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차이 - 1

녹전 이이록 2022. 4. 21. 09:01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차이 - 1

 

위 문의 세손과 대손의 차이는? - 에 모씨가 아래와 같은 답변을 올려주었습니다.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 로 나타낸 뒤 소견을 올립니다.

 

* 일반적으로 대부분이 ○○세손(世孫)○○대손(代孫)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별도의 편집을 하지 않고 이 화면으로는 표현에 제약이 있으므로, 적절한 도표 설명이 안 되는 점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차이는 헤아리는 방법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표제의 내용에 대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즉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설명 하는 방법과 자기(自己: )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한 가지의 원칙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바로 위로든 아래로든 몇 대(○○)를 헤아릴 경우에는 필히 기준으로 되는 시조나 자기를 제외하고(빼고) 헤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대부분이 ○○세손(世孫)○○대손(代孫)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소견)

 

몇 세손(世孫)과 몇 대손(代孫)은 같은 뜻으로 어느 쪽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12345

고조.....증조............................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증손.....현손

.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차이는 헤아리는 방법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견)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헤아리는 방법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세손과 대손은 같은 뜻으로 어느 것으로 헤아려 읽어도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차츰 설명해 보겠습니다.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설명

 

*시조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1(시조).....2.....3.....4.....5.....6..... .....21()

...........................................(시조를 기준으로 "21세손(世孫)")

 

시조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0(시조).....1.....2.....3.....4.....5..... .....20()

...........................................(시조를 기준으로 "20대손(代孫)")

 

위에서 헤아려 본 것처럼 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대()는 세()보다 하나를 적게 헤아리는 것이지요.

 

[*시조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1(시조).....2.....3.....4.....5.....6..... .....

...........................................(시조를 기준으로 "21세손(世孫)")

 

시조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0(시조).....1.....2.....3.....4.....5..... .....20()

...........................................(시조를 기준으로 "20대손(代孫)")]

 

[*시조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21() "21세손(世孫)"으로 읽게 되고 시조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20대는 "20대손(代孫)"으로 읽는다.]

 

소견)

 

세손=대손으로 같은 뜻이므로 후손 21(=21)는 시조님의 20세손(=20대손)으로 헤아려 읽는 것이 바릅니다.

 

** 자기(自己)를 기준으로 설명

...*(예를 들어 자기를 21세로 가정 해보면)

......1.....시조....20대조 ( 21(자기)-1(시조)=20대조 )

 

....(* 위로 몇 대조(代祖)의 계산<==자기 세()수에서 윗대의 세()를 빼면 됨)

......2.....○○....19대조

......3.....○○....18대조

...............

.....10.....○○....11대조 ( 21(자기)-10=11대조 )

.....11.....○○....10대조

.......................

.....15.....○○.....6대조 ( 21(자기)-15=6대조 )

.....16.....○○.....5대조 ( 21(자기)-16=5대조 )

*.....17.....고조.....4대조

.....18.....증조.....3대조

.....19.....조부.....2대조

.....20.....부친.....1

 

.위로

.....21.....자기.....0( 이처럼 자기는 ○○대 계산에서 제외 됨)

 

.아래로

.....22.....자식.....1

.....23.....손자.....2대손

.....24.....증손.....3대손

.....25.....고손.....4대손 ( 25-21(자기=4대손 )

.............................(* 아랫 대의 계산은 윗대와 반대로 계산함)

 

[*17.....고조.....4대조

.....18.....증조.....3대조

.....19.....조부.....2대조

.....20.....부친.....1()

 

.위로

.....*21.....자기.....0( 이처럼 자기는 ○○대 계산에서 제외 됨)

 

.아래로

.....22.....자식.....1()

.....23.....손자.....2대손

.....24.....증손.....3대손

.....25.....고손.....4대손]

 

소견)

부친 1대는 1대조, 자식 1대는 1대손으로 고쳐 읽어야 하고 고손현손으로 읽어야 합니다.

 

*21.....자기.....0(이처럼 자기는 ○○대 계산에서 제외 됨) - 시조 21세인 나는 0대가 아니고 나의 윗대 조상과 나의 아랫대인 후손과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의 몇 세조’, ‘나의 몇 세손으로 읽기 때문에 나는 헤아리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