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아버지. 작은아버지를 부를 때
형제가 여러 명일 때 제일 위의 맏형을 동생들의 아들, 딸이 큰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 당연하다.
물음1)
둘째 형님을 맏형의 아들이 부를 때는 작은아버지라고 부르겠지요.
그럼 셋째 이하의 조카들이 둘째 형님을 부를 때에 큰아버지라 불러야 합니까?
아니면 작은아버지라 불러야 합니까?
물음2)
큰아버지를 백부, 나머지는 숙부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형제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둘째 형님 역시 숙부라고 하는 것이 옮은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 Y
1. 옛날의 전통적인 호칭(전라도 지방의 예)
한자어로는 백부님. 중부님. 숙부님. 계부님(막내)으로 하고 한글로는 중부 이하는 모두 작은 아버지(계부의 아들도 중부를 작은 아버지)로 호칭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음.
2. 현대의 호칭(한국전례원의 예)
한자 호칭은 전통적인 호칭과 동일하게 하고 한글로는 큰아버지(백부). 둘째아버지(중부). 셋째아버지(숙부).......다섯째 아버지. 여섯째아버지로 안내하고 있음.
3. 한자어는 동일하게 사용하고 큰아버지. 광주(택호) 큰아버지...안산 작은 아버지....등으로 아버지의 형님은 큰아버지. 아버지의 동생은 작은 아버지로 호칭을 하고 있는데 조카들(모두 대졸)에게 이런 상황을 설명하고 의견을 물었더니 가장 현실적이란 합의를 도출하여 시행함.
즉 5형제이면 장남의 자녀는 작은아버지가 4명이고 5남의 자녀는 큰아버지가 4명이고 3남의 아들은 큰아버지가 2명. 작은 아버지가 2명이 됨.
△A
중심을 큰아버지를 할 것인가 나의 아버지로 할 것인가가 중요합니다.
장자를 중심으로 호칭하면 큰집 또는 큰아버지는 오직 한분이시고 둘째부터는 모두 작은아버지입니다.
서울 작은아버지. 대구 작은아버지.
우리집안에는 옛날 선조님부터 큰아버지는 오직 한 분뿐이며 둘째부터는 작은 아버지라 호칭합니다.
△ W
1. 백부 중부 숙부 ...계부 이러면 아무 문제가 없던 것을 한글화 과정에서의 모순
2. 아버지의 형은 큰아버지. 아버지의 동생은 작은 아버지
3. 맏이만 큰아버지 나머지는 전부 작은아버지
4. 첫째...둘째...셋째 아버지
관습적으로 위의 모든 방식을 집안마다 곳곳이 사용하고 있음을 봤습니다만 통일되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인가 봅니다.
[참고]
○ 백(伯)·중(仲)·숙(叔)·계(季)호칭은 관계의 표현 - 성백효(국역연수원 교수)
우리 주위에서 백부(伯父)· 중부(仲父)· 숙부(叔父)만큼 각양각색으로 부르는 경우도 드물 것이다.
옛날 형제의 서열을 말할 때에 삼형제일 경우 백(伯)· 중(仲)· 계(季), 사형제일 경우 백(伯)·중(仲)·숙(叔)·계(季)로 표현하였다.
백은 맏으로 백형은 큰형, 백부는 큰아버지가 된다.
그리고 중은 둘째이고 숙은 셋째이며 계는 막내가 된다.
큰 분의 소생인 자녀들은 보통 부친의 아우들을 숙부라 칭하고 순번에 따라 둘째 숙부, 셋째 숙부, 또는 둘째 작은아버지, 셋째 작은아버지, 넷째 작은아버지 이런 순서로 호칭하며, 막내는 막내 작은아버지로 불러 별로 문제될 것이 없다.
○ 어떤 글에는 큰아버지는 백부 한 분밖에 붙일 수가 없다고 한다.
백부는 세부(世父)라고 칭하고 백모 역시 세모(世母)라고 칭한다.
대(종통)를 잇기 때문이다.
큰아버지는 아무에게나 붙일 수 있는 칭호가 아니라는 것이다.
넷째나 다섯째 분의 자제들이 아버지의 셋째형과 넷째형은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이 경우, 백부와 숙부를 제외한 모든 분들에게 숙부라는 칭호가 붙여져도 좋다는 것이다.
숙(叔)에는 셋째 또는 아우의 뜻이 있으므로 자신의 아버지가 넷째나 다섯째일지라도 셋째부터는 위아래에 관계없이 숙부라 해도 된다는 것이다.
혹자는 숙부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아버지보다 아랫 분을 지칭하기 때문에 숙부란 칭호는 옳지 않다고도 말 한다.
하지만 이는 숙부의 뜻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아버지의 손아래 숙부 역시 모두 계부라고 칭할 수 있다.
계(季) 역시 말째란 뜻 외에 동생이라는 뜻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큰아버지를 경상도 지방에서는 한 아버지(大父)의 뜻으로 보아 할아버지를 지칭함을 밝혀둔다.
대부(大父)를 글자 그대로 해석할 경우 큰아버지가 되며 할아버지 역시 한 아버지에서 파생되었다.
大를 옛날에는 모두 `한'으로 풀이하였으며, `한'에서 `할'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옛날 진(晉)나라 때 명사인 완적(阮籍)은 조카(형의 아들)인 완함(阮咸)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든 인물이다.
이 때문에 남의 숙부를 완장(阮丈) ,남의 조카를 함씨(咸氏)라고 칭한다.
그리고 숙부를 유부(猶父), 조카를 유자(猶子)라고도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