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종조부는 몇 촌입니까?

녹전 이이록 2022. 8. 30. 08:10

종조부는 몇 촌입니까?

 

안녕하세요...? 할아버지 형제는 저와 몇 촌이 되는지요?

 

답변)

 

p

 

촌수 계산은 기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와 아버지 1. 나와 형제 2.

위의 관계만 알면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계산됩니다.

우선 나와 할아버지의 촌수는 2. 나와 증조할아버지는 3촌이 됩니다.

나와 할아버지 형제와의 촌수는 나와 할아버지의 촌수가 2, 할아버지 형제간의 촌수가 2촌이므로 4촌 관계가 됩니다.

 

소견) 이이록

 

직계인 나와 할아버지의 촌수는 2. 나와 증조할아버지는 3은 잘못된 말입니다.

나와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고 몇 세조(=대조)‘ , ’몇 세손(=대손)‘로 말합니다.

 

할아버지 종조부(할아버지 형제) (3)

아버지(1)

형제(2)

 

*위 그림을 보면 나와 아버지가 1마디로 1촌이고 나와 형제도 1마디로 1촌이어야 하나 나와 형제는 2촌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나와 가까운 순대로 촌수를 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H

 

아버지와 아들 사이는 1, 형제, 자매 사이는 2촌입니다.

위의 두 가지 촌수를 가지고 모든 친척들과의 촌수를 계산합니다.

증조할아버지와 나 사이의 촌수를 계산하는 법은

 

1. 나와 아버지 사이 1

2. 아버지와 할아버지 사이 = 1나와 형제 사이 2

3.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 사이 = 1나와 종조부 사이 3

------------------------------------------------

[위의 촌수를 모두 합하면 3촌이 됩니다.

그래서 나와 증조할아버지 사이는 3촌이 됩니다.]

 

- 위의 검은 글자로 나타낸 아버지와 할아버지 사이 = 1. 그리고 할아버지 형제(큰 할아버지나 작은 할아버지)와 나사이의 촌수 계산법은 할아버지와 나 사이 = 2. 할아버지와 큰(작은)할아버지 사이 = 1.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 사이 = 1촌인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

위의 촌수를 합하면 4촌이 됩니다.

 

그럼 작은 할아버지의 손자와 나 사이의 촌수는?

 

1. 할아버지와 나 사이 = 2

2. 할아버지와 작은 할아버지 사이 = 2

3. 작은 할아버지와 손자 사이 = 2

 

소견) 이이록

 

현조부 ━ ━ ━ ━ ━ ━ ━ ━ ━ ━ ━ 종현조부

증조부 ━ ━ ━ ━ ━ ━ ━ 종증조부

조부 ━ ━ ━ ━ ━ 종조부

┃ ┃

아버지 백숙부 당숙

┃ ┃

형제 손자

 

*위와 같이 나와 가까운 순서로 촌수를 정하고 계대에 따라 아래로, 위로 촌수를 읽습니다.

------------------------------------------------

위의 촌수를 합하면 6촌이 됩니다.

즉 큰 할아버지나 작은 할아버지의 손자들은 나와는 6촌간이 됩니다.

친척간의 촌수는 모두 위와 같은 식으로 계산을 하는 겁니다.

 

소견)

 

나를 기준으로 직계는 촌수로 읽을 수 없는데 할아버지와 나 사이 = 2, 할아버지와 작은 할아버지 사이 = 2.으로 읽어 작은 할아버지와 손자 사이를 6촌으로 읽었으나 위의 표와 같이 촌수를 읽어야 바릅니다.

형제를 으로 하여 아래로 계대를 헤아려 촌수로 말하고 백숙부를 으로 하여 그 아래 계대를 헤아려 촌수로 말하고 종조부를 으로 하여 그 아래 계대를 헤아려 촌수로 읽습니다.

 

M

 

촌수의 정의와 계산 원리

촌수란 방계 친척 즉, ()이나 척() 사이의 멀고 가까움을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숫자 체계이다.

*그러므로 촌수의 기본 정의에서 직계 혈족을 촌수로 따지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촌수 계산의 기본 원리는 반드시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마디()로 간주하여 계산된다.

, 나와 부모 사이는 한 마디로 1촌 관계에 있다.

 

직계 혈족 간의 촌수는 자신과 아버지 사이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세대수와 상관없이 모두가 '1'이다.

*나의 형제(兄弟)와 남매(男妹)는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부모의 자식이기에 나와 관계 지어졌다는 점에서 나와 부모 사이의 1촌과 부모로부터 나의 형제와 남매까지의 '1'을 합하여 '2' 관계가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소견)

 

[직계 혈족을 촌수로 따지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 촌수는 나를 기준으로 하여 방계 친척과 멀고 가까움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다.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하되 직계는 제외하고 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숫자로 나와 형제 2, 나와 백숙부 3. 나와 종조부 4. 나와 종증조부 5촌 나와 종고조부 6촌을 기본으로 하여 계대별로 아래로 헤아려 읽는다.

 

[*나의 형제(兄弟)와 남매(男妹)는 나와 부모 사이의 1촌과 부모로부터 나의 형제와 남매까지의 '1'을 합하여 '2' 관계가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 촌수는 나와 가까운 차례로 나와 부모를 1촌으로 한다면 다음으로 나와 가까운 사람은 나와 형제 2촌이니 나와 부모 사이의 1촌과 부모로부터 나의 형제와 남매까지의 '1'을 합하여 '2' 관계가 있는 것으로 계산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아버지 (1) ━━━━ 백숙부(3)

┃ ┃

() ━━ 형제(2) 4촌 형제(4)

┃ ┃

아들.........(조카. 3)

 

아버지 1

형제 2

백숙부 3

사촌 형제 4촌 등으로 헤아려 읽는다.

 

쉬운 촌수 계산법으로 세대의 숫자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공동시조(共同始祖)에서 각자에 이르는 세대(世代) ()를 각각 계산하여 그 합계를 촌수로 한다.

 

*4촌의 계산은 나와 할아버지의 2세대 수 2와 사촌과 할아버지의 2세대 수 2를 더하여 4촌이 된다.

촌수 계산에서 직계의 세대 수를 촌수로 착각해서는 안 되며, 외가 촌수 계산에서 외조(外祖)는 어머니의 직계이므로 촌수를 셈할 수 없다.

 

다만, 계산상으로 몇 대조인가를 셈하여 촌수를 따진다.

혼인으로 인한 부부 사이는 피가 섞이지 않았기 때문에 촌수가 없다.

 

[*4촌의 계산은 나와 할아버지의 2세대 수 2와 사촌과 할아버지의 2세대 수 2를 더하여 4촌이 된다.]

 

- 위 글 설명에서 나와 할아버지의 2세대 수는 나와 직계인 직계(할아버지)와 촌수를 헤아린 것으로 바르지 못한 셈법이다.

셈법이다.

-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하고 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나와 형제 2, 나와 백숙부 3. 나와 종조부 4. 나와 종증조부 5촌 나와 종고조부 6촌으로 하고 계대를 아래로 헤아려 촌수로 말한다.

 

1. 직계혈족의 촌수는 나와 아버지의 관계만 있다.

 

"나와 할아버지는 2세대이므로 2촌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나와 아버지의 1, 아버지(를 기준으로 한다면)와 아버지의 아버지가 1촌이다.

자기와 아버지의 관계만이 직계혈족의 촌수계산법이다.

 

2. 촌수계산은 세대수의 숫자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4촌의 계산은 나와 할아버지의 2세대 수 2와 사촌과 할아버지의 2세대 수 2를 더하여 4촌이 되는 것이다.  

 

[*나와 할아버지와의 촌수는 1촌이며, 할아버지는 나의 2대조가 되는 것이다.]

 

- 직계는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하나 할아버지와는 촌수로 말하지 않고 2대조로 읽는다.

세대수를 촌수로 착각한 것이 지금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3. 나를 기준으로 외가의 촌수를 계산하는 경우 외조ㆍ외증조는 어머니의 직계혈족이므로 촌수를 셈할 수 없다.

다만, 계산상으로 몇 대조인가를 셈하여 촌수를 따지는 것이다.

 

4. 직계혈족은 촌수로 대칭하지 않으며, 촌수계산을 위하여 따진다면 무조건 1촌이다.

- 직계혈족은 촌수로 따지지 않으며 촌수계산을 위하여 따진다면 방계의 마디수로 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