=5대조)1세손으로 읽어야 하고 나를 ‘6세조로 읽는 우매함을 보이고 있습니다.

 

1세인 현조부(5대조)에 자리매김하여 1세손으로 읽고 6세인 나에게 자리매김하여 ‘6세조로 읽으니 이런 논리가 어디에 있을까요?

 

2) 수리적 수치 면에서 잘못 읽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수학적 이치도 모르고 함부로 1世孫(1세손). 6世祖(6세조)를 읽는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현조부가 5대조부가 1세조이고 나를 6세조로 읽으니 이는 앞뒤를 바꾸어 읽었다는 뜻입니다.

 

동義(동의) 논리로는 나를 기준으로 나의 바로 윗대인 아버지가 1세조이고 *현조부님이 5세조 (5대조부)가 됩니다.

 

그런데 이의주장에서는 나에게서 가까운 조상은 작은 수로 읽고 먼 조상은 큰 수로 읽고 있습니다.

 

나에게서 가까운 조상은 아버지이고 그 다음은 할아버지 그 다음은 증조부. 고조부 순입니다.

 

그러면 아버지가 1세조. 할아버지가 2세조. 증조부님이 3세조 등으로 나에게서 가까운 조상님이 작은 수이고 나에게서 멀어지는 조상님이 큰 수로 읽어져야 합니다.

 

그러니까 현조부(5대조)1세조로. 나를 6세조로 거꾸로 읽고 있다는 말씀입니다.

 

3) 도덕적 면에서 용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꼴입니다.

 

*현조부님을 (5대조) 世孫(세손)’으로 읽고 나를 世祖(세조)’로 읽는 것이 용어를 잘못 읽고 있다는 말입니다.

 

어떻게 *현조부님 (5대조) 에게 世孫(세손)’이라는 용어를 붙여 1世孫(1세손)으로 읽어야 합니까?

 

주어진 계대에서 맨 윗대인 5대조 할아버지에게 어떻게 世孫이라는 어휘를 붙일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나에게는 6世祖로 읽어 世祖(세조)’라는 어휘를 붙여 읽는데 나에게 어떻게 조상님을 가리키는 용어 世祖(세조)’라는 말을 할 수 있는지요.

 

도덕적으로 쓸 수 없는 낱말을 함부로 구사하고 있는 것이 異義(이의)’ 주장입니다.

 

정리하면 同義(동의) 논리는 어떤 물음에도 논리가 정연하여 바른 답이 가능하지만 異義論(이의론)’은 잘못된 논리가 많아 우왕좌왕입니다.

 

제일 좋은 실 예가 上代下世(상대하세) 의 사자성어입니다.

 

무엇한다고 이 원칙을 만들어 이의론을 더 혼란스럽게 만들어 놓았는지 모르겠습니다.

 

문제 해결에 필요하여 上代下世(상대하세)란 말을 만들어 쓰긴 썼는데 이것을 다른 내용에 적용시키려니(적용시키지 않을 수도 없고) 논리가 막히는 모양새가 되었습니다.

 

과거 보학에서는 없는 말들로 1950~ 1870년 사이에 이의론논리가 대세를 이룰 때 쓰이든 말입니다.

 

그로 보면 근래에 세와 대는 이의논리를 설명하려고 만든 것입니다.

 

여하간 두 논리의 기본원리가 同義(동의)‘1=1`인데 異義(이의)‘2=1로 처음부터 를 읽는 방법이 달랐기 때문에 각각 갈 길이 달랐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