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관계에서 촌수 계산하기 – 3
daum의 모 카페에 ’가족관계에서 촌수 계산하기‘라는 제목으로 촌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있습니다.
원문은 【...........】로 나타내고 잘못된 주장은 원문에 *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내고 소견)을 올립니다.
앞 회에 이어 나머지를 올립니다.
【*다른 관계도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되고 고모집, 외갓집, 이모집, 처갓집도 마찬가지입니다.
외아재는 나와 어머니가 1촌, 어머니와 외아재가 2촌이니 합하면 3촌이 됩니다.
삼촌이란 촌수관계이지 호칭으로는 맞지 않으니 가급적 쓰지 않는 게 옳습니다.
풀어서 설명하니 더 헷갈립니다.
촌수계산은 정말 쉽습니다.
어려운 건 호칭이죠.
아무것도 아닌데 한문식 호칭이라 어렵습니다.
가족 간의 호칭 얘기 한 가지만 더 하겠습니다.
*친 핏줄 간에는 님 또는 씨를 붙이지 않는 게 맞습니다.
아버지, 어머니, 형, 누나라고 부르는 게 맞습니다.
아버님, 어머님, 형님, 누님이라고 부르는 게 틀린 겁니다.
*며느리는 타 핏줄이기 때문에 시댁식구에게 님을 붙여 부르는 게 맞고 사위도 처가에 가면 타 핏줄이므로 님을 붙여 불러야 맞습니다.
님 또는 씨를 붙이는 것은 타 핏줄의 경우입니다.
형수님, 제수씨 등이죠.
*또 한 가지 처가에 갔을 때 손아래 처남의 아내는 처남댁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손위처남의 아내는 어떻게 부를까요 ?
이럴 때는 아주머니라고 부르든지 역시 처남댁이라고 부르면 맞습니다.
아주머니라고 부르면 낮춰 부르는게 아닙니다.
*아주머니라는 호칭은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간혹 처수라고 부르는데 잘못된 호칭입니다.
처수라는 호칭은 없습니다.】
▲[*다른 관계도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되고 고모집, 외갓집, 이모집, 처갓집도 마찬가지입니다.]
소견)
촌수를 헤아려 읽는 읽는데 직계는 촌수로 헤아려 읽지 않습니다.
나와 아버지 1촌은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외 아버지와 할아버지 1촌. 할아버지와 증조부 1촌. 증조부와 고조부 1촌은 촌수로 읽지 않고 나에서 할아버지는 2촌이 아니고 2대조(=2세조)이고 나에서 증조부는 3촌이 아니고 3대조(=3세조)이며 나에서 고조부까지는 4촌이 아닌 4대조(=4세조)입니다.
고조 (4촌)-----------------------------------종고조(6촌)
↓
증조 (3촌)-------------------------종증조(5촌)
↓
조 (2촌)--------------------종조(4촌)
↓
부 (1촌) ---------백숙부 (3촌)
↓
기(나) ━ 형제 (2촌)
* 직계는 부 – 조 2촌. 조 – 증조 3촌. 증조 – 고조 4촌으로 마디를 헤아려 촌수를 읽지 않습니다.
나 – 부 1촌. 나 – 조 2촌, 나 – 증조 3촌. 나 – 고조 4촌 등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누가 나와 할아버지를 2촌간이라 합니까?
나와 할아버지를 2촌간이라 하고 나와 증조부를 3촌간이라고 하고 나와 고조부를 4촌간이라고 하는 몰상식한 사람은 촌수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 촌수도
고조----------------------------------------------------⑥종고조부(고조부형제)
↓............................................................................................................................................↓
증조------------------------------------⑤종증조부(증조부형제)..........⑦재종증조
↓...........................................................................................................↓..............................↓
조----------------------------④종조부(조부형제)...........⑥재종조...........⑧3종조
↓......................................................................↓..................................↓.............................↓
①부-----------③백숙부(부형제)......⑤종백숙부(당숙)......⑦재종당숙........⑨3종당숙
↓...............................↓...............................↓....................................↓...............................↓
기(나) - ②형제...④종형제.................⑥재종형제.................⑧3종형제.............⑩4종형제
↓...........(친형제).....(4촌형제)..............(6촌형제)....................(8촌형제)................(10촌형제)
↓.............↓..............↓..........................↓.......................................↓
자..........③질...........⑤종질...............⑦재종질.................⑨3종질
↓.............↓..............↓..........................↓.............................↓
손..........④종손.......⑥재종손..........⑧3종손..................⑩4종손
↓.............↓....................↓..........................↓
증손.......⑤종증손.....⑦재종증손.........⑨3종증손
↓,,,,,,,,,....↓.....................↓...........................↓
현손.......⑥종현손.....⑧재종현손.........⑩3종현손
↓............↓.....................↓
내손.......⑦종내손.....⑨재종내손
↓............↓.....................↓
곤손......⑧종곤손.....⑩재종곤손
↓............↓
잉손......⑨종잉손.
↓............↓
운손......⑩종운손
◈ 촌수 (인용)
친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 체계이다.
가계도를 기준으로 볼 때 세로 가지 하나가 1촌이 된다. (가로 가지 하나가 2촌이다.)
다만 직계존비속과 형제 사이에는 촌수를 따져 부르지 않는다.
자신의 형제자매의 직계존비속이나, 자신의 직계존비속의 형제자매와 그 직계비속과의 거리를 촌수로 세며, 촌수에 따라 호칭을 달리 부른다.
촌수 제도는 12세기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촌수는 자기를 기준으로 하여 위로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5대조부모 등과 아래로 자, 손, 증손, 현손, 5대손 등, 그리고 형제자매(兄弟姉妹) 사이에는 촌수를 따지지 않는다.
촌수를 직접 적용할 때에는 삼촌(三寸)부터 따진다.
촌수에 따라서 호칭을 달리하는데, 종, 재종, 삼종을 붙여서 부른다.
예를 들면 4촌 형제는 종형제, 6촌 형제는 재종형제, 8촌 형제는 삼종형제라고 하고, 3촌은 숙부(또는 백부), 5촌은 종숙부, 7촌은 재종숙부라고 한다.
촌수는 나와 방계의 친족 간에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숫자 체계입니다.
직계는 나와 아버지 ① 촌은 나와 형제 ② 촌을 읽기 위하여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나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와 아버지 ① 촌. 나와 형제 ② 촌. 나와 종숙(백숙부) ③ 촌, 나와 종조부 ④ 촌, 나와 종증조부 ⑤ 촌 나와 종고조부 ⑥ 촌으로 하고 그 계대 아래를 순번대로 세수(=대수)로 읽어 이를 촌수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직계인 ’나와 ①촌인 아버지‘는 예외적으로 촌수로 인정하고 ’조 ⑵촌 – 증조 ⑶촌 – 고조 ⑷촌‘ 으로 읽은 촌수는 잘못된 촌수입니다.
누가 나를 할아버지와 2촌간이라 하고 나와 증조할아버지를 3촌간으로 나와 고조할아버지를 4촌간으로 읽거나 말하는가?
직계는 나와 아버지 1촌외는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직계는 나와 몇 세조(=대조), 나의 몇 세손(=대손)으로 말합니다.
고조 ⑷촌----------------------------------------------------- ⑥ 종고조부(고조부형제)
↓.......................................................................................................................................................↓
증조 ⑶촌---------------------------------------- ⑤ 종증조부(증조부형제)--⑦ 재종증조
↓.........................................................................................................................↓
조 ⑵촌-------------------------------- ④ 종조부(조부형제).....⑥ 재종조
↓.....................................................................................↓..........................
① 부--------------- ③ 백숙부(부형제) --- ⑤ 종백숙부(당숙)......
↓.................................................↓.............................↓
기(나) --- ② 형제 --- ④ 종형제 ---------- ⑥ 재종형제
↓--------(친형제) --- (4촌형제) --------- (6촌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