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같은 뜻 - 1
경주이씨 모 카페 문답 란에 “세손과 대손의 차이가 무엇이냐?” 는 문의에 아래와 같이 F님과 B님이 답변을 주셨습니다.
해방 이후에 몇몇 학자들에 의해 생겨난 ‘2세=1대’로 읽는 ‘이의론’으로 설명된 답변입니다.
잘못 설명된 내용은 원문에 붉은 글자로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 F
【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차이 >
* 일반적으로 대부분이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같은 뜻으로 읽기 때문에 새손과 대손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차이는 헤아리는 방법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같은 뜻(동의어)이기에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표제의 내용에 대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 즉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과 자기(自己 : 나)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과 자기(自己: 나)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조상인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은 ‘몇 대손(=세손)’으로 말하고 후손인 나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방법은 ‘몇 세조(=대조)’로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선 한 가지의 원칙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바로 위로든 아래로든 몇 대(○대)를 헤아릴 경우에는 필히 기준으로 되는 시조나 자기를 제외하고(빼고) 헤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위로든 아래로든 몇 대(○대)를 헤아릴 경우에는 필히 기준으로 되는 시조나 자기를 제외하고(빼고) 헤아리는 것이 아닙니다.
위로든 아래로든 몇 대손(○대손). 몇 세손(◌세손). 몇 대조(◌대조). 몇 세조(◌세조)를 헤아릴 경우에는 기준이 되는 시조나 나는 ‘시조의’ . ‘나의’라는 뜻으로 ‘시조의 몇 대손(○대손). 몇 세손(◌세손)’으로 말하고 ‘나의 몇 대조(◌대조). 몇 세조(◌세조)’로 말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차츰 설명해 보겠습니다.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설명
1) 시조를 기준으로 세(世)를 헤아려 보면
1세(시조)......2세......3세........4세........5세........6세..........21세(世)
...................................................................................................(시조를 기준으로 "21세손(世孫)")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 시조를 기준으로. “시조의 20세손”
2) 시조를 기준으로 대(代)로 헤아려 보면
0대(시조).....1대.......2대........3대........4대..........5대..........20대(代)
........................................................................................................(시조를 기준으로 "20대손(代孫)"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 ⇒ 시조를 기준으로. “시조의 20대손”
위에서 헤아려 본 것처럼 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대(代)는 세(世)보다 하나를 적게 헤아리는 것이지요.
⇒ ‘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대(代)는 세(世)보다 하나를 적게 헤아리는 것이다.’
- ‘대(代)와 세(世)’는 즉 대 = 세 – 1로, 대(代)는 세(世)보다 하나를 적게 헤아리는 것이 아니고 세=대로 1세=1대....5세=5대. .......40세=40대 로 읽고 말합니다.
대와 세는 같은 뜻으로 읽고 ‘세손=대손’. ‘세조=대조’도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 자기(自己)를 기준으로 설명
....(예를 들어 자기를 21세로 가정해 보면)
......1세 시조......20대조 (21세(자기) - 1세(시조) = 20대조 ) ⇒ 20세조
......(* 위로 몇 대조(代祖)의 계산 <= 자기 세(世)수에서 윗대의 세(世)를 빼면 됨)
......2세.....○○....19대조 ⇒ 19세조
......3세.....○○....18대조 ⇒ 18세조
....
.....10세.....○○....11대조 (21세(자기) - 10세 = 11대조 ) ⇒ 11세조
.....11세.....○○....10대조 ⇒ 10세조
....
.....15세.....○○.....6대조 ( 21세(자기) - 15세 = 6대조 ) ⇒ 6세조
.....16세.....○○.....5대조 ( 21세(자기) - 16세 = 5대조 ) ⇒ 5세조
.....17세.....고조.....4대조 ⇒ 4세조
.....18세.....증조.....3대조 ⇒ 3세조
.....19세.....조부.....2대조 ⇒ 2세조
.....20세.....부친.....1대 ⇒ 1대조. 1세조
위로
.....21세.....자기.....0대 (이처럼 자기는 ○○대 계산에서 제외 됨)
아래로
.....22세.....자식.....1대? ⇒ 1대손. 1세손
.....23세.....손자.....2대손 ⇒ 2세손
.....24세.....증손.....3대손 ⇒ 3세손
.....25세.....(고손)....4대손 ( 25세 – 21세 (자기 = 4대손 ) ⇒ 4세손
..................(현손)......................(* 아랫대의 계산은 윗대와 반대로 계산함)
위의 예에서처럼, 만일 시조를 1세(世)로 하여 자기가 21세(世)라면 "20세손(世孫)"이라고 하거나, 시조의 20대손(代孫)"이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1대손(=21세손)"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 시조 21세를 시조의 ‘21대손(=21세손)’이 아니고 ‘20대손(=20세손)’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반대로 시조는 "20대조(代祖)"가 되는 것입니다
* 왜 위에서 "21대손"이라고 하면 잘 못된 것인지 다시 한 번 설명 해보면, 위의 자기를 기준으로 한 예에서, "자기를 시조"라고 응용해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1세.....자기......0대 (자기를 시조라고 가상해 보면)
아래로
......2세.....자식.....1대(손)
......3세.....손자.....2대손
......4세.....증손.....3대손
......5세.....*고손.....4대손. - *고손 ⇒ 현손
........... (고손은 "5세손"이자, 시조인 자기의 "4대손"이 됩니다.)
............. ⇒ 현손은 시조(나)의 4세손이자 4대손입니다.
............(* ○세(손)보다 ○대(손)가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지요. ) - ⇒ 삭제
...........(세손은 대손과 같은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 이처럼 세(世)와 대(代)는 윗대와 아랫대를 헤아릴 때 한 세(世)의 차이가 나게 됨으로, 혼동하지 말고 잘 계산을 해야 합니다.
⇒ 세(世)와 대(代)는 같은 뜻입니다. 1세=1대......5세=5대.....40세=40대
윗대와 아랫대를 헤아릴 때 세와 대는 같은 뜻이니 1세(世)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
세와 대는 다른 뜻 즉 ‘2세=1대’로 읽는 방법으로 21세인 나는 ‘시조의 20대손’으로 말하고 21세인 나는 25세인 현손을 나의 4대손으로 읽고 말합니다.
1세 →---→ 21세 - → 22세 -→ 23세 -→ 24세 -→ 25세
시조--------나--------자---------손-------증손-----현손
(기준)------20세손---21세손---22세손---23세손---24세손
20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