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호칭. 항렬자

녹전 이이록 2023. 3. 7. 08:00

호칭. 항렬자

 

아래와 같은 내용의 글이 있어 복사하여 올립니다.

 

3. 호칭(呼稱)

 

시조(始祖)1로 해서 자기까지 내려온 世數(세수)에 작명에 주어지는 글자를 行列(항렬)이라 한다.

 

항렬이 같은 사람끼리는 동항(同行)이라고 하여 형제 뻘이 되고, 일세(一世) 위는 숙항(叔行), 이세(二世)위는 조항(祖行)으로 할아버지뻘이 된다.

 

밑으로 일세(一世) 아래가 질항(姪行; 조카뻘), 이세(二世) 아래는 손항(孫行)이다.

 

친인척을 통틀어 같은 항렬 간에는 서로 [형님] [아우님], 숙항과 질항 간에는 [작은아버지] [큰아버지] [아저씨] [조카] [질녀]로 부르지만 10년 이상 연상인 조카는 [조카님] 또는 사회적 직위를 부른다.

 

조항과 손항간은 [할아버지] [손자]로 부르지만 8촌이 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대부][대모]라고 부른다.

 

시댁에서 첫 명절을 맞는 새댁일 경우 시댁 식구를 부를 때 호칭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시부모 등 웃어른 앞에서 남편을 부를 때 출산 전에는 [그이]가 무난하고 아이가 있을 때는 [아무개 *아비 전에는 아무개 아비라고 했으나 지금은 누구 아빠’ , ‘누구 아버지로 부른다.

 

남편 형제에게 남편을 말할 때는 시동생에게는 [형님] 시누이에게는 [오빠]로 부른다.

 

남편의 형은 [아주버님], *남동생은 [*도련님] 또는 [*서방님], 남편의 누님은 [형님], 여동생은 [*작은아씨]가 알맞다.

 

*남에게 말할 때는 [시아주버니] [*시숙 ] 또는 [시동생] [시누이] 이다.

 

이외의 호칭은 남편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부르면 된다.

 

[시부모 등 웃어른 앞에서 남편을 부를 때 출산 전에는 그이가 무난하고 아이가 있을 때는 아무개 아비로 부르면 된다.]

 

소견)

 

아이가 있을 때는 아이의 이름을 따서 아무개 아빠’ . ‘아무개 아버지로 부르게 된다.

 

아비라는 말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남편의 형은 아주버님’, 남동생은 ‘*도련님또는 ‘*서방님’, 남편의 누님은 형님’, 여동생은 ‘*작은아씨가 알맞다.]

 

소견)

 

남편의 형 ---- 남편의 누나 ---- 남편 ---- 남편의 남동생 ---- 남편의 여동생

................................................ ( )

아주버님........형님(큰 아씨)......( ).......도련님. 서방님. 삼촌...작은 아씨

 

*남편의 남동생은 [도련님] 또는 [서방님] 삼촌. 시동생

 

근래에는 남편의 동생에게 존칭인 도련님또는 서방님이라고 호칭하지 않는다,

 

*여동생은 [작은아씨] ⇒ 〇〇(이름)동생. 시누이

 

[*남에게 말할 때는 [시아주버니] [시숙] 또는 [시동생] [시누이] 이다.]

 

- 남편의 형은 시형’ . ‘아주버님’ . ‘시아주버니

 

*시숙(媤叔) : 중국한자는 뜻글자로 글자대로 해석한다면 시숙은 시댁의 작은아버지이다.

어떻게 남편의 형을 시숙이라고 하는가?

 

4. 항렬자(行列字)와 촌수

 

항렬, 代數대수), 世數(세수)상의 서열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름 속에 넣는 돌림자(오행상생의 원리에 따라 종친회에서 미리 정하여 족보에 올려놓는다.

 

그래서 호적상의 법률상 이름과 족보상의 사실상 이름이 다른 경우가 많다.

 

동항(同行) : 자기와 같은 항렬, 즉 형제자매 뻘의 항렬. 짝수 2. 4. 6. 8...

 

손항(孫行) : 손자와 같은 항렬, <짝수 차(*직계 2촌뻘) 항렬 라인>- 직계 1(아버지)외는 촌수로 말하지 않는다.

 

숙항(叔行) : 아버지와 같은 항렬, <홀수차(*직계 1촌뻘) 항렬 라인>

 

조항(祖行) :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 <짝수차(*직계 2촌뻘) 항렬 라인>- 직계 1(아버지)외는 촌수로 말하지 않는다.

 

질항(姪行) : 조카와 같은 항렬, 즉 자녀 뻘 항렬<홀수차(직계 1촌뻘) 항렬 라인>

 

*나의 직계조상은 아무리 오래되어도 1촌으로 계산한다.

 

나와 아버지 1촌외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는다.

 

다만 직계인 나와 아버지는 나와 2촌 관계인 형제의 2촌을 읽기 위하여 1촌으로 한다.

 

*아버지와 나는 1. 할아버지와 나는 2. 증조할아버지와 나는 3촌은 맞지 않다.

 

[*나의 직계조상은 아무리 오래되어도 1촌으로 계산한다.]

 

소견)

 

촌수계산에서 직계는 나와 아버지만 1촌이고 그 외 직계 계대는 촌수로 말하지 않고 방계 형제 계대. 백숙부 계대. 종조부 계대. 종증조부 계대. 종고조부 계대로 촌수를 헤아린다.

 

촌수는 나와 방계의 멀고 가까움을 촌수로 나타내어 위로 아버지 1촌이고 그 외 직계 계대는 촌수로 따지지 않고 나와 관계는 아버지 1세조(=1대조). 할아버지 2세조(=2대조). 증조할아버지 3세조(=3대조). 고조할아버지 4세조(=4대조).....등으로 읽고 말한다.

 

[*아버지와 나는 1. 할아버지와 나는 2. 증조할아버지와 나는 3촌은 맞지 않다.]

 

소견)

 

촌수는 직계에서는 나와 아버지 1촌은 말하나 그 외 직계에서는 촌수로 말하지 않는다.

 

할아버지와 나는 2. 증조할아버지와 나는 3촌은 말하지 않는다.

 

촌수는 나와 방계 친척과의 멀고 가까운 정도를 수치로 말하는 것이다.

 

촌수표

 

고조부--------------------------------------------------------------종고조(고조부 형제)

.....................................................................................................................

증조부--------------------------------------------종증조(증조부 형제)

...................................................................................

조부--------------------------- 종조(조부의 형제)............재종조

..................................................................................

----------백숙부(부의 형제)...종백숙부(당숙)....재종백숙부

.................................................................................

---형제.....종형제..................재종형제..........3종형제

 

*작은 원안의 숫자는 나와의 촌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