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의 형제 호칭
아버지 형제가 5명인데 그중 아버지는 제일 막내입니다
그러면 제가 아버지의 제일 큰형님, 둘째형님, 셋째 형님, 넷쩨 형님을 호칭할 때 네 분 모두 큰아버지라고 하나요? 아니면 맏형님만 큰아버지고, 둘째, 셋쩨, 넷쩨의 호칭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 코라
모두다 큰아버지라고 부르셔야 합니다.
아버지의 동생분이 계시다면 작은 아버지라 부르셔야 하구요
△ 맞이냥
옛날에는 그럴 때 사용하는 호칭이 있긴 했습니다.
큰 아버지를 '백부', 그다음 큰아버지를 '중백부'로 말이죠...
하지만 요즘은 이런 호칭을 쓰지도 않고 정해진 호칭도 없습니다.
보통은 가장 큰아버지를 '큰아버지', 그다음은 '둘째 큰아버지', 그다음은 '셋째 큰아버지',...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니면 큰아버지들이 지내시는 곳이 각각 다른 경우, '대구 큰아버지', '부산 큰아버지',... 이런 식으로 부르셔도 될 것 같네요...^^
△ 아주풀
큰아버지
둘째큰아버지
세째큰아버지
넷째큰아버지
라고 부르면 됩니다.
△ 시산
옛날에는 백, 맹, 중, 숙, 계 이런 식으로 차례대로 붙였습니다.
요즘은 이런 호칭을 쓰지 않습니다.
첫째는 그냥 큰 아버지라고 부르시면 됩니다.
둘째부터는 숫자를 붙여 '둘째 큰아버지'라는 식으로 부르셔도 되고
사는 지역이 다르다면 둘째부터는 지역 명칭을 붙여도 됩니다.
내당동 큰아버지, 신매동 큰아버지.....
가장 무난한 것은 둘째부터는 숫자를 붙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부르는 것은 큰아버지들께서 함께 계실 때 구분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대일로 부를 때는 그냥 큰아버지라고 하면 됩니다.
형제들도 일대일로 만나서 부를 때는 형 또는 형님이라고 하지, 둘째 형님이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 호기
아버지의 형제가 여러 명인 경우
첫째는 '큰 아버지', 둘째는 '작은 아버지', 셋째는 '셋째 아버지',
넷째는 '넷째 아버지'식으로 부르시면 됩니다.
△ 뿌리
우리나라는 장자(長子) 즉 장남 우선의 원칙이 있읍니다.
그리 하여 큰집( 장남이 사는 집), 큰아버지등 큰자는 오직 장남 한분에게만 쓰게 됩니다.
아버지의 형님이라도 장남을 제외한 다른 분들은 전부 작은 아버지가 됩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다시 택호(宅號)를 부르게 됩니다.
즉 안동으로 장가를 가셨으면, 안동이 택호가 되며, 부산으로 장가를 가셨으면 부산이 택호가 됩니다.
즉 결혼 당사자인 부인의 친정 즉 그분의 처가의 고장이 택호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 하여 택호를 앞에 붙혀서, 00작은 아버지 혹은 00아재등으로 호칭을 하게 됩니다
코라 님, 맛이냥 님, 아주풀님, 산지님, 홀기님,
님들의 답변이 그냥 막연한 님들의 개인 적인 생각이십니까?
아니면 예서에 기록이 되어 것입니까?
기록에 근거를 하신다면 예서를 가지고 저와 토론을 하실 의사가 있으십니까?
저는 언재라도 예서를 준비하여 놓고, 님들의 토론에 응하겠습니다.
이곳에 질문을 올리시는 분들에게 진심으로 정확한 우리의 전통예법에 의한 정확한 답변을 해 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따르고, 따르지 않는 것은 질문하신 분들의 몫이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답변을 하시는 분들께서 근거없는 막연한 개인의 생각을 답변으로 올려놓으시면, 질문을 하시는 분들은 그 불분명한 답을 진실이라고 믿게 될 것이고,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답변 하시는 분들의 가족들이 님들의 답변과 같이 불분명한 답변을 진실로 믿게 된다고 생각하시고 다시 한 번 심사숙고 하여 답변을 올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국립국어원" 이나 "최훈영의 언어교실"을 검색하여 보시면 우리의 전통언어 예절에 대하여 잘 나와 있으니 질문하시는 분들이나, 답변하시는 분들은 모두 참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 뿌리님의 게시 글에 대한 추가질문입니다.
큰집과 작은집에 대한 질문입니다
장남의 집을 큰집이라고 부르는데 2남, 3남, 4남의 집을 5남이 부를 때 어떻게 합니까?
가장 막내이니까 2, 3, 4남의 집을 모두 큰집이라고 칭해야 하는지?
아니면 2,3,4남의 집을 전부 2,3,4째 작은 집이라고 칭해야 하는지?
의견이 한쪽은 모두 큰집이라고 칭해야 된다하고 다른 쪽은 장자의 집을 제외하곤 모두 작은집이라고 칭해야 된다고 하는데 정확한 근거에 의한 답변 부탁합니다.
답변)
△ 풀뿌리
큰집 즉 장남의 집만 큰집이라고 합니다.
2째, 3째, 4재, 5째 분들은 모두 작은 집이 되며, 작은아버지라고 호칭을 합니다.
혼란을 막기 위하여 여러 형제분들일 경우 둘째가 안동으로 장가를 가고, 셋째가 서울로 장가를 가고, 넷째가 부산으로 장가를 같을 경우 안동 작은아버지, 서울 작은 아버지, 부산 작은 아버지 등으로 택호를 호칭으로 하시게 됩니다.
△ 이이록
국립 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큰아버지’와 ‘작은아버지‘의 뜻풀이입니다.
◈ 큰아버지 [Ⅰ] 「명사」
「1」 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을 이르는 말. ≒ 백부.
「2」아버지의 형을 이르는 말.
여럿이 있을 때에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 등과 같이 이른다.
◈ 작은 아버지 [Ⅰ] 「명사」
아버지의 남동생을 이르는 말. 주로 기혼자를 가리킨다.
여럿이 있을 때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 셋째 작은아버지 등과 같이 이른다. ≒숙부(叔父)ㆍ숙숙(叔叔)ㆍ제숙(弟叔).
○ 아버지 형제가 5형제이고 아버지가 5남일 때
중국 한자 호칭과 우리말 호칭으로 아래의 표와 같이 읽고 말을 해야 합니다.
할아버지
┃
장자 ― ― ― ― 차자 ― ― ― ― 3자 ― ― ― ― 4자 ― ― ― ― 5자
백부...................중부...................중부..................중부.................부
(伯父)................(仲父)..................(仲父)...............(仲父)................(父)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셋째 큰아버지....넷째 큰아버지...아버지
서울...................울산...................인천..................대구.................부산
..................................................................................................나
○ 아버지께서 6형제 중 4남일 때
할아버지
┃
장자 ―― ―― 차자 ―――― 3자 ― ― ― 4자 ― 5자 ― ― ― ― 6자
백부................중부..............중부..............부.......숙부.................계부
(伯父)..............(仲父)............(仲父)...........(父)......(叔父)...............(季父)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 아버지.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작은아버지
서울.................울산................인천.................부산......대구..................광주
.....................................................................나
우리말로 나타내는 큰아버지. 작은 아버지는 어떻게 구분되고 호칭하는가?
우리말에서는 ‘큰’이라는 뜻은 기준보다 ‘크다’라는 의미로 아버지를 기준으로 나는 아버지의 형들을 ‘큰아버지’로, 아버지의 동생들을 ‘작은아버지’라고 통칭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마 답변 중 [큰집 즉 장남의 집만 큰집이라고 합니다. 2째, 3째, 4재, 5째 분들은 모두 작은 집이 되며, 작은아버지라고 호칭을 합니다.]라는 글은 아래의 글에서 얻은 자료로 보입니다.
◈ S 교수
【*3형제일 경우 伯(백) · 仲(중) · 季(계)로 4형제일 경우 伯(백) · 仲(중) · 叔(숙) · 季(계)로 표현하였다.
백(伯)은 맏이로 백형(伯兄)은 큰형, 백부(伯父)는 큰아버지가 된다.
중(仲)은 둘째이고 숙(叔)은 셋째이며 계(季)는 막내가 된다.
백부(伯父)는 형제 중 제일 맏이로 한 분밖에 붙일 수가 없다는 것이니 우리말 용어로는 ‘큰아버지’이다.
백부(伯父)는 世父(세부)라고 칭하고 백모(伯母) 역시 世母(世母)라고 칭하는데 이는 대(종통)를 잇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큰아버지’는 아무에게나 붙일 수 있는 칭호가 아니다.
그러면 다섯째 분의 자제라면 큰아버지(백부)와 중부를 제외한 아버지의 셋째와 넷째 형은 아들인 내가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이 경우 백부(伯父)와 중부(仲父)를 제외한 모든 분들에게는 숙부(叔父)라는 칭호가 붙여진다.】 라는 글이 있습니다.
한자어로 ‘백부(伯父)는 큰 아버지 한 분 뿐입니다.’ . ‘백부(伯父)와 중부(仲父)를 제외한 모든 분들에게는 숙부(叔父)라는 칭호가 붙여진다.’는 글에서 큰아버지를 제외한 아버지의 형들을 일러 모두 ‘작은아버지’라고 해야 한다고 하는 내용과 '백부는 큰아버지 한 분 뿐이다.'라는 말이 널리 알려져 아버지의 둘째, 셋째 형을 '작은 아버지'로 불러야 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말로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풀이하였듯이 아버지의 형들이 두 명이든 세 명이든 우리는 모두 ‘큰아버지’라고 합니다.
다만 큰 아버지가 여러 명일 때 첫째. 둘째. 셋째 큰아버지로 쉽게 구분하거나 서울. 부산. 대구 등 지역 명을 넣어 구분하여 호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