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에 대)하여 – 2
4. 계 파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을 1세로 기세(起世)한다.
경주(慶州)이씨는 중시조 이거명의 17~21세손 ⇒ 15세~21세(14세손~20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70여개 ⇒ 중소 80여 개 파로 분파된다.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 손 이인정(李仁珽)을 파조로 한다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 손 이관(李琯)을 파조로 한다.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 손 이제현(李齊賢)을 파조로 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 손 이지정(李之正)을 파조로 한다.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 손 이천(李蒨)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 손 이매(李邁)를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 손 이과(李薖)를 파조로 한다.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 손 이수(李蓚) ⇒ 이조(李蓨)를 파조로 한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 손 이강(李康+羽)을 파조로 한다.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 손 이지수(李之秀)를 파조로 한다.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 손 이양오(李養吾)를 파조로 한다.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 손 이존오(李存吾)를 파조로 한다.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 손 이양중(李養中) ⇒ 이존중(李存中)를 파조로 한다.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 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로 한다.
* 16세손. 17세손. 15세손. 19세손. 21세손으로 표기한 것은 잘못 나타낸 용어로 중시조 16世와 孫을 붙여서 16世孫이라 읽거나 말하지 않고 16世와 孫을 띄어서 16世^ 孫, 17세손은 ’17세^ 손‘을 띄어서 나타내어야 바릅니다.
5. 경주이씨 항렬제차(慶州李氏 行列第次)
35世-------36世-------37世-------38世------39世------ 40世---------------
○榮(영)---圭(규)○---鍾(종)○---○雨(우)---相(상)○---○熙(희).炯(형)-------
41世--------42世--------------43世-------------44世-------45世-----------
在(재)○---○ 鎬(호).鍵(건)---濟(제).濬(준)○---○東(동)---丙(병).心(심)○---
46世----------------47世-------48世------49世--------50世------51世-------52世----
○敎(교).世(세)鎭---진(鎭)○---○求(구)---根○(근)---○燮(섭)---埈○(준)---○善(선)---
53世-------54世------55世-------56世-------57世------58世
泰(태)○---○模(모)---炫(현)○---○均(균)---鎔(용)○---淳(순)
59世-------60世-------------61世-------62世--------63世--------------64世
秉(병)○---○炅(경).杰(걸)---基(기)○---○鈺(옥)---洛(락).永(영)○---○植(식)
65世------66世-------------67世-------------68世-------------69世-------------70世
德(덕)○--○周(주).起(기)--鏞(용).鎰(일)○--○浩(호).洙(수)--住(주).綵(채)○--○熏(훈).燁(엽)
6. 항렬자 한문 글자의 뜻
35세 : 榮(영화로울 영)--- 36세 : 圭(서옥 규)--- 37세 : 鍾(술잔 종, 모을 종)---
38세 : 雨(비 우)--- 39세 : 相(서로 상)--- 40세 : 熙(빛날 희), 炯(빛날 형)---
41세 : 在(있을 재)---42세 : 鎬(냄비 호), 鍵(열쇠 건)---43세 : 濟(건널 제). 濬(깊을 준)--
44세 : 東(동녘 동)---45세 : 丙(남녘 병), 心(마음 심)---46세 : 敎(가르칠 교), 世(대 세)---
47세 : 鎭(진압할 진)---48세 : 求(구할 구)---49세 : 根(뿌리 근)---50세 : 燮(화할 섭)---
51세 : 埈(가파를 준)---52세 : 善(착할 선)---53세 : 泰(클 태)---54세 : 模(법 모)---
55세 : 鉉(솥귀 현)---56세 : 均(고를 균)---57세 : 鎔(녹일 용)---58세 : 淳(순박할 순)--
59세 : 秉(잡을 병)---60세 : 炅(빛날 경) 杰(뛰어날 걸)---61세 : 基(터 기)---
62세 : 鈺(보배 옥)---63세 : 洛(물 락). 永(길 영)---64세 : 植(심을 식)---
65세 : 德(큰 덕) ---66세 : 周(두루 주), 起(일어날 기)---
67세 : 鏞(큰 쇠북 용). 鎰(중량 일)--- 68세 : 浩(넓을 호), 洙(물이름 수)---
69세 : 住(살 주),綵(비단 채)---70세: 熏(불길 훈), 燁(빛날 엽)
7. 경주이씨 시조 ~ 중시조 세대(世代) 차이
시조(70세손), 중시조(35세손) |
영(榮) |
71세손, 36세손 |
규(圭) |
72세손, 37세손 |
종(鍾) |
73세손, 38세손 |
우(雨) |
74세손, 39세손 |
상(相) |
75세손, 40세손 |
희(熙) 형(炯) |
76세손, 41세손 |
재(在) |
77세손, 42세손 |
호(鎬) 건(鍵) |
78세손, 43세손 |
제(濟) |
79세손, 44세손 |
동(東) |
80세손, 45세손 |
심(心) 병(丙) |
81세손, 46세손 |
교(敎) 세(世) |
* 시조 2세인 시조 아들부터 중시조의 父까지 약 900년간의 계대는 전연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시조세수’로 읽은 것(70세손 ~ 81세손)은 모두 삭제하여야 합니다.
‘시조세수’는 모두 삭제하고 ‘중시조세수’로 나타낸 ’세손‘은 모두 孫(손) 字(자)를 삭제하든가 ‘世^ 孫’으로 띄어서 나타내어야 합니다.
위 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야 바릅니다.
시조 중시조(35세 손) |
영(榮) |
36세 손 |
규(圭) |
37세 손 |
종(鍾) |
38세 손 |
우(雨) |
39세 손 |
상(相) |
40세 손 |
희(熙) 형(炯) |
41세 손 |
재(在) |
42세 손 |
호(鎬) 건(鍵) |
43세 손 |
제(濟) |
44세 손 |
동(東) |
45세 손 |
심(心) 병(丙) |
46세 손 |
교(敎) 세(世) |
8. 집성촌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해안을 낀 이곳 야산 아래 경주이씨가 자리를 잡은 것은 4백여 년 전이다.
익재공 이제현(益齋公 李齊賢)의 9대손인 호암공 이반기(湖巖公 李磻琦)가 정미사화(丁未史禍)를 피해 경기도 고양에서 이곳으로 터를 옮겼다.
현재 약 100여 가구가 있다.
9. 가문의 문화유산
익재영정 : 국보 제110 호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고려시대의 문신, 학자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중국에 머물 때 원나라의 화가 진감여(陳鑑如)가 그린 이 영정은 오늘날 고려시대의 희소한 유품으로 남아 있는데 원나라 때의 화풍을 전하는 중요자료이다.
10. 족보발간
-갑자보 : 1684년(조선 숙종 10년)
-무진보 : 1748년(조선 영조 24년)
-갑술보 : 1814년(조선 순조 14년)
-계유보 : 1873년(조선 고종 10년)
-경인보 : 1890년(조선 고종 27년)
-원주보 : 1929년
-경주보 : 1930년
-대구신미보 : 1931년
-대전보 : 1933년
-경보보 : 1918년
-대전보전보 : 1978년
-중앙표준보 : 1988년
11. 본관지
경상북도 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