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국당공파(慶州李氏菊堂公派)
아래와 같이 경주이씨 국당공파(慶州李氏菊堂公派)에 대한 글이 있습니다.
잘못 표기한 내용은 원문에 * 표시를 하고 옆에 ( ⇒ ......)된 표시에 붉은 글씨로 수정합니다.
【 나의 뿌리....
경주이씨(慶州李氏) 국당공파(菊堂公派)
1> 시조 : 이알평[李謁平]
2> 본관 및 시조의 유래
경주는 경북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이곳에 6촌(村)이 연합하여 고대 국가를 형성, 국호를 서라벌(徐羅伐)· 사로(斯盧)· 사라(斯羅)라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여 국명(國名)을 동일시하였다.
서기 65년 시림(始林)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고쳤다가 307년에 신라로 하였으며, 935년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손위(遜位)하자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1008년 별칭으로 낙랑군이라 하다가 1030년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였으며, 충렬왕 때 계림부로 개칭하는 등 명칭의 변화가 많았다가 1413년에 와서 경주부로 개칭하였다.
경주이씨(慶州李氏)는 신라 건국의 모체인 사로(斯盧)의 6부 중 알천양산촌을 다스렸던 표암공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받들고, 신라 말에 소판 벼슬을 지낸 진골(眞骨) 출신의 이거명(李居明)을 *1세조( ⇒ 1세. 1세^ 조. 1세 조상)로 하여 세계를 계승하여 왔다.
우리나라 대다수 이씨의 조종(祖宗)으로 알려진 경주이씨는 대체로 고려초기에서부터 훌륭한 인맥을 형성하여 벌족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조선조에 와서도 수많은 명현과 학자를 배출시켜 명문거족의 지위를 굳혔다.
대표적인 인맥을 살펴보면, 소판공 거명의 *9세손( ⇒ 8세손. 9세 손. 9세 후손) 총섬(寵暹)이 고려 때 문하시중을 지냈고 총섬의 *7세손(⇒ 6세손. 7세 손. 7세 후손)인 핵(상서좌복야에 추증)의 아들 인정(仁挺), 진, 세기(世基) 3형제와 손자 5형제가 모두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이름을 떨쳐 명문의 기틀을 다졌다.
당시 최치원 이후의 석학(碩學)이라는 칭송을 받았던 익재 제현(齊賢)은 벼슬이 문하시중에 이르렀으며, ‘추성양절 동덕협의 찬화공신’으로 계림부원군에 봉해졌고, 일곱 왕조에 네 번이나 상부(相府)에 올라 당대의 명문장가로 외교문서에 통달했었다.
특히 익재는 우리나라 정주학(程朱學)의 기초를 확립했으며, 원나라 조맹부의 서체를 도입하여 이를 널리 유행시켰고, 그의 저서 [익재난고(益齋亂藁)]는 오늘날 고려가요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조선조에 와서는 고려 충혜왕 때 임해군이 추봉되었던 달존(達尊)의 *6세손(⇒ 5세손) 공린(公麟)은 사육신 박팽년의 사위가 되었는데, 슬하에 아들 8형제가 크게 현달했다.
공린이 장가들던 날 집안이 청빈하여 폐백을 대광주리에 담아 가지고 갔는데, 장모 이씨(李氏)가 예절을 모른다고 나무라자 박팽년은 "내가 이 사람을 고른 것이 이 까닭이오."라고 하였다.
그 후에 공린은 아들 8형제를 낳아 아름을 오(鼇), 구(龜), 원(黿), 타(鼉), 별(鼈), 벽(鼊), 경(鯨), 곤(鯤)으로 지었는데, 모두가 재주와 명성이 뛰어났고 세인의 추앙을 받았다.
그러나 셋째 원(黿)이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했다.
그의 아우 별(鼈)은 형인 원과 함께 울면서 작별하고 과거의 뜻을 단념한 채 평산으로 내려가 그가 사는 집을 <장육당(藏六堂)>이라 하며 호(號)를 삼았다.
[패관잡기(稗官雜記)]에 의하면, 그는 늘 소를 타고 술을 싣고 다니면서 고을의 노인들과 더불어 낚시와 사냥을 하였으며, 또한 해가 저물어도 돌아갈 줄을 몰랐고 술에 취하면 눈물을 흘리면서 슬퍼하였다고 한다.
한편 검교정승 세기(世基)의 후손에서는 그의 손자 경중(敬中), 달충(達衷), 성중(誠中) 3형제의 인맥이 두드러진다.
월성군에 봉해졌던 경중(敬中)의 손자 정보가 고려 때 관찰사를 역임한 후 청백리에 녹선 되었고, 정보의 후손에서는 지중추부사를 지낸 정암과 이조참판을 역임한 정형(廷馨), 정혐(廷嫌) 3형제가 현달했다.
계림군 달충(達衷)의 후손에서는 세조때 판서에 오른 승상(升商) ⇒ 승적(升啇)과 흥상(興商)
⇒ 흥적(興啇)이 유명했으며, 후손 개립(介立)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훈공을 세워 무명을 떨쳤다.
*‘조선왕조 실록’에는 승상(升商). 흥상(興商)으로 올라있고 족보에는 승적(升啇), 흥적(興啇)으로 올라있음.
임진왜란 때 [육전의 충무공]으로 명성을 떨쳤던 수일(守一)은 장군이면서도 사병과 함께 먹고 자서 사병들에게 정신적인 숭앙을 받았고, 전투 전에 정보와 첩보를 선행시켜 백전백승의 전과를 올렸다.
1624년 이괄의 난 때는 평안도 병마절도사 겸 부원수가 되어 안현 결전에서 격파하여 진무2등공신으로 계림부원군에 봉해졌고, 형조참판을 지낸 후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그의 아들은 효종 때의 명장 매죽헌 완(浣)인데, 여러 지방의 수령을 역임한 후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승진, 병자호란 때 김자점의 휘하에 별장으로 출전하여 정방산성에서 전공을 세우고, 포도대장 등을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다.
성품이 강직하기로 이름났던 완(浣)이 수어사로 있을 때의 일이다.
그의 휘하에 있던 관리 하나가 죄를 범하여 죽게 되었는데, 그 죄인의 누이가 인선대비전의 시녀였으므로 대비가 불쌍히 여겨 숙경공주를 시켜 죄를 가볍게 다스려 달라는 사청(私請)을 하였으나 받아들일 수 없으니 공주는 다시 이 같은 청을 하지 마시오. 라고 하여 대비가 듣고 부끄러워하고, 현종은 더욱 공경하고 두려워했다.
1556년 참찬 몽량(夢亮)의 아들로 태어난 항복(恒福)은 출생해서 이틀이나 젖을 먹지 않았고 사흘 동안 울지 않아 집안사람이 걱정하였으나 자라면서 그는 총명하고 영리함이 남보다 뛰어나 사람들이 그가 장래에 큰 그릇을 이룰 것으로 알았다.
1580년(선조 13)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선 항복은 임진왜란 때 다섯 차례나 병조판서로서 병권을 장악하여 국난을 수습했고, 전쟁이 끝난 후에는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오성부원군에 봉해졌고 이어 호성일등공신에 책록 되었다.
그는 곧고 맑은 성품과 풍부한 기지로 <오성과 한음>의 일화를 남겼으며, 이덕형, 이정립과 더불어 과거의 동방으로 <삼리(三李)>로 일컬어졌고, 또한 이덕형, 이원익과 함께 <혼조삼리(昏朝三李)>로 불리어졌다.
항복의 증손 세필(世弼)은 이조참판 시술의 아들로, 특히 예학(禮學)으로 문명을 떨쳤으며, 홍주목사 세구(世龜)의 아들 광좌(光佐)는 숙종과 영조대에 걸쳐 명상으로 일세를 풍미했다.
영의정에 오른 광좌는 실록청 총재관으로 숙종과 경종실록의 보유편 편찬을 담당했고, 좌의정을 지낸 태좌(台佐)의 아들 종성(宗城)은 영조 때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으며 이조판서 계조(啓朝)의 아들 유원(裕元)은 고종 때 영상(領相)으로 유명했다.
그는 대원군의 개혁정치를 반대하다가 파직되기도 했으나 후에 다시 영의정에 복귀하여 대원군과의 반목으로 맞섰다.
유원이 남산 동쪽 기슭에 정각을 하나 새로 짓고 많은 조신들을 불러 잔치를 벌이던 날 은퇴 중인 대원군도 초대되어 한자리에 있었다.
유원은 대원군에게 이 정각의 이름을 지어 줄 것을 부탁하자 대원군은 마침 이 정각의 정원에 두 그루의 회(檜)나무가 있었기로 쌍회정(雙檜亭)이라 하고 손수 붓을 들어 현판을 써주었다.
그러나 후일에 대원군이 말하길 송나라의 진회(秦檜)는 한그루의 회로서 나라를 망쳤는데 두그루 회나무의 쌍회정은 보다 심할 것이라고 한 말이 유원의 귀에 들어왔다.
유원은 즉시 현판을 두들겨 부수고 회나무 두 그루를 베어 버린 후 대원군을 배척하는데 선봉이 되었다고 한다.
경주이씨의 또 다른 인맥으로 소판공 거명(居明)의 *12세손(⇒ 11세손. 12세 손. 12세 후손) 신우(申佑)의 *10세손(⇒ 9세손, 10세 손. 10세 후손)인 규(揆)는 고려 때 찬성을 역임한 후 충혜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구한말에 와서는 고종 때 지삼군 부사와 어영대장을 지낸 현직(顯稷)과 평안도 암행어사를 지내고 교정청 당상에 올랐던 유승(裕承)이 유명했으며, 희수(喜秀)는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다.
이조판서 유승(裕承)의 아들 시영(始榮)은 한일합방이 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유하현에서 신흥무관학교를 설립,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1948년 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이승만의 비민주적 통치에 반대하여 부통령을 사퇴했다.
근대에 와서는 삼성 기업군의 총수 호암 병철(秉喆)이 한국경제발전의 기수로 훌륭한 업적을 남겼으며, 3남 건희(健熙)가 유업을 계승하여 한국경제의 지반을 다지고 있다
[계 파]
경주이씨는 중시조 이거명의 *17~21세손(⇒ 14~20세손. 15~21세))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 중소) 70여개 파로 분파된다.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손 ⇒ 16세 이인정(李仁珽)을 파조로 한다.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손 ⇒ 17세 이관(李琯)을 파조로 한다.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손 ⇒ 17세 이제현(李齊賢)을 파조로 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손 ⇒ 17세 이지정(李之正)을 파조로 한다.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손 ⇒ 17세 이천(李蒨)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손 ⇒ 17세 이매(李邁)를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손 ⇒ 17세 이과(李薖)를 파조로 한다.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손 ⇒ 17세 이수(李蓚) ⇒ 이조(李蓨)를 파조로 한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손 ⇒ 15세 이강(李康+羽)을 파조로 한다.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손 ⇒ 21세 이지수(李之秀)를 파조로 한다.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손 ⇒ 19세 이양오(李養吾)를 파조로 한다.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손 ⇒ 19세 이존오(李存吾)를 파조로 한다.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손 ⇒ 19세 이양중(李養中) ⇒ 이존중(李存中)를 파조로 한다.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 19세 이존사(李存斯)를 파조로 한다.
위 ‘몇 세손’으로 나타낸 표기는 아래와 같이 수정하여 읽어야 한다.
*16세손 ⇒ 15세손. 16세 손. 16세 후손
*17세손 ⇒ 16세손. 17세 손. 17세 후손 - 7곳
*15세손 ⇒ 14세손. 15세 손. 15세 후손
*21세손 ⇒ 20세손. 21세 손. 21세 후손
*19세손 ⇒ 18세손. 19세 손. 19세 후손 - 4곳
@ 족보의 종류 (대동보, 족보, 동보, 세보, 세지, 파보...)
1. 대동보(大同譜)
같은 시조 아래에 각각 다른 계파와 본관을 가지고있는 씨족을 함께 수록하여 만든 족보책이다.
2. 족보(族譜), 종보(宗譜)
본관을 단위로 같은 씨족의 세계를 수록한 족보책으로, 한 가문의 역사와 집안의 계통을 수록한 책이다.
3. 세보(世譜), 세지(世誌)
한 종파 또는 그 이상이 같이 수록되어 있거나, 한 종파만 수록된것을 말하며 동보(同譜), 합보(合譜)라고도 한다.
4. 파보(派譜), 지보(支譜)
시조로 부터 시작하여 한 종파만의 이름과 벼슬, 업적 등을 수록한 책이다.
이들 파보에는 그 권수가 많아 종보를 능가하는 것도 적지 않다.
파보는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증가되어가고, 그 표제에 연안김씨파보, 경주이씨 좌랑공파보, 순창설씨 함경파세보 등과 같이 본관과 성씨 외에 지파의 중시조명 또는 집성촌, 세거지 지명을 붙이고 있으나, 내용과 형식에서는 족보와 다름없다.
5. 가승보(家乘譜)
본인을 중심으로 수록하되, 시조로부터 자기의 윗대와 아랫대에 이르기까지의 이름과 업적 ,전설, 사적을 기록한 책으로 족보 편찬의 기본이 된다.
6.계보(系譜)
한 가문의 혈통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름자만을 계통적으로 나타낸 도표로서, 한 씨족 전체 또는 한 부분만을 수록한 것이다.
7. 가보(家譜)와 가첩(家牒)
편찬된 형태, 내용에 상관없이 동족 전부에 걸친 것이 아니라 자기 일가의 직계에 한하여 발췌한 세계표(世系表)를 가리킨다.
8. 만성보(萬姓譜)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국내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줄기를 추려내어 모아놓은 책으로 모든 족보의 사전 구실을 하는 것이다.
『청구씨보(靑丘氏譜)』, 『잠영보(簪纓譜)』, 『만성대동보(萬成大同譜)』,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 등이 있다.
9. 기타
『문보(文譜)』, 『삼반십세보(三班十世譜)』, 『진신오세보(縉紳五世譜)』, 『호보(號譜)』와 같이 현달한 조상의 세계를 명백히 하려고 한 보서(譜書)나 『대방세가언행록(帶方世家言行錄)』, 『보성선씨오세충의록(寶城宣氏五世忠義錄)』 등과 같이 조상 중 충,효,절,의가 특히 뛰어난 사적과 공훈을 수록한 것도 있다.
또한, 환관(내시) 사이에도 계보를 끊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성이 다른 자손을 입양시켜 자손으로 삼고 가계를 보존하고 있는 양세계보(養世系譜) 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