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국당공파 대파조
【경주이씨 국당공파 시조를 찾아보고 싶은데..가르쳐 주세요.】
문의의 글 중 아래 내용은 잘못 기술한 표기입니다.
잘못된 답변은 원문에 【.*..............】로 지적하고 붉은 글씨로 수정합니다.
▲ [국당공파 시조]
- ‘국당공파 대파시조’ . ‘국당공파 대파조’ . ‘국당공파 파시조’ . ‘국당공파 파조’
라고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 우리 경주이씨는 시조 – 이알평.
중시조 – 이거명(소판공)
중흥조 – 이핵(열헌공) - 중흥조는 더 많은 할아버지들이 중흥조로 불릴 수 있습니다.
이후 경주이씨는 15 ~ 21세에서 14개 대파로 분파하였습니다.
그러니까 시조. 중시조. 중흥조. 분적조(8본 분적시조. 분관시조). 14대파 분파조(대. 중. 소파조)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 14개 대파명과 파시조(대파시조. 대파조. 파시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1087년도 정묘년에 간행한 ‘경주이씨 대종보’의 내용을 경주이씨 뿌리에 대한 근간 자료로 합니다.)
중시조 16세 인정 - 평리공파
-------17세 관 – 이암공파. 제현 – 익재공파. 지정 – 호군공파.
-------------천 – 국당공파. 매 – 부정공파. 과 – 상서공파. 조 – 사인공파.
-------15세 강 – 판전공파.
-------19세 양오 – 직장공파. 존오 - 석탄공파. 존중 – 진사공파. 존사 – 교감공파.
-------16세 지수 – 월성군파.
* 중시조 16세 송암공(휘 세기)의 장자 17세 국당공(菊堂公) 천(蒨)이 국당공파 대파시조(대파조. 파시조. 파조)이지 그냥 ‘시조’가 아닙니다.
◈ 국당(菊堂) 이천(李蒨)의 행적
세계(世系)는 15세 열헌공(휘 핵) → 16세 3남 송암공(휘 세기) → 17세 장자 국당공 천 이다.
문희공(文僖公. 松巖公송암공) 세기(世基- 益齋公仲父익재공 중부)의 장자로 익재공(益齋公 휘 齊賢제현)과는 4촌(四寸)간이다.
자는 군실(君實)이고 호는 국당(菊堂)이다.
1299년(己亥. 충렬왕 25) 국자시(國子試)에 장원급제하였다.
한림사인(翰林舍人), 이부랑중(吏部郞中)을 거쳐 문명(文名-글로서 이름을 떨침)을 얻었다.
1321년(충숙왕 8) 우사보(右思補)로서 폐인(嬖人) 이인길(李仁吉)의 첩의 아버지 서경낭장(西
京郎將) 최득화(崔得和)을 수주수령(隨州守令)으로 임명하려 하자 고신(告身-직첩職牒-조정에
서 내리는 벼슬아치의 임명장)에 서명하지 않으므로 왕이 진노하여 곤장을 치고 섬에 유배하
니 공의 직성(直聲-곧은 소리)이 일세에 떨쳤다.
1343년 충혜왕때 첨의 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에 승진하고
1344년(충혜왕 복위5) 지공거(知貢擧) 박충좌(朴忠佐)와 함께 동지공거(同知貢擧-과거의 고시
관考試官. 지공거와 함께 시험을 관장하였다.)로 하을지(河乙沚) 등 33인에게 급제를 주었다.
충목왕 즉위 원년(1345) 첨의 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나라에 가서 교사(郊赦-하늘에 제
사 지내고 은사恩赦를 베푸는 일)를 축하하고 돌아왔다.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로 왕이 서연(書筵)을 설치하여 서연관(書筵官)이 되어 왕에게 경서 (經書-유학의 근본이 되는 문헌)를 시강(侍講-왕이나 동궁의 앞에서 학문을 강의하던 일)하였다.
곧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랐다.
1345년에 추성보리공신 삼중대광 첨의정승(推誠輔理功臣 三重大匡僉議政丞)·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에 이르고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
충정왕(忠定王) 기축(己丑. 1349)년에 졸(卒)하였으니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남원 어은사(漁隱祠) · 경산 도천서원(道天書院) · 청주 운곡사(雲谷祠) · 고흥 세덕사(世德祠) · 경주 단구서원(丹邱書院)에 배향 되었다.
공(公)은 대파 국당공파 파시조(菊堂公派派始祖)이다.
배(配)는 세분으로 첫 부인은 담양 설씨(潭陽薛氏)로 중서문하 판병부사(中書門下 判兵部事-병부판사) 문정공 경중(文貞公敬中)과 전리판서(典理判書) 판서공 배중(判書公培中) 형제를 낳았고, 둘째 부인은 죽산 박씨(竹山朴氏) 죽성군(竹城君) 전(山아래而+頁)의 따님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 제정공 달충(霽亭公達衷)을 낳았으며 셋째부인 순창박씨는 보국검교 좌정승(輔國檢校左政丞)을 지낸 정순공 성중(靖順公誠中)을 낳았다.
▲【국당공파(菊堂公派) *계통도(繼通圖)
국당공파(菊堂公派) 계열(繼列)은 징동 이씨(李氏)들이 이분의 후손(後孫)들로서 *일곱 개의 파(派)로 분파(分派)된다.
즉, 장남(長男)인 *문정공 경중(文貞公 敬中)의 후손(後孫)에서 사류재공파(四留齋公派), 그리고 지퇴당공파(知退堂公派)와, 석천공파(石泉公派)로서 3개의 파(派)가 분파(分派)되었고, 사형제(四兄弟)중의 *세째에서 제정공파(霽亭公派)가 분파(分派)되었으며, *막내격인 정순공 성중(靖順公 誠中)의 후손(後孫)에서 *양옹공파(良翁公派), 경림공파(慶林公派), 그리고 *정익공상신파(貞翼公相臣派)가 분파(分派)되었는데....】
수정)
국당공파(菊堂公派) *계통도(繼通圖) ⇒ 계통도(系統圖)
국당공파(菊堂公派) *계열(繼列) ⇒ 계열(系列)은 징동 이씨(李氏)들이 이분의 후손(後孫)들로서 *일곱 개 ⇒ 아홉개의 파(派)로 분파(分派)된다.
즉 장남(長男)인 *문정공 경중(文貞公 敬中)의 ⇒ 문정공 경중(文貞公 敬中)을 중파시조로 하여 문정공파(文貞公派)로 분파하고 그 후손(後孫)에서 사류재공파(四留齋公派- 파조 廷馣정암) 그리고 지퇴당공파(知退堂公派- 파조 廷馨정형)와 석천공파(石泉公派- 파조 廷馦정혐)로 3개의 *파(派) ⇒ 소파(小派)가 분파(分派)되었고, 사형제(四兄弟) 중의 *세째 ⇒ 셋째에서 (中派중파) 제정공파(霽亭公派- 達衷달충)가 분파(分派)되었으며, 막내격인 *정순공 성중(靖順公 誠中)의 ⇒ 정순공 성중(靖順公誠中)을 파시조로 하여 중파(中派) 정순공파(靖順公派)로 분파하였으며 후손(後孫)에서 *양옹공파(良翁公派) ⇒ 간옹공파(艮翁公派- 파조 瀷익), 경림공파(慶林公派 ⇒ 慶林君派경림군파- 파조 淀정), 그리고 *정익공상신파(貞翼公相臣派) ⇒ 정익공파(貞翼公派- 파조 浣완)이 분파(分派)되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