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世와 代 - 1

녹전 이이록 2023. 8. 3. 14:51

- 1

 

유명 사이트의 게시판에 아래와 같은 좋은 문의와 유명인의 답변이 있어 복사하여 올립니다.

 

족보에 쓰인 는 다른 뜻인가요?

 

다름이 아니오라 여기 게시판을 들어가 보면 족보에 관한 말씀으로 가득하거든요.

 

그런데 가 그렇게 어려운 글자인지는 몰라도 항상 그 말이 그 말인듯 한데 그칠 줄을 모르고 자고 나면 또 그 말이 지속되고 있는 것 같아 퍽이나 혼란스럽습니다.

 

족보에 쓰인 는 같은 뜻이라 배워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이의(異義)란 무슨 뜻이며 같은 뜻이라면 그 근거를 알 수 없을까요.

 

동의(同義)라 하는 것도요.

 

저 뿐이 아니라 여러분들이 대단히 혼란스러울 것 같습니다.

 

답변)

 

조아

 

우리나라 玉篇(옥편)의 근본은 康熙字典(강희자전)으로 그 내용에서 발췌 우리말로 옮겨 편집하게 되는데 만약 편집자가 康熙字典(강희자전)에 수록되지 않은 의미를 고전 등에서 발견되면 그 전거에 의하여 추가 첨입 수록은 하나 임의로 변경 또는 삽입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고로 族譜(족보)에서 系代(계대) 표시로써 ()()同義(동의)일 뿐이지 어떠한 경우에는 異義(이의)라 함이 康熙字典(강희자전)은 물론 국내 어느 玉篇(옥퍈)에도 없습니다.

 

특히 漢字(한자)의 풀이는 玉篇(옥편, 康熙字典강희자전)의 풀이에 의할 뿐이지 누구라도 임의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 ‘世祖(세조)=代祖(대조)’. ‘世孫(세손)=代孫(대손)’이라는 공식이 성립될 뿐입니다.

 

다만 극히 상식적인 문제인 (. ()祖孫(조손)을 헤아릴 때 자기의 포함 여부인데 어렵게 끌고 나가다 보니 혼란스러운 것입니다.

 

(. )는 당연히 자기가 포함되어야 系代數(계대수)가 맞고, 祖孫(조손)의 계산에서는 자기 스스로가 자기의 ()()이 될 수 없으니 포함치 않아야 함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입니다.

 

소산

 

한 가지 더 가르쳐 주세요.

 

상대하세란 무슨 말인가요.

 

조아

 

上代下世(상대하세)’란 의미는 글자 그대로 系代(계대)에서 위로는 ()라 칭하고 내려는 (), 즉 이를테면 始祖(시조)에서 내려 칭할 때는 一世(1). 二世(2) 등등으로 칭하고 위로는 五代祖(5대조). 六代祖(6대조) 등등으로 칭한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이를 바꿔 표현한다면 내려는 ()라 칭하지 않고 올려는 ()라 칭하지 않는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런 이론을 일러 ()()異義(이의)라 이르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이론을 주장한다면 그 이론을 학문적 전거로 입증하여 정당화시킬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형이

 

물으신 上代下世(상대히세)’는 단순히 나의 위로는 代祖(대조), 나의 아래로는 世孫(세손)”으로 칭하자는 견해입니다.

 

한때 老石(노석, 呂九淵여구연) 선생이 논어와 맹자를 들어 이런 주장을 한바 있으나, 소위 (는 다르다는) 異義(이의)와는 또 다른 논리입니다.

 

참고로 혹자들의 異義(이의)(‘世不及身세불급신은 없다면서) 는 나를 포함하고, 代不及身(대불급신)’이라 하여 나를 빼고 헤아린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는 본시 同義(동의)이므로 異義(이의)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논리입니다.

 

성균관이 과거 이를 공표하여 혼란을 야기했었으나, 이미 철회한지 오래입니다.

 

소위 異義(이의)로서 代不及身(대불급신)’일 경우, 代數(대수)의 헤아림에서 (마이너스) 1대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축문에서) “顯五代祖考某府君(5대조고 모부군), 孝六世孫某敢昭告于(6세손 모감소고우라고 해야 합니다.

 

그러나 5대조이면, 5대손일 뿐입니다.

 

조아

 

孟子(맹자)에는 그런 글귀가 없으니 누구라도 찾을 수가 없기에 취소하였고 石見樓(석견루. 老石노석)老石(노석)의 오류이며, "[孟子有曰後世無傳焉是後世乃下世也 又曰君子之澤五世而斬是五世亦下世也 上則謂之代而下則謂之世也 是所謂上代下世也]" 이에 이 [ ] 표시란 괄호 내는 모두 맹자의 말씀이란 표시가 아닌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