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의론(異義論)’논지의 세(世)와 대(代) - a
인터넷에 올라 있는 ‘이의론’ 논지로 쓴 세(世)와 대(代)에 대한 글입니다.
아직도 이러한 잘못된 글이 올라 있다는 것은 세와 대에 대한 무지에서 오는 것입니다.
이런 글만 모아서 잘못된 내용을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 *[예시]
1세(世) = 현조(玄祖) = 5대조(五代祖)
2세(世) = 고조(高祖) = 4대조(四代祖)
3세(世) = 증조(曾祖) = 3대조(三代祖)
4세(世) = 할아버지(祖 )= 2대(二代)
5세(世) = 아버지(父) = 1대(代)
6세(世) = 자기(自己) = (一)세 (ㅇ)代
7세(世) = 아들(子) = (二) 2세손
8세(世) = 손자(孫) = (三) 3세손
9세(世) = 증손(曾孫) = 4세손(四世孫)
10세(世) = 현손(玄孫) = 5세손(五世孫)
11세(世) = 래손(來孫) = 6세손(六世孫)
12세(世) = 곤손(昆孫) = 7세손(七世孫)
13세(世) = 잉손(仍孫) = 8세손(八世孫)
14세(世) = 운손(雲孫) = 9세손(九世孫)
*세(世)는 대체로 씨족에서 많이 사용되며, 시조로부터 혈통의 흐름에 따라 차례로 탄생하는 인물에 대한 순번을 정하는 단위이다.
시조를 1세로 하고 그의 자(子)는 2세, 손(孫)은 3세, 증손(曾孫)은 4세, 현손(玄孫)은 5세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왕이나 대통령, 교장, 회장, 사장 등 혈통의 흐름에 구애되지 않고 직책에 임명된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는 세(世) 쓰지 않고 대(代)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와 대는 다르다고들 말한다.
*즉 世는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고, 代는 기준이 되는 사람을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이다.
代는 기준이 되는 사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다.】
위 논리가 世와 代를 2世를 1代로 뜻을 다르게 읽는 이의론(異義論)입니다.
그러니까 1945년 해방이후에 몇몇 학자와 유관기관에서 조상님들께서 사용한 세와 대를 같은 뜻으로 읽고 기록으로 남긴 ‘세=대’로 같은 뜻으로 읽고 ‘아래로 세손=대손. 위로 세조=대조’의 ‘동의론’ 대신에 세와 대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여 ‘2세=1대’를 기본으로 ‘대=세-1. ’아래로 세=세손‘. ’위로 대=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되 ‘상대하세’. ‘대불급신’의 원칙을 적용하여 세와 대를 헤아려 읽는 ‘이의론’을 널리 퍼뜨린 것입니다.
이전에는 우리나라 유명 성씨 집안에서는 모두 ‘세=대’를 같은 뜻으로 1세=1대...5세=5대... 10세=10대. 아래로 ‘세손=대손’ – 3세손=3대손....15세손=15대손...30세손=30대손. 위로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는 ‘동의론’ 논지로 사용하고 기록하여 후대에 남겼습니다.
이 ‘이의론’이 1960년~70년대에 새로운 교육 매체인 컴퓨터. 대형 TV. 인터넷 활용 등으로 교실과 방송강의로 ‘이의론’ 이론이 널리 대세를 이루어 일반화된 논리입니다.
아직도 검색을 하면 잘못된 ‘이의론’ 논지로 설명된 글이 많이 있습니다.
지적과 소견)
▲[* 예시
1세(世) = 현조(玄祖) = 5대조(五代祖)
2세(世) = 고조(高祖) = 4대조(四代祖)
3세(世) = 증조(曾祖) = 3대조(三代祖)
4세(世) = 할아버지(祖) = 2대(二代)
5세(世) = 아버지(父) = 1대(代)
6세(世) = 자기(自己) = (一)세 (ㅇ)代
7세(世) = 아들(子) = (二) 2세손
8세(世) = 손자(孫) = (三) 3세손
9세(世) = 증손(曾孫) = 4세손(四世孫)
10세(世) = 현손(玄孫) = 5세손(五世孫) ]
소견)
위 예시]는 나를 기준으로 위로 자기(自己) 0대(代). 父 1대(代). 祖 2대(代). 증조 3대조(代祖). 고조(高祖) 4대조(四代祖). 현조(玄祖) 5대조(五代祖)......등으로 나타내고 아래로 자기(自己) (一) 1세. 子 (二) 2세손. 손 (三) 3세손. 증손(曾孫) 4세손(四世孫). 현손(玄孫) 5세손(五世孫) .... 등으로 나타내니 이의론 논지로 아래의 표와 같이 읽습니다.
1세 - → 2세 -→ 3세 -→ 4세→ 5세 → 6세 -→ 7세 -→ 8세 - → 9세 -→ 10세
현조----고조----증조-----조----부----기(나)----자-------손------증손-----현손
5대조---4대조---3대조---2대---1대---0대
--------------------------------------------1세-----2세손---3세손---4세손----5세손
1) 위 표를 보면 0대- 1대- 2대로 읽다가 3대조- 4대조- 5대조로 代에서 代祖로 단위를 달리 읽고 나 1世에서 子 2世孫 - 孫 3世孫 - 曾孫 4世孫...등으로 世에서 世孫으로 단위를 바꾸어 사용하였다.
2) 이는 바른 논리가 아니다. 한 계대에서는 기준으로 ‘나의’라는 뜻이 아니면 같은 단위로 나타내어야 한다.
아래의 표와 같이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고쳐 읽어야 합니다.
위 원문의 ‘예시 표‘는 ’이의론‘ 논지로 1945년 해방이후에 새롭게 만든 이론이고 본디 우리 조상님들이 사용하던 논리는 아래의 표와 같은 ’1세=1대론‘인 ’동의론‘이 정론입니다.
1세(世) = 1대(代)---현조(玄祖)---(기준.현조의)---5대조(五代祖) = 5세조(五世祖)---6세-6대
2세(世) = 2대(代)---고조(高祖)----1세손=1대손---4대조(四代祖) = 4세조(四世祖)---5세=5대
3세(世) = 3대(代)--- 증조(曾祖)---2세손=2대손---3대조(三代祖) = 3세조(三世祖)---4세=4대
4세(世) = 4대(代)---할아버지(祖)-3세손=3대손----2대조(二代祖) = 2세조(二世祖)---3세=3대
5세(世) = 5대(代)---아버지(父)----4세손=4대손---1대조(代祖) = 1세조(一世祖)----2세=2대
6세(世) = 6대(代)---자기(自己)----5세손=5대손---(기준. 나의)------------------------1세=1대
7세(世) = 7대(代)---아들(子)------6세손=6대손----1세손(一世孫) = 1대손(一代孫)---2세=2대
8세(世) = 8대(代)---손자(孫)------7세손=7대손----2세손(二世孫) = 2대손(二代孫)---3세=3대
9세(世) = 9대(代)---증손(曾孫)----8세손=8대손---3세손(三世孫) = 3대손(三代孫)---4세=4대
10세(世)=10대(代)-현손(玄孫)-----9세손=9대손---4세손(四世孫) = 4대손(四代孫)---5세=5대
▲[*세(世)는 대체로 씨족에서 많이 사용되며, 시조로부터 혈통의 흐름에 따라 차례로 탄생하는 인물에 대한 순번을 정하는 단위이다. 시조를 1세로 하고 그의 자(子)는 2세, 손(孫)은 3세, 증손(曾孫)은 4세, 현손(玄孫)은 5세가 되는 것이다.]
소견)
위 글 일부 내용은 바르게 기술된 말입니다.
세(世)는 시조로부터 혈통의 흐름에 따라 차례로 탄생하는 인물에 대한 순번을 정하는 단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누구를 기준으로 하든 누구는 기준이 되어 1세로 하고 기준위와 아래로 2세. 3세. 4세.....등으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고 말하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1세)→ 2세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9세
고조----증조----조------부------기------자-------손-----증손----현손 – ’족보‘표기
5세-----4세-----3세-----2세----(1세)----2세-----3세-----4세-----5세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 꼭 시조를 1세로 하여 아랫대 후손을 순번대로 헤아려 읽어 몇 세라고만 하지 않습니다.
조손간에 누구든 기준으로 1세를 하고 위로 아래로 2세. 3세....등으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습니다.
▲[*그러나 왕이나 대통령, 교장, 회장, 사장 등 혈통의 흐름에 구애되지 않고 직책에 임명된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는 세(世) 쓰지 않고 대(代)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와 대는 다르다고들 말한다. ]
소견)
일반적으로 世와 代는 같은 뜻이고 쓰임도 같습니다.
다만 하나의 약속으로 왕. 대통령. 각급 기관의 기관장(시장. 군수, 총장. 교장 등)의 순서는 몇 代로 읽어 나타냅니다.
* 조선 4대 임금 세종. * 대한민국 19대 대통령 문재인
* 제261대 교황 요한 23세 - 교황 대수로는 261대이고 ‘요한’ 이름으로 23번째 사용.
▲[*즉 世는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고, 代는 기준이 되는 사람을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이다. 代는 기준이 되는 사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다.]
소견)
이러한 논리를 ‘2세=1대론’ 즉 ‘이의론’이라 하고 아래의 표와 같이 읽습니다.
(1세) → 2세 - → 3세 - → 4세 - → 5세
고조-----증조-----조-------부-------기
1세------2세------3세손--- 4세손---5세손 - 下世
4대------3대------2대------1대-----(2세=1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 上代
*본디 ‘이의론’은 상대하세를 적용하면 ‘몇 대손’. ‘몇 세조’는 읽지 못하는 용어입니다.
세=대는 같은 뜻으로 조손간의 차례를 말하거나 누구든 기준을 1세로 하면 기준 위와 기준 아래를 순번대로 2세. 3세.
4세.....등으로 헤아려 읽거나 말하고 조상 기준으로 후손을 아래로 ‘세손=대손’으로 읽고 위로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거나 말합니다.